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염치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하고, 잘못을 저지른다. 신이 아닌 이상 아무리 성인군자라도 티끌 하나 없이 완전무결할 수는 없다. 실수하더라도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끼고, 반성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우리가 염치(廉恥)라고 부르는 마음가짐이다.
부탁이나 요청을 할 때 ‘염치없지만’, ‘염치 불고하고’라며 운을 떼는 이들은 대개 염치가 있다. 진짜 염치없는 이들은 호의를 권리로 착각하고, 맡겨 둔 보따리 내놓으라는 듯 당당하다. 적반하장식 유세가 하늘을 찌른다. 이런 염치없고 뻔뻔한 사람을 철면피(鐵面皮)라고 한다. 중국 고사에서 출세를 위해 모욕을 당하면서도 웃어넘긴 양광원을 두고 ‘열 겹의 철갑처럼 얼굴이 두껍다’고 한 일화에서 유래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바라며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한 청년 시인의 간절한 고백은 인간의 염치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일 테다. 철면피만 아니어도 다행이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요즘 세태가 씁쓸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