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촌지의 세계/문소영 논설실장
1990년대 초에 ‘촌지’는 이미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었다. 촌지(寸志)는 ‘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이라는 사전적 의미는 사라졌고 뇌물이었고, 적폐였다. 언론계 선배는, 추석을 앞두고 홍보맨들이 부장 데스크 앞에서 몇 마디 인사를 나누고 열어 둔 책상 서랍에 봉투를 떨어뜨리고 간 이야기, 기업 홍보맨인 친구가 건넨 책갈피에 봉투가 들어 있어서 “다시는 나를 찾아오지 마라”며 단칼에 베어낸 이야기들을 진저리를 치며 했었다. 복지부 출입기자 촌지사건이 터져 언론계 정화가 화두이던 시절이다. 촌지를 우편환으로 돌려주는 기자들이 적지 않았고 “사이비 기자나 촌지를 받지”라며 젊은 티를 내는 기자들이 많던 시절이다. ‘김영란법’이라는 부패방지법이 제정되고서 공무원뿐 아니라 기자, 교수 등도 모두 깔끔 떨면서 살고 있다고 믿는다.
최근 ‘가짜 수산업자’가 유명 정치인과 검사, 기업인, 일부 언론인에게 사기를 치고 촌지 등을 제공한 정황이 드러나 사회적 지탄을 받고 있다. 28명의 이름이 적힌 리스트도 있단다. 흔히 촌지는 아무나 받는다고 착각한다. 그렇지 않다. 그 대상이 사회적 영향력이 있거나 내 편이라야 주는 것이다. “촌지는 능력급”이라고 야유하는 이유다. 이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