[길섶에서] 밥심/서동철 논설위원
19세기 말, 조선을 찾은 서양인들은 서민들이 먹는 고봉밥을 보고 크게 놀랐다고 한다. 조선이 ‘대식국’(大食國)으로 불리기도 했던 이유일 것이다. 몇 년 전 고구려 시대 이후 밥그릇에 쌀을 담아보는 토지주택박물관의 실험에서도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다. 요즘 흔히 쓰는 밥공기에는 350g, 남한산성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사발엔 690g, 개성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주발엔 1040g, 연천 호로고루에서 출토된 고구려 질그릇에는 1300g의 쌀이 들어갔다. 조선시대 밥사발도 고구려 것에 비하면 간식 그릇 수준이다. 고구려가 동아시아를 제패한 원동력이 ‘밥심’이었다는 농담도 그래서 나왔다.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이 67.2㎏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조선시대도 아닌 1970년의 소비량 136.4㎏과 비교해도 절반에 채 못 미친다.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84g으로 밥을 지으면 두 공기가 될까 말까한 분량이다. 그것도 술과 떡 같은 가공품을 포함한 통계치라니 밥으로 소비한 쌀은 훨씬 적을 것이다. 밥심이 사라진 시대, 우리는 무엇에서 기운을 얻고 있나.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