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혼백과 귀신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혼백과 귀신

    공자는 사람이 죽으면 혼(魂)은 하늘로 돌아가고, 백(魄)은 땅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혼은 흔히 말하는 ‘넋’이나 ‘영(靈)’, ‘얼’과는 어떻게 다른가. 혼·영·넋·얼 등은 명칭은 다르지만, 그것이 갖는 의미는 같다. 이들이 뭉친 굴이 바로 우리의 얼굴이다. 혼 나갔나 봐, 넋이 빠졌다, 넋 나갔어, 얼 빠졌어 등은 모두 얼굴 모습에서 비롯됐다. 그럼 혼백은 무엇인가. 귀신의 실체는 있는가. 혼이 정신적인 것이라면 백은 물질적인 것으로, 우리 몸에 비유하면 정신은 혼이고, 이목구비를 갖춘 육체는 백이라 할 수 있다. 혼백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다. 함께 있어야만 생명이 유지되고, 반대로 혼백이 분리되면 죽는 것이다. 그럼 죽어 무엇이 신이 되고, 귀신이 되는가. 성호 이익(1681~1763)은 늙어서 죽으면 양기, 즉 혼이 흩어지며, 흩어진 혼은 둘로 나뉘어 하나는 승천하여 양으로서 신이 되고, 하나는 땅으로 들어가 음으로서 귀신이 된다고 했다. 성현(1439~1504)도 천지간 만물엔 기가 있는데, 양기의 정령을 혼, 음기의 정령을 백이라 했다. 죽으면 육체인 백은 땅으로 들어가 흙이 되고, 반면 양기의 정령 혼은 하늘로 승천하여 신명이 된다.
  •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왜 제사는 장남만 지내야 하나, 자식끼리 돌아가면서 지내면 안 되나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왜 제사는 장남만 지내야 하나, 자식끼리 돌아가면서 지내면 안 되나

    설 명절이 지난 지 채 한 달도 안 됐다. 제사 문제로 그렇게 시끌벅적하더니 언제 그랬냐는 듯이 조용하다. 세대를 떠나 제사만큼 우리의 정서와 복잡한 내면을 가진 것도 없을 것이다. 제사는 그 시대의 약속이요 관습이다. 시대가 변하면 바뀌는 것이 이치인데 제례만큼 변화에 저항과 갈등을 야기하는 풍습도 없다. 오늘날과 같은 조상 제사는 고려 말에 시작됐다. 누구나 하고 싶다고 4대 봉사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지위와 신분에 따라 차등을 두어 6품 이상은 3대, 7품 이하는 2대, 일반 백성들은 부모 제사만 지내도록 했다. 조선 말기에는 일반 백성들도 4대조까지 지냈다. 오히려 4대 봉사를 하지 않으면 상놈 소리를 듣기까지 했다. 하지만 오늘날은 어떤가. 필자의 집안은 부모 세대에서 자식 세대로 바뀌면서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제례문화의 변화와 문제점을 온전히 담고 있다. 필자는 6남 2녀에 아들로 막내다. 부모님 생전엔 설, 추석 차례, 기제사는 3대 모두 합쳐 1년에 여덟 번 제사를 지냈다. 1987년 양친이 돌아가시면서 큰형님이 제사를 모셨다. 2003년 설 명절 때 필자는 큰형수가 오랜 지병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자식은 다
  •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60년 만에 돌아오는 황금돼지해와 십이지 순서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60년 만에 돌아오는 황금돼지해와 십이지 순서

