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한류 기획설의 오류

[세종로의 아침] 한류 기획설의 오류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4-11-29 00:08
수정 2024-12-02 1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주도했다는 한류 기획설
한류는 팬덤 중심의 문화 현상
정부의 지나친 홍보 한류 왜곡
지속가능한 한류 정책 고민해야

외신 기자나 해외 문화 업계 관계자를 만날 때 K콘텐츠의 인기 비결에 관한 질문을 종종 받는다. 대화 중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한류 기획설’이다. 한국이 국가 홍보 차원에서 한류 현상을 기획했다는 것인데 일부는 특정 기업과 아티스트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K콘텐츠 흥행의 주된 원인이 아니냐고 반문하곤 한다.

이 같은 얘기를 들을 때마다 한류는 한국의 오랜 대중문화의 토양 위에서 창작자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탄생한 K크리에이티브의 산물이자 팬덤 중심의 자발적 문화 현상이라고 애써 설명한다. 하지만 아직도 유튜브와 해외 언론을 통해 기정사실처럼 퍼진 한류 기획설을 굳게 믿는 이들이 적지 않다.

지난 2022년을 기점으로 K팝을 비롯한 한국 영화와 드라마 등 K콘텐츠는 전 세계가 함께 즐기는 주류 문화의 반열에 올랐지만 사실 1990년대만 해도 한국은 문화 수입국에 가까웠다.

특히 대중가요의 경우는 정부의 무관심 영역에 놓여 있거나 때로 탄압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류가 뭐길래’라는 책을 쓴 심두보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1975년 정부가 긴급조치 9호를 발동하면서 청년문화의 중심에 있던 록과 포크 가수의 상당수가 무대를 떠났다”면서 “그 자리를 발라드 및 댄스 가수가 채웠고 이들이 1990년대 대중문화 황금기의 주역으로 성장해 오늘날 K팝의 기반을 다졌다”고 말했다.

사실 한류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한국 콘텐츠가 인터넷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을 통해 접근성과 유통이 확대되면서 일어난 국제적인 문화 현상이다. 그 중심에는 K콘텐츠를 자발적으로 향유하는 전 세계 팬덤이 있었다.

한류가 관제 현상이라는 한류 기획설이 퍼지게 된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한국에 대한 인식이 1970년대 정부 주도의 경제 정책에 머물러 있던 서구권 국가에서는 2000년대 이후 갑자기 등장한 한류의 원인을 손쉽게 정부 지원에서 찾았다.

이와 맞물려 한류가 정부의 문화 산업 육성의 결과물이라고 홍보하는 보도자료가 해외의 언론 및 정부 기관에 배포되면서 왜곡된 한류 인식을 키웠다. 정부가 제작한 한국 관광 홍보물에 K팝 가수들이 출연하고 지난해 새만금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의 폐막 공연처럼 정부가 주최하는 한류 콘서트에 아이돌 그룹이 자주 등장하면서 이들의 편견은 강화됐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한류의 본질보다는 산업적인 부가가치나 국가 이미지 개선 등 부수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화계 안팎에서 정부가 한류에 숟가락 얹기에만 골몰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장기적인 안목이 아닌 실적 위주의 근시안적인 정책이 난무했다.

최근 한류의 근간인 K콘텐츠의 적신호가 여기저기서 감지되고 있다. 넷플릭스만 쫓아다니던 국내 영화·드라마 업계는 제작비 상승으로 제작에 난항을 겪고 있고 K팝 업계도 구조적인 난맥상을 드러내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반한류나 혐한류 같은 위험 요인도 늘 도사린다.

이 같은 상황에서 문화 당국은 지속가능한 한류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K콘텐츠의 공정한 창작 환경을 조성하고 중소 제작사에 대한 지원 및 K팝 공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정부가 물밑에서 지원할 일들은 많다. 한 대형 기획사 대표는 “정부가 K팝의 친환경성이나 다양한 국가의 팬덤을 배려하는 등 엔터업계의 ESG 제고를 지원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한류를 주도한다는 인상을 주게 되면 결국 한국식 문화제국주의라는 역효과를 낳게 된다. K콘텐츠 업계에도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팔걸이 정책을 적용해 민간 주도의 한류가 확산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이상 한류 기획설이라는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한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문화 정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은주 문화체육부 차장

이미지 확대
이은주 문화체육부 차장
이은주 문화체육부 차장
2024-11-29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