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혼백과 귀신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혼백과 귀신

입력 2019-04-21 20:48
수정 2019-04-22 00: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공자는 사람이 죽으면 혼(魂)은 하늘로 돌아가고, 백(魄)은 땅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혼은 흔히 말하는 ‘넋’이나 ‘영(靈)’, ‘얼’과는 어떻게 다른가.

혼·영·넋·얼 등은 명칭은 다르지만, 그것이 갖는 의미는 같다. 이들이 뭉친 굴이 바로 우리의 얼굴이다. 혼 나갔나 봐, 넋이 빠졌다, 넋 나갔어, 얼 빠졌어 등은 모두 얼굴 모습에서 비롯됐다.

그럼 혼백은 무엇인가. 귀신의 실체는 있는가.

혼이 정신적인 것이라면 백은 물질적인 것으로, 우리 몸에 비유하면 정신은 혼이고, 이목구비를 갖춘 육체는 백이라 할 수 있다. 혼백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다. 함께 있어야만 생명이 유지되고, 반대로 혼백이 분리되면 죽는 것이다.

그럼 죽어 무엇이 신이 되고, 귀신이 되는가.

성호 이익(1681~1763)은 늙어서 죽으면 양기, 즉 혼이 흩어지며, 흩어진 혼은 둘로 나뉘어 하나는 승천하여 양으로서 신이 되고, 하나는 땅으로 들어가 음으로서 귀신이 된다고 했다.

성현(1439~1504)도 천지간 만물엔 기가 있는데, 양기의 정령을 혼, 음기의 정령을 백이라 했다. 죽으면 육체인 백은 땅으로 들어가 흙이 되고, 반면 양기의 정령 혼은 하늘로 승천하여 신명이 된다. 하지만 생전에 원한이나 억울하게 죽어 한이 많으면 승천하지 못하고 구천에 떠다니는 귀신이 된다 했다.

신과 신명은 어떻게 다른가.

죽었다고 아무나 신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신명이 되려면 죽어서 미련 없이 이승을 떠날 수 있어야 한다. 원한이나 한이 많아 이승을 떠나지 못하면 신명이 될 수 없다. 한 세상 잘 살다 간다면 갈 때도 자연히 신명이 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승천한 양기의 혼령을 밝다는 ‘명’(明) 자를 써서 신이라 않고 신명이라 하여 예배의 대상인 부처님과 예수님, 마호메트와 같은 인격신과 구별했다. 우리나라 사람은 한도 많지만 신명이 많다고 한 것도 여기서 나온 말이다.

차례나 제사 때 음식을 차리고 절하는 것은 단지 신명격인 조상에게 예를 표하는 문화이지 결코 조상숭배가 아니다.

혼백의 분리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이를 증명하기란 실로 난망하다.

흔히 갑자기 멍해진 사람을 보고 “저 친구 혼 나갔나 봐” 하지 “백 나갔어”라고 하지 않는다. 또 갑자기 놀라 자빠지면 ‘혼비백산’이라고 한다. 혼은 날아가고 백은 흩어졌으니 마땅히 죽은 몸이나 마찬가지다. 이런 말은 우리 몸이 정신인 혼과 육체인 백으로 이루어졌음을 은연중에 드러내는 예라 할 수 있다.

주자는 혼백을 향불에 비유했다. 향에 불을 지피면 향의 냄새는 곧 혼이요, 재는 백이라 했다.

한편 혼백을 나무가 불에 타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나무가 타면 연기는 하늘로 올라가고 재가 남는다. 즉 연기는 혼이요, 타고 남은 재는 곧 육신으로 땅으로 돌아간다. 이는 연기와 재가 다시 합해져 불이 될 수 없듯이 사람이 죽은 뒤에 혼과 시신이 합해져 생물이 될 수 없는 이치와 같다. 거꾸로 연기와 재를 합쳐 다시 나무를 만들 수만 있다면, 곧 날아간 혼과 백을 합쳐 죽은 사람도 살릴 수 있다는 논리도 가능해진다.

요즈음도 사람이 죽으면 혼이 나가는 것으로 여겨 임종 직후 바로 혼을 부르는 풍속이 있다. 이를 초혼 혹은 고복이라 한다. 공자는 이런 초혼 풍속에 대해 신에게 육체를 떠난 혼이 다시 돌아와 살아나길 비는 것이라 했다.

보통 꾸짖을 때 무심코 ‘너 혼날래’, ‘혼낸다’라고 한다. 이는 단순히 꾸짖는다는 말이 아니다. 그것은 곧 몸에서 혼을 빼내 죽인다는 아주 무서운 말이다. 특히 부모들이 아이들을 야단칠 때 혼낸다는 말을 함부로 써서는 안 될 것이다.
2019-04-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