    새해는 돼지띠 기해년이다. 기해는 60갑자 중 천간 기(己)와 지지 해(亥)를 짜 맞춘 것이다. 간이 나무줄기로 양이라면 지는 나뭇가지로 음이다. 원래 천간은 자라나는 씨앗의 형상을 그린 것이다. 갑(甲)은 싹이 트기 전 껍질을 뒤집어쓴 모습이고, 을(乙)은 싹을 틔워 들고 뻗기 시작하는 형태다. 자란 줄기의 모습이 병(丙)이고, 바르고 꿋꿋하게 선 모습이 정(丁)이다. 무(戊)는 무성하게 뻗은 가지의 모양이며, 기(己)는 다 자라 정연한 형상이다. 그래서 기의 글자도 3개의 평행선을 취해 만든 것이다. 2019년은 ‘황금돼지해’ 기해년이다. 돼지해는 십이간지상 12년에 한 번씩 돌아오지만 황금돼지인 기해년은 60년 만에 돌아온다. 기해년을 황금돼지해로 부른 것은 기가 오행상 흙이고, 방위로는 중앙이며 색으로 치면 노랑, 황금색이 되기 때문이다. 돼지 하면 으레 지저분한 동물의 대명사로 불린다. 하도 더러운 곳만 찾아다니며 먹는 것만 밝힌다고 옥황상제가 주둥이를 잘라 버려 납작코가 됐다는 돼지. 하지만 돼지는 예부터 재물과 복을 주는 신통력을 지닌 동물로 여겨 왔다. 왜일까. 해(亥) 자는 돼지의 골조를 그린 문자로 종자, 씨앗의 의미인 핵(核)으로 모든
  •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왜 혼례는 신부 집에서 했을까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왜 혼례는 신부 집에서 했을까

    SNS의 발달로 시도 때도 없이 날아드는 청첩장으로 주말엔 정신이 없다. 은퇴자에게 가장 무서운 것이 청첩장이라더니 실감 난다. 그 흔한 청첩장마저 돌릴 기회조차 포기한 젊은이들을 삼포 세대(연애?결혼?출산 포기)라 한다. 옛날에는 시집 장가 못 가고 죽은 처녀, 총각 귀신을 가장 악질이라고 했다. 얼마나 한이 되고 억울했으면 모든 화기가 이로부터 나온다 했을까. 그만큼 혼인을 중요시해 신랑은 벼슬아치가 입는 관복을 입고 관청에서 빌려준 말을 타고, 신부는 왕비나 할 수 있는 원삼족두리로 치장하는 것을 허락했다. 조선 중기까지는 혼인 첫날 신랑이 종들을 데리고 저녁 무렵 처가에 당도하면 진수성찬으로 대접받고 신부와 동침에 들어가 첫날밤을 보냈다. 둘째 날은 남침이라 하여 처가 친척들과 신랑 친구, 하객들을 위한 잔치를 벌였다. 셋째 날은 신랑 신부가 비로소 초례상을 마주 보고 혼례식을 올린다. 이를 동뢰연이라 했다. 중국은 우리와 달리 신랑이 신부를 모시고 와 남자 집에서 혼례를 치렀다. 이를 친영례라 한다. 하지만 우리는 거꾸로 남자가 여자 집에 가 혼례를 치렀다. 음이 양을 따르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데, 우리의 음양이 뒤바뀌어 남자인 양이 음인 여자 집
  •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죽부인과 사랑방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죽부인과 사랑방

    111년 만에 찾아왔다는 폭염이 연일 기승이다. 이럴 땐 사방이 탁 트인 누마루, 거기에 평상 놓고 죽부인을 앉고 낮잠 잔다 생각만 해도 시원하다.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죽부인을 대나무로 엮어 만드는데, 형태는 연통과 같다. 안은 비어 있고, 바깥은 원형으로 반질반질하다. 여름에 이불 속에 팔과 무릎을 쉬게 하는 까닭에 죽부인이라 한다”고 썼다. 죽부인을 다름 말로 죽궤라고도 한다. 옛날에 죽부인은 무더운 여름 최고의 피서용품이었다. 고려 때 문신 이규보는 ‘동국이상국집’에서 죽부인을 이렇게 시로 썼다. “대는 본래 장부에 비할 것이고, 참으로 아녀자의 이웃은 아니다. 어찌하여 침구로 만들어서 억지로 부인이라 지었나. 내 어깨와 다리를 안온하게 펴고, 내 이불 속으로 찐하게 들어온다. 눈썹과 나란하게 밥상 드는 일은 못 하나 다행히 사랑을 독차지하는 몸은 되었다. 고요한 것이 가장 내 마음에 드니, 어찌 아름다운 서시(고대 중국의 유명한 4대 미녀 중 하나)가 필요하랴.” 어찌 이보다 죽부인을 잘 표현할 수 있을까. 한낱 공예품에 불과한 궤를 죽부인이라 했을까. 중국의 한무제가 무더운 여름날 감청궁이란 곳으로 피서를 갔다. 황후를 비롯해 천여 명의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