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깔롱진’ 커피/정기홍 논설위원
함께 일했던 남자 후배가 퇴사한 뒤 작은 커피숍을 차렸다. 서울을 떨치고 타향 객지 세종시 조치원까지 내려갔다. “백두산 꼭대기에 홀로 떨궈 놔도 길 찾아 내려올 친구”라고 말하곤 했었는데, 그에 걸맞게 가게 이름을 능청스럽게도 지었다. ‘깔롱’이다. 부산 출신의 친구가 그 말을 자주 써 힌트를 얻었다고 했다. 멋을 부리고, 잘난 척하고, 까분다는 뜻으로 부산의 젊은이들이 쓰는 사투리라고 한다. “깔롱지기네”, “깔롱지게 입었네”가 그 쓰임새다.
50대 중반의 부산 사람에게 물었더니 ‘갈롱’이 맞는 게 아닌가 한다. 사전에도 갈롱이 ‘간능’(幹能)의 잘못이고, 재간 있게 능청스럽다는 뜻으로 풀이해 놓았다. 경남 하동이 배경인 소설 토지에는 “우리가 천성으로 잘 산다꼬 갈롱을 피울 사람들가…갈롱 피는 그 꼬라지 눈이 씨어서 못 보겄더마는”의 대목이 나온다. 사투리가 경음화한 것으로 보인다. 후배는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칼론(kalon)의 뜻도 같이 담았다”고 했다. 사투리와 외국말을 오가고 말소리에도 커피숍 분위기가 물씬한, 톡톡 튄 상호 선택이 탁월하다. 후배가 끓여 내는 깔롱진 커피 맛이 손님들 입맛에 딱 들어맞기를 바란다.
정기홍 논설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