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역대 대통령들이 유화로 남아 있다. 19세기 중엽 사진기가 대중화됐으니, 그 이전인 1789년부터 1797년까지 미국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조지 워싱턴부터 그림으로 남기던 전통이 이어지고 있나 보다 하고 추정한다. 그 전통대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2006년 초상화로 남았다.
영국의 과학사 교수 아서 밀러가 쓴 책 ‘아인슈타인 피카소’는 20세기 비범한 두 명의 천재가 나온 당대의 사회적·과학적·예술적·지적 환경을 설명했다. 특히 ‘청색시대’만 해도 완벽한 구상 화가였던 피카소가 ‘아비뇽의 처녀들’을 통해 추상 화가의 길로 들어선 이유로 그림보다 더 재현 능력이 뛰어난 사진기의 발명과 사진의 대중화를 지적했다. 모습을 남기고 싶은 고관대작과 교황, 부유한 상인들에게 솜씨 좋은 화가는 더이상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림은 남다른 기호를 슬쩍 끼워 넣을 수 있다. 클린턴의 초상화를 그린 화가 넬슨 생크는 초상화 오른쪽의 흐릿한 그림자가 ‘지퍼게이트’의 당사자 모니카 르윈스키를 상징한다고 9년 만에 폭로했다. 포토샵을 해도 사진이라면 감히 집어넣지 못할 상징이 아니었던가 싶어서 고소해하며 웃었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영국의 과학사 교수 아서 밀러가 쓴 책 ‘아인슈타인 피카소’는 20세기 비범한 두 명의 천재가 나온 당대의 사회적·과학적·예술적·지적 환경을 설명했다. 특히 ‘청색시대’만 해도 완벽한 구상 화가였던 피카소가 ‘아비뇽의 처녀들’을 통해 추상 화가의 길로 들어선 이유로 그림보다 더 재현 능력이 뛰어난 사진기의 발명과 사진의 대중화를 지적했다. 모습을 남기고 싶은 고관대작과 교황, 부유한 상인들에게 솜씨 좋은 화가는 더이상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림은 남다른 기호를 슬쩍 끼워 넣을 수 있다. 클린턴의 초상화를 그린 화가 넬슨 생크는 초상화 오른쪽의 흐릿한 그림자가 ‘지퍼게이트’의 당사자 모니카 르윈스키를 상징한다고 9년 만에 폭로했다. 포토샵을 해도 사진이라면 감히 집어넣지 못할 상징이 아니었던가 싶어서 고소해하며 웃었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3-07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