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한마디를 떼는 게 왜 그리도 어색하고 쉽지 않던지, 다음 말을 자연스럽게 잇지 못하고 카메라 껐다 켜기를 몇 번이고 반복했다. 머릿속에서 이미 수십 번 연습했던 문장들을 한 번 더 되뇌고 다시 심호흡 크게 한 번. 내 얼굴을 건 유튜브 채널 개설을 알리는 인사말 촬영을 그렇게 이어 갔다.
며칠 전엔 본격적인 콘텐츠 촬영을 위해 청계천으로 나갔다. 낯선 사람들에게 다가가 질문을 던지는 것은 나름 익숙한 일이었지만, “초보 유튜버 이도령입니다”라는 첫마디가 좀처럼 입에 익지 않았다. “서울신문 기자입니다”라고 말을 건넬 때 상대방에게 전해질 약간의 신뢰감, 그 ‘빽’을 내려놓자 그만큼의 부담감이 따랐다.
두세 걸음 뒤에서 나를 따라오는 카메라 한 대는 인터뷰 요청에 있어 또 다른 부담이었다. 한 시민은 “(방송에 얼굴이) 나오면 고소할 거야”라고 대뜸 경고했다. “안녕하세요”라는 인사가 채 끝나기도 전에 말이다. 지면 기사를 위한 취재 때는 없던 걱정 하나를 항상 달고 다녀야 하는 것이다.
‘이도령’ 유튜브 채널 첫 영상 캡처
그럼에도 유튜브를 시작하면서 조금도 망설이지 않은 것은 누구나 1인 크리에이터가 되는 요즘 시대에 내 눈높이도 자연스럽게 맞춰졌기 때문이다. 십수년 전만 해도 텔레비전에 나오는 사람은 따로 정해져 있는 듯한 인식이 있었다면, 지금은 누구나 자신만의 채널을 열고 스스로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얼굴을 드러내고 시청자와 소통하는 것이 특별한 도전이 아닌, 일상의 영역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뜻이다.
물론 누구나 채널을 열 수 있다고 해서 아무나 소기의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 진입장벽이 낮은 만큼 경쟁은 훨씬 치열하고, 사람들의 시선을 끌지 못하는 콘텐츠와 채널은 철저하게 외면받는 곳이 잔혹한 유튜브의 세계다.
어떤 콘텐츠를 만들어야 첫 번째 목표인 구독자 1000명을 확보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문득 옆자리 꽃화분에 시선이 멈췄다. 얼마 전 ‘은기자’ 선배 채널의 10만 구독자 돌파를 축하하며 누군가가 보내온 화분이다. 그리고 물어봤다. 10만 구독자 채널을 일군 비결을. 선배는 “‘펜 기자’ 때는 예상치 못했던 어려움에 부닥칠 수도 있다. 지면 기사보다 시간과 노동력은 수십 배가 들어 지치기도 쉽다”면서 “그래서 이 도전 자체에 흥미를 잃지 않고 재미있게 해야 한다. 실패를 두려워 말고 도전을 즐기라”고 조언해 줬다.
tintin@seoul.co.kr
2021-04-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