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북한이 간과하고 있는 복고주의/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전 세계 유명 디자이너들이 파리에 모여 2016년 ‘패션위크’ 키워드를 ‘복고주의’라고 정할 만큼 복고주의는 패션을 비롯해 드라마, 음악, 영화 등에서도 열풍이 불고 있다. 아마도 21세기 문화 코드로 20세기 전후질서 속에서 형성된 삶과 생활, 그리고 문화를 재해석하고 많은 사람이 이에 공감하기 때문에 복고주의는 트렌드로 탄력을 받는 것 같다. 그러나 ‘현재’라는 시간과 ‘공감’을 해 주는 대중이 빠진다면 복고주의는 수구주의와 별반 차이가 없을 것이다. 정책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현재’의 상황이 반영되지 않고 대내외 ‘공감’을 얻지 못한다면 복고주의는 과거 모방에 불과한 정책 쇼로 끝날 수 있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북한은 김정은 체제를 완성하는 데 정책적으로 ‘복고주의’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2016년 북한의 신년사를 비롯해 지난 5월 7차 노동당 대회와 6월 최고인민회의 등을 통해 나온 정책들이나 핵·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북한의 성명들을 볼 때, 북한은 ‘복고주의’에 기초한 김정은 체제를 완성하고 공고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복고주의 패션에 기초한 지도자 이미지 구축이다. 김정은의 헤어스타일, 안경테, 복장, 걸음걸이, 목소리, 심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