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2022. 1914년 크리스마스에 기적 같은 평화가 찾아왔다.
1930년에 인도차이나반도에서만 약 700건의 약식 처형, 즉 재판 없는 즉결 처형이 있었는데, 간디처럼 저항운동을 펼쳤다면 쥐도 새도 모르게 끌려가 목숨을 잃었으리라는 것이다. 영국과 프랑스의 제국주의에 온도 차이가 있었다는 말이다.
작가 조지 오웰은 간디의 저항을 영국의 언론 자유 덕분이라고 봤다. ‘영국이 그를 관대하게 대한 사실보다는 그가 자유롭게 외부에 자신을 알릴 수 있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반체제 인사가 한밤중에 사라져 영원히 소식을 들을 수 없는 나라에서라면 간디의 방식이 어떻게 먹힐 수 있겠는가. 자유로운 언론과 집회의 권리가 없다면 외부 세계에 호소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대중운동을 탄생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지금 소련에서 간디 같은 사람을 찾아볼 수 있는가.’ 제국주의 국가지만 언론 자유 측면에서 영국은 달랐다는 뜻이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스위스에서 영국해협까지 ‘서부전선’에 1000㎞의 참호가 구축됐다. 교전국들은 상대에 대한 적대감을 부추기면서 병사들의 이성을 마비시켰다.
하지만 증오와 저주만이 전장을 지배한 건 아니었다. 1914년 12월 25일 전선 이곳저곳에서 프랑스·독일·영국군이 참호를 이탈해 ‘무인(無人) 지대’에서 만났다. 그들은 그곳에서 담배와 술과 음식과 사진과 주소를 교환했다. 영국군 몇몇 부대는 독일군과 축구 시합을 했다. 기념 촬영도 했다.
증오의 전선에서 기적같이 나타난 크리스마스의 작은 평화였다. 양측 병사들은 이 소식을 편지로 고향에 알렸다. 각국 수뇌부는 엄격한 검열로 정보 유출을 차단했다. 그러나 영국 병사들만은 검열 없이 편지를 보낼 수 있었고, 몇몇 지역 신문들은 전선에서 온 편지를 인용해 기적 같은 평화 소식을 보도했다. 상대적으로 폭넓은 표현 자유를 누렸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크리스티앙 카리옹 감독의 영화 ‘메리 크리스마스’(2007)는 이런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2022-12-0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