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 고려 강화중성에서 방어시설 치(雉)와 외황(外隍) 첫 발견

    고려 강화중성에서 방어시설 치(雉)와 외황(外隍) 첫 발견

    고려는 1231년 몽골의 1차 침입 이후 2차 침입 직전인 1232년에 개경에서 강화로 도읍을 옮겼다. 몽골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내성, 외성과 함께 강화 중성을 겹겹이 축조했다. 내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흙을 다져 만든 중성은 총길이만 8.1㎞에 달한다. 이 강화중성이 만들어진 당시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방어시설이 이번에 처음으로 확인됐다. 한백문화재연구원은 6일 강화 옥림리 주택신축부지에서 발굴조사를 한 결과 성벽 외곽의 돌출된 능선부에 쌓은 방어시설인 치(雉)와 성벽 바깥에 만든 물없는 도랑인 외황(外隍) 유적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치에서는 목책 구덩이 9기가 발견됐는데 능선을 따라 한 줄을 이룬 형태다. 목책에 사용된 나무기둥을 뽑아내기 위해 인위적으로 기둥자리를 파내고 흙을 다시 메운 상태였다. ‘고려사절요’ 기록(권17 고종 46년 6월)에 따르면 몽골은 고려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강화협정을 맺으면서 강화도성을 허물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협정 이후 실제로 몽골 관리가 성벽을 허무는 과정까지 감시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연구원 측은 이번 조사를 통해 “강화 중성의 일부인 목책을 인위적으로 허물고 다시 메운 흔적이 고고학적으
  • 공주 송산리 고분군 30년 만에 재조사 완료… 3단 석축시설 성격 규명 못해

    공주 송산리 고분군 30년 만에 재조사 완료… 3단 석축시설 성격 규명 못해

    백제 웅진도읍기 왕릉인 공주 송산리 고분군(사적 제13호) 최정상부(D지구)의 계단식 석축 시설이 제사와 관련된 시설일 가능성이 커졌다. 1988년 시굴조사 이후 30년 만에 발굴조사를 시행했지만 시설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명하지는 못했다. 문화재청은 공주시와 함께 백제 무령왕릉이 있는 공주 송산리 고분군 석축 시설 2곳에 대해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지난 6월부터 능선 하단부 A지구와 고분군의 최정상부 D지구를 발굴조사했다. D지구에서는 폭 1단 15m, 2단 11.4m, 3단 6.92m, 전체 높이 3.92m의 3단 석축 시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30년 전에 밝혀졌다. 이에 대해 적석총(돌무지무덤)설, 석탑설 등이 제기됐다. 30년 만에 조사를 재개했지만 이번에도 시신을 두는 매장 주체부를 확인하지는 못했다. 다만 남쪽에서 나무기둥을 세운 구멍이 발견돼 제사 관련 시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원 측은 밝혔다. 석축 하부는 흙을 켜켜이 다져 올리는 판축 기법을, 상부는 기반층을 깎아내고 그 위에 다시 흙을 쌓는 삭토 기법을 쓴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원은 유구(건물의 자취) 주변에서 쇠못이 출토돼 적석총일 가능성을 완전히
  • 여주도서관, 독서 인문학 특강

    여주도서관, 독서 인문학 특강

    경기 여주시 평생학습센터 여주도서관은 오는 17일까지 독서 인문학 특강 ‘세상을 바꾼 책에 대한 소문과 진실’을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2018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사업의 일환인 이번 강좌는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으로 직장인, 학생 등 주간 이용이 어려운 계층의 도서관 이용 확대와 더불어 여주시민의 인문학적 소양 고취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특강은 ‘책의 정신’의 저자인 강창래 작가가 진행을 맡으며,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17일까지 4회에 걸쳐 매주 월요일 오후 7시에 여주도서관에서 운영된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이 강좌를 통해 책에 대한 역사와 철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균형 잡힌 독서 방법을 모색하고 독서 능력을 개발하는 시간을 갖게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여주도서관팀(031)88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 도난당한 조선시대 승탑 부재·석조 불상 되찾았다

