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대학의 탄생/우석대 명예교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대학의 탄생/우석대 명예교수

입력 2022-06-07 20:16
수정 2022-06-08 0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전 2021. 이대로는 다리를 건널 수 없다.
대전 2021. 이대로는 다리를 건널 수 없다.
대학은 현대 세계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지만, 역사 속에는 다양한 고등교육기관이 있었다. 플라톤의 ‘아카데미’, 아리스토텔레스의 ‘라이시움’, 제논의 ‘스토아’ 등이다. 이들은 철학자들이 학생들을 모아 ‘지식’을 가르친 학교가 아니었다. 철학이 모든 학문을 포괄하던 시기에 철학은 학문적 담론이 아니라 ‘삶을 선택’하는 행위였다. 철학은 지식을 가르치고 논문으로 표현하는 ‘교실의 학문’이 아니라 그 학파의 독특한 ‘삶을 선택’하는 행위였다.

어떤 철학에 입문한다는 것은 그 삶의 공동체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예컨대 플라톤의 아카데미나 제논의 스토아에 입학한다는 것은 그 학파의 세계관, 우주관, 신관, 인간관을 따르고, 그 철학을 몸과 마음으로 익히는 영적 수련의 길로 들어가겠다는 실존적인 결단을 의미했다. 다시 말해 아카데미에 입학한다는 것은 철학적 ‘공부’가 목적이 아니라 현대적 표현을 빌리면 ‘종교적 수행’이 목적이었다.

공부가 마음과 몸을 닦는 수양의 과정이라면 이 공부는 공동체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믿음과 믿음의 공동체가 학문적 공부에 우선하고, 공부는 공동체의 이상을 체현하는 수단이었다. 하지만 이런 전통은 중세 대학이 자리를 잡으면서 해체됐다. 스콜라철학이 대학 학문의 중심이 되면서 독특한 삶을 지향한 ‘수양으로서의 철학’은 사라지고, 논쟁과 논증이 철학과 신학의 방법이자 내용이 됐다(서보명, ‘대학의 몰락’).

대학은 몸과 마음의 수양을 통한 이상 구현과 거리가 멀어졌다. 영적 수련과 헌신적인 삶을 위한 실존적 결단 대신 지식을 우선시하게 됐다. 시험 잘 보고 공부만 잘하는 엘리트들이 등장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된 셈이다.

공자가 ‘논어’에서 말한 ‘고지학자위기 금지학자위인’(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은 마치 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말처럼 들린다. ‘옛날 학자들은 자기 자신의 내면적 성취를 위한 학문을 했는데, 지금 학자들은 남의 눈을 의식한 학문을 한다.’

품성의 도야와 인격 완성이 아니라 남에게 인정받아 출세하고 권력 잡고 돈벌이하기 위한 학문이다. 그나마 흐릿하게 남아 있던 ‘지식인의 책임’도 황금만능주의 앞에 무릎을 꿇었다. 지금은 사리사욕에 진심인 엘리트들의 전성시대다.
2022-06-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