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코로나19 방역 희생자와 정부 대응/김창환 미국 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수많은 생명을 구했지만 많은 희생자도 낳았다. 방역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은 차별적이다. 청년, 여성, 자영업자, 서비스업 종사자가 일자리를 잃고 소득이 줄었다. 반면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종은 소득도 늘고, 주식이나 부동산 자산소득도 증가했다.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가 비슷한 상황이다.
과거에는 주로 남성, 장년층, 침체된 산업 종사자에게 경제충격이 집중됐다면 코로나19는 경제적 약자를 공격한다. 경기변동으로 인한 불황이 일시적이나마 소득 불평등 감소를 초래하는 데 반해 코로나19는 불평등을 증가시킨다.
거리두기와 영업제한은 사회적 필요성 때문에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조치다. 혜택은 모두가 누리지만 희생은 선별적이다. 일반적 경기침체와 달리 경제적 타격에 개개인이 대응할 수단도 마땅치 않다. 사회를 위해 희생한 피해자들에게 당연히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을 때는 하루에 25만명이나 됐다. 한국으로 치면 하루에 4만명씩 확진자가 늘어난 셈이다. 미증유의 사회적 위험 앞에서 미국 역시 자영업자에게 희생을 요구했다. 신자유주의의 선두주자라는 미국 정부는 거대한 예산을 재난지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