    도난당한 조선시대 승탑 부재·석조 불상 되찾았다

    도난당한 조선시대 불교 문화재인 울산 신흥사 승탑 부재와 경남 창원 상천리 석조여래좌상을 되찾았다. 문화재청은 2000년 10월 사라진 신흥사 승탑 부재와 2013년 1월 상천리 절터에서 도난당한 불상을 27일 오전 회수했다고 밝혔다. 두 문화재는 개인 자택 등지에서 은닉되고 있다가 이번에 적발됐다.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은 두 유물을 불법으로 취득한 뒤 보관하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한 뒤 지속적으로 수사해 문화재를 회수했다. 신흥사 승탑 부재는 사각형 돌로, 겉면에 ‘康熙四十辛□愚堂大師□□巳三月日’(강희사십신□우당대사□□사삼월일)이라는 한자가 새겨져있다. 청나라 강희제 제위 40년인 1701년에 조성된 승탑임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승탑 부재에는 연꽃을 돋을새김한 부분이 있는데 울산 신흥사의 승탑석재와 동일하다. 이 부재는 현재 비지정문화재이나, 조선 후기 울산·경남 지역의 승탑과 비교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당시 석조물의 양식을 규명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석조여래좌상은 후대에 불두(佛頭·부처의 머리)를 붙인 불상이다. 양쪽 어깨를 모두 덮는 옷을 입고 가부좌를 했으며 둔중한 체구에 결가부좌한 양발이 모두 드러나 있다. 옷을 잡은 손가
  • 작은도서관과 담소 공간으로 변신한 정릉 신덕왕후 도서관

    작은도서관과 담소 공간으로 변신한 정릉 신덕왕후 도서관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1396)의 무덤인 서울 성북구 소재 정릉(貞陵)의 재실 행랑채가 작은 도서관으로 변신했다. 문화재청은 야외에서 운영하던 ‘신덕왕후 도서관’을 행랑채로 옮기고 지역 주민과 관람객들이 담소를 나눌 수 있도록 새롭게 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토요일과 일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개방한다. 도서관 양쪽 두 개의 방은 신덕왕후 일화를 바탕으로 ‘버들잎방’과 ‘빗물방’으로 이름 붙였다. 버들잎방은 이성계가 사냥을 다녀오는 길에 목이 말라 우물가에 이르러 신덕왕후를 만나 물을 청했더니 신덕왕후가 급하게 마시지 말라며 버들잎을 띄워 건넸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빗물방은 사후 태종 이방원에 의해 폐위되었던 신덕왕후가 현종 10년(1669년) 신덕왕후로 다시 복위되던 날에 정릉 일대에 큰 비가 내렸다는 기록에서 비롯됐다. 신덕왕후는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뒤 신덕고황후로 추존됐다. 버들잎방과 빗물방은 연중 상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전에 전화로 예약하면 학습이나 소모임 장소로도 이용할 수 있다. 문의는 (02)914-5133.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 조선 대표 궁중 회화 ‘기사계첩’ 31년 만에 국보로 승격된다

    조선 대표 궁중 회화 ‘기사계첩’ 31년 만에 국보로 승격된다

    조선 숙종의 기로소(耆老所) 입소를 기념하는 행사의 모습을 그린 서화첩 ‘기사계첩’(耆社契帖)이 보물로 지정된 지 31년 만에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1987년 보물 제929호로 지정한 기사계첩을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사계첩은 숙종 45년(1719년)에 열린 70세 이상의 관리들의 모임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모임에 참여한 관료들이 계(契)를 조직해 궁중화원에게 의뢰해 만들었다. 행사는 1719년에 열렸으나 참석자들의 초상화를 그리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이듬해인 1720년에 완성됐다. 기로소는 나이 70세를 넘은 정2품 이상 문관을 우대하던 기관이다. 1719년 당시 59세였던 숙종은 기로소에 들어갈 나이가 아니었지만 태조 이성계가 60세에 기로소에 들어간 전례에 따라 빠르게 기로소에 입소했다. 그림은 경희궁 흥정당에서 기로소에 어첩을 봉안하러 가는 행렬을 담은 어첩봉안도(御帖奉安圖)를 시작으로 기로신(耆老臣)들이 경희궁 숭정전에서 진하례를 올리는 장면인 숭정전진하전도(崇政殿進賀箋圖), 경현당에서 왕이 기로신들에게 연회를 베푼 광경을 묘사한 경현당석연도(景賢堂錫宴圖), 기로신들이 하사받은 은배(銀盃)를 들고 기로소로 돌아가는 행
  •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5월 11일로 선정

