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불황이라지만 국밥집은 성업이다. 퇴근길에 가끔 들르는 순대국집은 전에 없이 북적인다. 두어 달 전에 국밥과 술값을 올렸다. 왜 올렸느냐고 말하는 이도 없다. 너나없이 지갑을 닫는 이면에 그 정도의 가격은 감내한다는 생각을 갖는 것 같다. 손님들이 이어지니 인상 작업은 성공작이 됐다. 주인 양반, 이 불경기에 벼락부자 될지 싶다.
출퇴근 길목에 있는 지하철 가게 두 곳도 요즘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스마트폰 커버와 수입 과자류를 판다. 커버 한 개에 2900원, 두 개 5000원이고 과자 가게는 1000원짜리가 많다. 이들 가게는 파리만 날리면서 주인과 업종이 몇 번 바뀌었다. 지하철 공간이란 게 들어서면 발걸음이 빨라져 손님 발길 잡기가 녹록지 않다. 외환위기 때의 ‘1000원 가게’를 다시 보고 있다.
저성장·저물가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적용되지 않는 가게들이다. 서민은 어렵되 서민 음식은 잘 팔리는 지금이다. 며칠 전 궁금증에 수입 과자 가게에 들러 산 비스킷 몇 개를 먹고 속탈이 났다. 너무 단 게 화근이었다. 그제서야 겉봉지를 보니 동남아에서 수입한 것이다. 수입 가격이 얼마일까 궁금해했다가 중년 아내의 드센 타박만 받아들고 말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출퇴근 길목에 있는 지하철 가게 두 곳도 요즘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스마트폰 커버와 수입 과자류를 판다. 커버 한 개에 2900원, 두 개 5000원이고 과자 가게는 1000원짜리가 많다. 이들 가게는 파리만 날리면서 주인과 업종이 몇 번 바뀌었다. 지하철 공간이란 게 들어서면 발걸음이 빨라져 손님 발길 잡기가 녹록지 않다. 외환위기 때의 ‘1000원 가게’를 다시 보고 있다.
저성장·저물가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적용되지 않는 가게들이다. 서민은 어렵되 서민 음식은 잘 팔리는 지금이다. 며칠 전 궁금증에 수입 과자 가게에 들러 산 비스킷 몇 개를 먹고 속탈이 났다. 너무 단 게 화근이었다. 그제서야 겉봉지를 보니 동남아에서 수입한 것이다. 수입 가격이 얼마일까 궁금해했다가 중년 아내의 드센 타박만 받아들고 말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3-20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