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수의 연구노트] 유튜버는 처음이라서
“안녕하세요. 한국 문화 알리미 이도령입니다.”
이 한마디를 떼는 게 왜 그리도 어색하고 쉽지 않던지, 다음 말을 자연스럽게 잇지 못하고 카메라 껐다 켜기를 몇 번이고 반복했다. 머릿속에서 이미 수십 번 연습했던 문장들을 한 번 더 되뇌고 다시 심호흡 크게 한 번. 내 얼굴을 건 유튜브 채널 개설을 알리는 인사말 촬영을 그렇게 이어 갔다.
며칠 전엔 본격적인 콘텐츠 촬영을 위해 청계천으로 나갔다. 낯선 사람들에게 다가가 질문을 던지는 것은 나름 익숙한 일이었지만, “초보 유튜버 이도령입니다”라는 첫마디가 좀처럼 입에 익지 않았다. “서울신문 기자입니다”라고 말을 건넬 때 상대방에게 전해질 약간의 신뢰감, 그 ‘빽’을 내려놓자 그만큼의 부담감이 따랐다.
두세 걸음 뒤에서 나를 따라오는 카메라 한 대는 인터뷰 요청에 있어 또 다른 부담이었다. 한 시민은 “(방송에 얼굴이) 나오면 고소할 거야”라고 대뜸 경고했다. “안녕하세요”라는 인사가 채 끝나기도 전에 말이다. 지면 기사를 위한 취재 때는 없던 걱정 하나를 항상 달고 다녀야 하는 것이다. 촬영을 마친 후 편집 화면 속 나를 마주하는 순간은 나에게만 충격이었을까. 전달력이 떨어지는 말투와 목소리 톤, 사투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