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함께 살아가야 함께 살아난다/서정협 서울시 기획조정실장
지난 5월 22일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전국 29개 기초지자체와 함께 ‘상생협력을 위한 서울선언 및 협약식’을 개최하고 ‘지역상생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 정보, 물자 3대 분야 36개 사업을 중심으로 2022년까지 2403억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이다. ‘함께 살아갑니다. 함께 살아납니다’라는 비전 아래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교류사업, 귀농·귀촌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서울·지방 간 문화예술 교류, 서울의 혁신 기술과 제도 공유, 지역상생 거점 공간 확대 등 5대 주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전문가, 민간단체, 지자체 공무원 등과 많은 세미나와 토론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상생의 키워드는 ‘사람의 교류’와 ‘지속가능한 정책’에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현재 각 지방에서는 고령화와 청년 인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순인구 감소 기초지자체는 144곳, 청년 인구 순유출 기초지자체는 157곳에 달한다. 2018년 7개 도의 노령화지수는 전국 평균 110.5를 뛰어넘는 142.1로, 전국 기초지자체의 39%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