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희 기자의 런던eye] ‘헝그리정신’ 흐르는 개천에서, 이제 용 안 납니다

[김민희 기자의 런던eye] ‘헝그리정신’ 흐르는 개천에서, 이제 용 안 납니다

입력 2012-08-01 00:00
수정 2012-08-01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80년대 초반 태어난 내게 첫 스포츠의 기억은 임춘애(43)다.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육상에서 깜짝 3관왕에 등극한 그녀의 “라면만 먹고 뛰었다.”는 말은 어린 마음에도 깊게 남았다. 나중에 왜곡된 기사임이 밝혀졌지만, 어쨌든 그때부터 내게 스포츠는 ‘헝그리 정신’의 다른 이름이었다. 물로 빈 배를 채워가며 뛰고 또 뛰면 저 멀리서 금메달이 기다리고 있고, 이게 꿈인지 생시인지 금메달을 이로 깨물다 보면 어느새 부와 명예가 한꺼번에 찾아와 있는 전형적인 스토리.

그땐 그랬다. 그때만 해도 개천에서는 가끔 용이 나곤 했다. 스포츠뿐만 아니다. 떡장사를 하는 홀어머니에 손가락 빨고 있는 여섯 동생을 뒤로 하고 쌍코피 흘려가며 교과서를 달달 외면 저 멀리서 소위 명문대 입학 허가서가 기다리고 있고, 졸업을 하면 어느새 부와 명예가 한꺼번에 찾아와 있는 전형적인 스토리.

그런 분위기가 우리 사회에 뭘 하든 등수부터 매기고 보는, 뭘 하든 학연으로 연결짓는 나쁜 버릇을 들여놓긴 했지만, 엘리트의 순환 구조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좋은 일이었다. 그게 고단한 1970~80년대를 헤쳐온 한국의 원동력이었다.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 요즘 개천은 물이 말랐다. 운동이든 공부든 투자한 만큼 결과가 나온다. 아이가 서울대에 가려면 엄마의 정보력, 아빠의 무관심, 할아버지의 재력이란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는 오래된 농담처럼 이제 출발선이 다른 아이들은 공정한 경쟁을 하지 못한다.

스포츠라고 예외가 아니다. 선수의 천부적 재능과 남다른 정신력에만 의존하는 시대는 이제 지났다. 돈과 관심, 시간을 들인 만큼 선수의 성적은 좋아지는 게 당연한 일이다.

불행히도 한국 스포츠계만 그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어차피 메달도 못 따는데 뭐하러 공 들이나.’라며 투자를 등한시하고, 그래 놓고서 줄줄이 예선 탈락하면 ‘그럴 줄 알았지. 우리는 원래 안 되지.’라며 혀를 차고 만다. 물론 정부나 스폰서 등의 도움이 없이는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문제는 ‘어려워도 해보자.’는 의지도 별로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런던에 와서 보고 들은 일부 종목의 안이함은 놀라울 정도였다. 지금이 어느 땐데 아직도 임춘애 라면 먹던 시절을 얘기하는 건가. 박태환은 그냥 만들어지지 않았다.

이제 개천에서 용이 나는 시대는 지났다.

haru@seoul.co.kr

2012-08-0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