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 게임로프트 코리아 이하경 신임 대표이사 취임
  • ‘영산강 종합 수상레저스포츠 대회’ 9월 14일 영산강서
  • ‘진하게’ 즐기는 19금 왕게임 진왕, CBT 오픈
  • 황금알의 ‘김오곤 원장 다이어트’ 알고보니..
  • 유명 女 연예인들 다이어트 비결 알고보니...
  • [알쏭달쏭 건강보험 풀이]

    Q)개인사업장 대표자 건강보험 연말정산은 어떻게 하나. A) 공단에서 사업장에 보낸 ‘직장가입자 보수총액통보서’에 2012년도 ‘보수총액’과 ‘근무월수’를 기재, 6월 10일까지 공단에 제출하면 된다.
  • 황금알의 ‘김오곤 원장 다이어트’ 알고보니…
  •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는 몸길이 60센티 이것?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호랑이 대신 담비가 최상위 포식자의 입지를 굳힌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4년간 원격 무선 추적과 무인 카메라, 배설물을 통한 먹이 분석 등을 이용해 담비(멸종위기 2급)를 연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그 결과 몸 길이가 기껏해야 60㎝ 안팎인 담비가 대형 동물을 사냥하는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자 넓은 행동권을 지닌 우산종으로 밝혀졌다. 우산종은 행동권이 넓고 먹이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있는 종을 말한다. 우산종을 보호하면 같은 공간에 있는 다른 종들을 함께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종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담비가 남긴 배설물 414점을 분석한 결과 농민과 마찰을 빚는 유해 동물(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등)들의 천적임이 드러났다. 멧돼지, 고라니 등의 대형 포유류가 먹이의 8.5%를 차지했는데 담비 한 무리(3마리)가 연간 고라니 또는 멧돼지(새끼) 9마리를 사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그마한 체구의 담비가 대형 포유류도 제압할 수 있는 이유는 단독 생활을 하는 다른 맹수들과 달리 2∼3마리가 역할을 분담해 ‘파상공격’을 펴는 데다 용맹성도 타고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담비가 모이면 호랑이도
  • 이철 원장의 건강법은

    의료계에는 “의사를 따라하지 말고, 시키는 대로 하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건강에 관한 최고 전문가인 의사들이 정작 자신들의 건강은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생활하는 현실을 꼬집은 따끔한 충고다. 이철 의료원장의 일상은 눈코 뜰 새가 없다. 소아과 의사로서, 세브란스병원의 관리자로서 20여년을 숨가쁘게 살다 보니 건강관리에 따로 시간을 할애할 여유가 거의 없었다는 게 그의 고백이다. 그는 “부끄럽게도 건강에 투자할 여력이 별로 없다”고 말한다. 신촌과 강남세브란스를 비롯해 연세의료원 산하 병원 직원만 1만여명, 하루에 이 병원을 찾는 환자는 1만 3000여명, 연간 총매출은 1조 8000여억원에 이른다. 이런 큰 조직을 이끌어야 하는 CEO가 따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고도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면 비결은 건강한 생활습관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그는 “생활습관이 건강하지 않았다면 육체적·정신적으로 고갈돼 무척 힘들었을 것”이라고 털어놨다. 그가 지금까지 줄기차게 지켜온 ‘건강한 생활습관’은 ‘섭생’과 ‘운동’, ‘신앙생활’로 집약된다. “소식과 모든 음식을 골고루 싱겁게 먹고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만으로도 많은 병원(病原)이 차단
  • “최고의 건강 비결은 잘 먹고, 잘 자고, 스트레스 없는 것”

    인간에게서 건강을 배제한 삶이라는 게 가능할까. 수많은 성공담이 개인의 노력과 결단 등으로 이뤄졌다고 말하지만 가장 중요한 배경은 건강임을 부인할 수 없다. 삶을 경영하면서 좌절을 맛본 실패 사례의 이면에 건강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부차적인 요소로 여긴다. 건강이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굳이 말하지 않아도 건강은 기본이라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그런 인식을 바꿔야 한다. 건강한 사회란 건강한 개인의 집합체이며, 따라서 건강이야말로 삶의 전면에 내세워야 할 제1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이런 건강의 문제를 두고 연세의료원 이철 의료원장과 인터뷰를 했다. →건강한 삶이란 어떤 삶일까.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이란 질병이나 손상이 없을 뿐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온전한 상태’라고 규정했다. 건강은 신체적 능력과 사회적·인적자원을 강조하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생활의 목표라기보다 일상적인 자원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세브란스의 비전이 ‘하나님의 사랑으로 인류를 질병과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게 한다’는 것인데, 이는 건강을 지킬 뿐 아니라 섬김과 돌봄까지 감당해야 한다는 이념을 담은 것이다.
  • 국민 10명중 7명 “인체조직 기증 잘 몰라요”

