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 [Weekly Health Issue] 철분 주사요법 효용성과 한계

    김영우 교수는 이런 사례를 소개했다. 얼마 전 50대 남성 위암 환자가 병원을 찾았다. 다양한 검사를 통해 내린 결론은 수술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서둘러 수술전 검사를 시행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5㎎/㎗로 빈혈이 심해 수술이 어려웠다. 의료진의 판단은 수혈 대신 철분 주사요법을 적용하자는 것이었다. 결정 직후부터 환자에게 주사로 철분제제를 투여했다. 결과는 무척 좋아 환자는 3주 만에 헤모글로빈 수치가 10㎎/㎗까지 회복됐고, 수혈 없이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쳤다. 물론 예후도 좋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철분 주사요법은 적혈구의 주성분인 헤모글로빈 분자의 생성을 촉진해 인체의 산소 운반 능력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철 분자 하나가 산소 분자 하나를 붙잡아 인체 조직에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유지하게 한다. 이런 철분이 우리 몸 속에 존재하는 양은 3.5g에 불과하며, 음식을 통해 장에서 흡수되는 철분의 양 역시 하루 1∼2㎎의 미량이어서 외상 등으로 초래된 급성 실혈로 많은 양의 철분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면 이를 보충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 주사용 철분제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방법이다.
  • [Weekly Health Issue] 수혈, 최선의 대안인가

    수혈은 위급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마지막 의료적 조치로 인식되어 왔다. 무엇으로도 피를 대체할 수 없다고 믿었고, 그래서 생명 유지에 절대적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이런 절대성 때문에 수혈의 문제를 간과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수혈의 이런 절대성의 이면에는 면역반응 외에도 치료 효과를 떨어뜨리거나 상대적으로 고비용이든다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이런 문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ABO식 혈액형 분류체계의 문제이기도 하거니와 보다 근본적으로는 타인의 피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숭고하면서도 위험한’ 발상에서 기인하기도 한다. 이런 수혈의 문제를 두고 김영우 국립암센터 위암연구과장과 대화를 나눴다. ●수혈이란 어떤 의료적 조치인가. 사람의 혈관에 직접 혈액 성분의 일부 혹은 전부를 주입하는 치료 방법을 수혈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목적에 따라 혈액의 특정 성분만을 분리해 사용하는 성분수혈이 주로 이뤄지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혈’ 하면 떠올리는 것이 바로 적혈구 수혈이다.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고 생명 유지에 가장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혈구 수혈 외에도 혈장이나 혈소판 등을 따로 분리해 혈액 응고에 문제가 있는
  •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코피 터진 닭싸움

    토요일 그날, 맞짱을 뜨기로 했다. 벌써 하루 전에 동네 아이들이 다 모인 가운데 그렇게 약속을 했다. 발단이랄 것도 없었다. 산어름에서 소를 먹이다가 그놈 설레발 치는 게 마뜩잖아 “잘난 척 좀 그만 해.”라고 한마디 한 게 화근이었다. “쥐불알만 한 게 뒤질라고….”라며 윽박지르는 그에게 맞서 “니가 뭔데….”라고 대거리를 놨고, 급기야 “그럼 한판 뜨자.”고 해 졸지에 합의에 이르렀다. 그는 나와 같은 5학년이었지만 나보다 한 살이 많았고, 막상 한판 붙자고 해놓고 보니 ‘떡대’도 훨씬 크고 단단해 보였다. 그날, 밤잠을 설쳤다. 내가 동무들과 모여 뭐라도 할라치면 예외없이 딴죽을 걸고 드는 그 녀석의 못된 ‘행우지’를 이참에 뜯어 고쳐놔야겠다는 생각에 불끈 두 주먹에 힘이 들어가는가 싶더니, 불현듯 잘못되면 개망신당할 거라는 생각이 들어 가슴이 콩닥거리기도 했다. 다음 날, 오전 수업을 마친 동네 아이들이 스무 명 남짓이나 모여 신작로 옆 잔디밭에 진을 쳤다. 새삼 재고 자시고 할 것도 없었다. 웃통을 벗은 녀석이 잔디밭 가운데로 나서자 한달음에 달려가 주먹을 휘저었다. 뭐가 어떻게 됐는지 퍽, 소리가 났고 그놈이 벌러덩 나가자빠졌다. 가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