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남자’라고 하면 진짜 사나이, 더 나아가면 마초 같은 남자를 지목할 때 쓰는 단어였다. 이때 ‘상’은 한자로 항상 상(常)이 아닐까 유추하고서 사전을 찾아보니 국어대백과사전에 표제 단어로 등록되지 않은 일종의 시쳇(時體)말이었다. 즉 그 시절 유행어인 거다. 그런데 이 상남자란 단어가 국어사전에 들어가려면 요즘 유행하는 ‘상남자’라는 단어를 극복해야만 할 것 같다. 후자의 상남자는 ‘상차리는 남자’의 줄임말이자 신조어다. 가족을 위해 밥상 차리는 남자들로, 내 주변에도 이들이 적지 않다.
맞벌이 아내와 10대 두 자녀를 위해 아침저녁을 챙겨 내는 스릴러문학 전문 번역가는 자신을 부엌데기라고 부르고, 입맛이 까다롭고 자주 소화불량에 걸리는 아내를 위해 고구마를 삶고 죽을 끓이는 잘나가는 출판사 사장은 오늘도 ‘많이 안 먹었네, 먹었네’로 퉁퉁댄다. 사고뭉치인 10대 아들을 한결같은 맛있는 밥상으로 개과천선시킨 양평의 건축사도 있다. 요리전문 채널에 나오는 훈남 요리사들이 인기다. 그들은 손님을 위해 밥상을 차려도, 가족을 위한 밥상은 거의 차리지 않는다. 가족을 위해 밥상을 차리는 상남자가 더 좋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맞벌이 아내와 10대 두 자녀를 위해 아침저녁을 챙겨 내는 스릴러문학 전문 번역가는 자신을 부엌데기라고 부르고, 입맛이 까다롭고 자주 소화불량에 걸리는 아내를 위해 고구마를 삶고 죽을 끓이는 잘나가는 출판사 사장은 오늘도 ‘많이 안 먹었네, 먹었네’로 퉁퉁댄다. 사고뭉치인 10대 아들을 한결같은 맛있는 밥상으로 개과천선시킨 양평의 건축사도 있다. 요리전문 채널에 나오는 훈남 요리사들이 인기다. 그들은 손님을 위해 밥상을 차려도, 가족을 위한 밥상은 거의 차리지 않는다. 가족을 위해 밥상을 차리는 상남자가 더 좋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3-1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