    동학농민군이 관군과 최초로 싸워 승리한 날이 법정 기념일이 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선정위원회가 ‘황토현전승일’인 5월 11일을 법정 기념일로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문체부는 법령 개정 절차를 통해 행정안전부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반영한다. 황토현전승일은 동학농민군과 관군이 황토현 일대에서 최초로 전투를 벌여 동학농민군이 대승을 거둔 날이다. 위원회는 황토현전승일이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 동학농민군 지도부가 조직적으로 관군과 격돌해 최초로 대승한 날이며, 이 날을 계기로 농민군의 혁명 열기가 크게 고양한 점, 이후 동학농민혁명이 전국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문체부가 지난 2월 구성한 위원회는 그동안 4개 지자체가 추천한 지역 기념일을 대상으로 공청회 등을 거쳐 역사성, 상징성, 지역참여도 등 선정 기준에 따라 기념일로서의 적합성을 심사해왔다. 안병욱 위원장은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측면과 기념일로서의 상징적 측면 그리고 지역의 유적지 보존 실태와 계승을 위한 노력 등을 감안할 때 황토현전승일이 기념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면서 “기념일 선정으로 동학농민
  • 영남대 연구팀, 학문 융합해 ‘암 치료 기반 기술’ 개발

    영남대 기계공학부 변정훈(39) 교수와 약학부 김종오(43), 용철순(62) 교수가 기계공학과 약학 분야 융합 연구를 통해 암 치료에 적용 가능한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영남대 공동 연구를 통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지난해 학문간 융합 연구를 통해 약물 제조 신기술을 개발해 학계로부터 크게 주목받은 바 있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그 후속 연구 성과다. 영남대 연구팀은 이번에 세계 최초로 에어로졸 연속공정(Aerosol Continuous Process, 기체 공정을 통한 흑린의 연속적 나노화)을 통해 흑린(Black Phosphorus) 나노화(Nanorization, 나노미터 크기로 미립화)를 구현했다. 암 치료에 최적화된 흑린 제조 기술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변정훈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기존의 복잡하고, 유해한 나노화 공정을 대체함과 동시에 균일한 형태로 연속제조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안했다”면서 “나노화된 흑린을 화학-온열면역치료용 나노물질의 기반소재로 적용해 직장암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연구 성과를 밝혔다. 최근 20년간 다중적 암치료(화학, 면역 등의 기능이 동시에 적용된 복합적 치료 기법)를 위한 자극반응형(Stimul
  • “여성도 위인이 될 수 있나요” 프랑스 여성 사회학자의 진단

    “여성도 위인이 될 수 있나요” 프랑스 여성 사회학자의 진단

    교보문고가 대산문화재단, 주한 프랑스대사관과 함께 새달 7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에서 프랑스 사회학자 크리스틴 데트레즈(Christine Detrez) 초청 강연을 연다. ‘2018 교보인문학석강-프랑스 석학 초청’ 시리즈의 세번째 행사다. 크리스틴 데트레즈는 현재 리용 고등사범학교 사회학 교수로 재직하며 문화 및 젠더 사회학 분야의 도서를 다수 집필했다. 사회학 연구와 소설 집필을 병행하고 있다. 2016년에 프랑스에서 출간된 저서 ‘여성은 위인이 될 수 있을까?’를 통해 여성의 대학 입학률이 남성을 앞서고 있음에도, 여전히 유명 여성인의 수가 적은 이유와 보다 평등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했다. 강연은 저서 내용을 중심으로 청중과의 질의응답으로 꾸려질 예정이다. 프랑스 석학 초청 시리즈는 한국과 프랑스를 대표하는 저명 인사를 초청해 데이터 개방, 페미니즘, 건축, 교육 등 양국의 현실과 맞닿은 주제들에 대해 머리를 맞대는 우호증진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연은 새달 7일 오후 7시 30분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교보컨벤션홀에서 개최되며, 참가 신청은 인터넷교보문고 문화행사 홈페이지 또는 대산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해서 할 수 있다. 참
  • 50여년 만에 제자리 찾은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50여년 만에 제자리 찾은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50여년 간 다른 유물로 여겨진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가 제자리를 찾았다. 문화재청은 보물 제455호에 해당하는 유물의 명칭을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에서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변경하고,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를 보물 제2001호로 신규 지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 경상도 경주시 노서동 고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금귀걸이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는 함께 발굴된 ‘경주 노서동 금팔찌’(보물 제454호),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보물 제456호)와 함께 1967년 보물 제455호로 지정됐다. 당시 지정 명칭은 ‘태환이식’(太環耳飾·굵은고리 귀걸이)으로 출토지가 명시되지는 않았다. 노서동 금귀걸이는 1933년 발굴 이후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 도쿄박물관이 각각 한 개씩 보관해왔는데, 1965년 한일협정으로 이듬해 도쿄박물관이 소장한 귀걸이가 국내에 돌아왔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각종 전시도록이나 자료에서 보물 제455호를 소개할 때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가 아닌 그 형태와 제작 기법이 유사한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사진이 사용됐다. 2009년 국보와 보물 명칭을 개선할 때도 보물 제455호의 이름이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가 아닌 ‘경
  • 불교 의식 ‘불복장작법’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불교 의식 ‘불복장작법’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불상이나 불화에 불교와 관련한 물품을 봉안하는 의식인 ‘불복장작법’(佛腹藏作法)이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고려시대 이래 700년 넘게 이어진 불복장작법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30일 밝혔다. 불복장작법은 세속적인 가치를 지닌 불상이나 불화에 종교적인 가치를 부여해 예배의 대상으로 전환하는 의식이다. 불복장 의례를 설명한 책인 조상경(造像經)이 1500년대부터 간행됐고,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전승의 맥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불교문화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중·일 3국 중에서 의식으로 정립된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고 ‘조상경’ 역시 우리나라에만 있는 경전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절차와 의례요소가 다양하고 복잡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고, 세부 내용마다 사상적·교리적 의미가 부여됐다는 점도 문화재로서 높은 평가를 받는 요인이다. 더불어 2014년 4월 설립된 ‘대한불교 전통불복장 및 점안의식보존회’는 불복장작법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됐다. 문화재청 측은 “전통 불복장 법식에 따라 의식을 정확하게 구현하는 등 전승 능력을 갖췄고, 종단을 초월한 주요 전승자가 모두 참여해 복장의식을 전승하려는 의지가 높다”고 설명했다.
  • 한·일 문화교류 상징 조선통신사선… 200여년 만에 역사적인 항해

