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죽부인과 사랑방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죽부인과 사랑방

입력 2018-08-12 17:26
수정 2018-08-12 17: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11년 만에 찾아왔다는 폭염이 연일 기승이다. 이럴 땐 사방이 탁 트인 누마루, 거기에 평상 놓고 죽부인을 앉고 낮잠 잔다 생각만 해도 시원하다.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죽부인을 대나무로 엮어 만드는데, 형태는 연통과 같다. 안은 비어 있고, 바깥은 원형으로 반질반질하다. 여름에 이불 속에 팔과 무릎을 쉬게 하는 까닭에 죽부인이라 한다”고 썼다. 죽부인을 다름 말로 죽궤라고도 한다. 옛날에 죽부인은 무더운 여름 최고의 피서용품이었다.
이미지 확대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고려 때 문신 이규보는 ‘동국이상국집’에서 죽부인을 이렇게 시로 썼다. “대는 본래 장부에 비할 것이고, 참으로 아녀자의 이웃은 아니다. 어찌하여 침구로 만들어서 억지로 부인이라 지었나. 내 어깨와 다리를 안온하게 펴고, 내 이불 속으로 찐하게 들어온다. 눈썹과 나란하게 밥상 드는 일은 못 하나 다행히 사랑을 독차지하는 몸은 되었다. 고요한 것이 가장 내 마음에 드니, 어찌 아름다운 서시(고대 중국의 유명한 4대 미녀 중 하나)가 필요하랴.”

어찌 이보다 죽부인을 잘 표현할 수 있을까. 한낱 공예품에 불과한 궤를 죽부인이라 했을까.

중국의 한무제가 무더운 여름날 감청궁이란 곳으로 피서를 갔다. 황후를 비롯해 천여 명의 후궁들이 따라갔으나 정작 황제의 더위를 식혀 주지 못했다. 이를 몹시 송구스럽게 여긴 황후는 장인을 시켜 대나무 궤를 만들어 황제에게 바치고 이름을 죽부인이라 했다 한다.

죽부인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고려 말 대유학자 이색의 아버지 이곡이 쓴 ‘죽부인전’ 덕이다. 그는 죽부인을 이렇게 찬양했다.

“부인의 성은 죽씨로, 이름은 빙이고, 은사 운의 딸이다. 그의 조상은 음률을 잘 알아 황제가 그를 뽑아 음악을 관장하는 일을 하도록 했다. 선대부터 사관으로 대대로 내려오다 진나라 때 분서갱유로 한미해졌다. 부인은 처녀 때부터 아름다운 자태가 있어 뭇 남자들의 유혹이 있었으나 뿌리쳤다. 18세 위인 송공(소나무)에게 시집갔으며, 성품이 날로 온후하고 아름다워 호사가들이 몰래 그려서 간직했다. 남편이 신선이 돼 떠나갔지만, 굳은 절개를 지키며 수절을 해 나라에서 절부의 직함을 주었다. 그런데 후사가 없으니 하늘이 무심탄 말이 헛말이 아니구나.”

이 소설은 당시 음란하고 타락한 궁중과 절개를 지키는 부인이 드문 것을 한탄한 것이다. 하지만 이것 때문에 남자들이 죽부인을 좋아한 것은 아니다.

이유인즉슨 죽부인은 요란하게 치장도 않고 성품까지 온화하니 얼마나 좋은가. 애인이나 첩을 둬도 질투하지 않는다. 또한 필요 없어 내 물리쳐도 싫은 기색 하나 없이 때가 되면 소리 없이 물러난다. 거기에다 절개는 굳기가 이를 데 없고, 조상 대대로 정절을 지키며 남에게 몸을 굽히는 것을 부끄럽게 여겼으니 얼마나 기특한가. 한마디로 남정네가 좋아하는 점을 다 갖췄다. 첩을 대물림 않듯 죽부인도 자식들에게 물려주지 않고 태워 버린다.

죽부인이 기거하는 곳은 다름 아닌 사랑방이다. 죽부인과 사랑방은 중세부터 남자의 전유물이요 공간을 상징하는 존재들이다. 주거 형태가 서구식으로 변하면서 사랑방이 없어져 졸지에 아버지의 공간도 사라졌다.

사랑방의 소멸은 단순히 죽부인만 쫓겨난 것이 아니라 아버지들도 쫓겨난 것과 다름없다. 사랑방은 그야말로 부권의 마지막 보류요 상징이었다. 사랑방이 없어졌다는 것은 곧 부인에게 모든 것을 싸들고 안방으로 들어가 백기를 든 것과 다름없다. 이젠 얄팍한 봉급마저도 모두 온라인으로 들어가 버리니 그 알량한 남자의 위세마저 차압당한 심정이다. 이 더위에 남편의 공간인 사랑방은 마련해 주지는 못하지만, 죽부인이라도 선사하면 어떨까.
2018-08-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