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대학의 탄생/우석대 명예교수
대학은 현대 세계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지만, 역사 속에는 다양한 고등교육기관이 있었다. 플라톤의 ‘아카데미’, 아리스토텔레스의 ‘라이시움’, 제논의 ‘스토아’ 등이다. 이들은 철학자들이 학생들을 모아 ‘지식’을 가르친 학교가 아니었다. 철학이 모든 학문을 포괄하던 시기에 철학은 학문적 담론이 아니라 ‘삶을 선택’하는 행위였다. 철학은 지식을 가르치고 논문으로 표현하는 ‘교실의 학문’이 아니라 그 학파의 독특한 ‘삶을 선택’하는 행위였다.
어떤 철학에 입문한다는 것은 그 삶의 공동체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예컨대 플라톤의 아카데미나 제논의 스토아에 입학한다는 것은 그 학파의 세계관, 우주관, 신관, 인간관을 따르고, 그 철학을 몸과 마음으로 익히는 영적 수련의 길로 들어가겠다는 실존적인 결단을 의미했다. 다시 말해 아카데미에 입학한다는 것은 철학적 ‘공부’가 목적이 아니라 현대적 표현을 빌리면 ‘종교적 수행’이 목적이었다.
공부가 마음과 몸을 닦는 수양의 과정이라면 이 공부는 공동체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믿음과 믿음의 공동체가 학문적 공부에 우선하고, 공부는 공동체의 이상을 체현하는 수단이었다. 하지만 이런 전통은 중세 대학이 자리를 잡으면서 해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