    “인체조직 기증은 가장 숭고한 사랑의 실천입니다.”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박창일 이사장의 말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국내 사정은 기대와는 크게 다르다. 이타적인 삶에 익숙하지 않은 탓이다. 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가 최근 실시한 국민 인식도 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은 인체조직 기증이 생소하다고 답했다. 리서치 전문 마크로밀엠브레인과 공동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만 20세 이상 온라인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18일부터 3일 동안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인체조직 기증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 응답자는 31.7%에 그쳤다. 응답자의 99%가 헌혈(992명)과 장기기증(993명)을 알고 있었고, 골수 기증 인지도도 91%(912명)에 이른 것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법적으로 ‘인체유래물(혈액·장기·골수·인체조직)’에 해당되는 4가지 생명나눔 중 인체조직기증의 국민 인지도가 가장 낮은 것이다. 그러나 응답자들에게 인체조직 기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 뒤에는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 정보 제공 전에는 34.4%(344명)만이 인체조직 기증 서약에 긍정적이었다. 이 중 ‘꼭 서약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4.3%(43명)에 불과했다. 조직
  • [굿모닝 닥터] ‘젤틱’으로 뱃살 빼기

    다이어트는 새해 계획의 단골 메뉴다. 그래선지 병원에서 진료상담을 하다 보면 조금만 먹어도 살이 쪄서 고민이라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물론 살 찌는 게 반드시 먹는 양과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같은 양을 먹어도 근육량과 기초대사량에 따라 몸 안에 쌓이는 지방의 양이 다르다. 지방이 쌓이는 것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섭취하거나 섭취한 열량을 충분히 소진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하지만 살 빼는 일은 쉽지 않다. 종일 앉아서 일을 하는 사무직 종사자 등 운동량이 부족한 사람은 더 그렇다. 이런 경우 남은 열량이 복부에 쌓이는데, 스트레스가 코르티솔·아드레날린 등의 호르몬 분비를 촉진해 복부에 더 많은 지방이 쌓인다. 여기에다 장시간 앉아 있으면 복강이 팽창해 더 쉽게 뱃살이 찐다. 복부는 신체 부위 중 살이 가장 빨리 찌고, 가장 늦게 빠지는 곳이다. 많이 먹지 않아도 뱃살이 찌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여성은 여성호르몬 때문에 피하지방이 훨씬 쉽게 쌓인다. 이런 복부비만을 줄이려면 운동과 식습관 개선이 최선이다. 이와 함께 미네랄과 비타민을 충분히 보충해주고 근육을 키워 기초대사량을 높여야 한다. 이런 습관을 체질화하면 점차 살이 찌지 않는 체
  • 소득수준 따라 대장암 검진율 최대 3배 차이

    소득 수준에 따라 대장암 검진율이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소득층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형렬·명준표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근거로 2007~2009년 가족의 소득별 대장·직장암 건강검진 참여율을 조사한 결과 2007년 21.7%였던 검진율이 경제상황이 나빠진 2008년에는 16.9%로 줄었다가 2009년에 다시 21.2%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고 최근 밝혔다. 검진율 격차는 남성에서 더욱 컸다. 고소득 남성의 대장·직장암 검진율은 2007년 33.9%, 2008년 27.7%, 2009년 35.2%로 2009년 들어 2007년 수준을 회복했다. 반면 저소득 남성은 2007년 18.7%, 2008년 16.3%, 2009년 15.3%로 경제 여건이 다소 개선된 이후에도 검진율이 회복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최저소득층 대비 최고소득층의 대장내시경 참여율이 각각 2007년 1.93배, 2008년 2.17배, 2009년 3.10배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검사법이지만 우리나라의 대장내시경 참여도는 2009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