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화살머리고지 유해 발굴 성과가 의미하는 것/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In&Out] 화살머리고지 유해 발굴 성과가 의미하는 것/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입력 2021-07-04 20:16
업데이트 2021-07-05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최근 국방부가 철원 비무장지대(DMZ) 화살머리고지에서의 유해 발굴이 마무리됐다고 발표했다. 우리 군의 유해 발굴사업은 2000년 4월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전방 지역의 주요 고지들과 낙동강 방어선과 같이 치열한 전투가 치러졌던 지역이 주요 대상이었다. 비무장지대에서 유해 발굴을 추진하는 데까지 20여년의 시간이 걸린 셈이다.

한국전쟁 당시 남북 간 전투가 가장 치열하게 전개돼 많은 군인이 희생됐던 기간은 1951년부터 1953년까지다. 전선이 고착화하고 고지쟁탈전 양상을 띠었던 당시 상황은 ‘고지전’, ‘포화 속으로’와 같은 영화가 잘 보여 주고 있다. 대표적 격전지였던 백마고지에서는 10일 동안 7차례나 고지의 주인이 바뀌었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과 함께 고지쟁탈전이 종결됐으니, 휴전선을 중심으로 한 비무장지대 안에서 어느 지역보다 많은 이들이 희생됐음은 불문가지의 일이다. 국방부에서도 12만여구의 미수습 유해 중 1만여구가 비무장지대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2018년 9·19 군사합의 이후 추진된 화살머리고지에서의 비무장지대 유해 발굴은 이와 같은 추정치가 틀리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2년여 동안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유해는 총 424구이다. 단순히 넘길 수 없는 수치인 것은 단위면적당 기준으로 볼 때 다른 지역에 비해 약 18배에 이르기 때문이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다른 지역에서 발굴된 유해는 1만제곱미터당 약 1.8구가 발굴된 반면 화살머리고지에서는 동일 면적당 약 33구의 유해가 발굴됐다고 한다. 유해와 유품이 전사(戰死) 당시 모습대로 보존된 소위 ‘완전유해’로는 193구가 발굴됐고 이는 발굴된 유해 중 45%에 달한다. 다른 지역에서의 완전유해 비율이 6%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또한 매우 높은 비율이다. 비무장지대에 많은 유해가 보존된 상태로 묻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보여 주는 단서들이다.

이러한 성과들은 9·19 군사합의를 통해 일궈 낸 것들이다. 국방부는 6월 말 비무장지대 유해 발굴의 첫 대상 지역인 화살머리고지에서의 시범적 유해 발굴을 일단락 짓고 후반기에는 최대 격전지였던 인근의 백마고지에서 유해 발굴을 이어 간다고 발표했다. 다행스러운 일이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비무장지대에서 어느 지역보다 많은 유해가 발굴단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을 것인 만큼 우리 군의 유해 발굴 사업은 비무장지대 전 지역으로 확대돼야 마땅하다. 남북 공동 유해 발굴로 진행되지 않은 점이 매우 아쉽지만 남측만이라도 유해 발굴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북측도 머지않아 호응해 올 것이다.

백마고지에서 이어질 유해 발굴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유해 중 신원이 확인된 아홉 분은 생존한 유가족 품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2021-07-05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