    한·일 문화교류 상징 조선통신사선… 200여년 만에 역사적인 항해

    조선은 선조 40년(1607년)부터 순조 11년(1811년)까지 12회에 걸쳐 일본에 사신단을 파견했다. 한 번 파견될 때마다 300~500명에 이르는 대규모의 사신들이 일본에서 6개월에서 1년 정도 머무르다 돌아왔다. 조선의 수준 높은 문화와 예술을 일본에 전파한 조선통신사들이 탔던 배가 200여년 만에 역사적인 항해를 시작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6일 전남 목포 앞바다에서 조선시대 한일 교류의 상징인 조선통신사선을 실물 크기로 재현해 공개했다. 2015년 6월 기초설계에 착수한 지 3년 만에 완성한 배다. 조선통신사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한·일 공동 등재 1주년을 맞아 마련된 이날 진수식에서는 현판 제막식을 비롯해 뱃고사, 국악관현악 공연, 시승식 등이 진행됐다. 그에 앞서 배 내부에서 기자들과 만난 이귀영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장은 “조선통신사선은 국왕을 대신해 일본에 가는 사신이 타는 배이기 때문에 고품격으로 지었다”면서 “왕이 사는 공간을 장식했던 단청으로 배를 꾸민 것 역시 배가 지닌 그러한 상징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1억원을 들여 완성한 이 배는 사신의 우두머리인 정사(正使)가 타고 간 ‘정사기선’을 재현했다. 뱃머리, 판옥, 취사
  • 문정왕후가 아들 명종 만수무강 빌며 제작한 불화 보물 된다

    문정왕후가 아들 명종 만수무강 빌며 제작한 불화 보물 된다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1501~1565)가 아들 명종(재위 1545~1567)의 만수무강과 후손 탄생을 기원하며 제작한 불화가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5일 밝혔다. 16세기 승려 보우가 쓴 화기(畵記)에 따르면 문정왕후가 경기 양주 회암사를 중창하면서 석가, 약사, 미륵, 아미타불을 소재로 한 금니화(金泥畵·검은 바탕이나 풀색 바탕에 금물만으로 그린 그림)와 채색화 각 50점을 포함해 총 400여점의 불화를 제작했다. 그 중 6점이 남아있는데 국내에 남은 불화는 이 그림이 유일하다. 4점은 일본에 있고, 1점은 미국 버크 컬렉션에 소장돼 있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약사여래삼존도는 가운데 본존인 약사여래를 두고 왼쪽과 오른쪽에 월광(月光)보살과 일광(日光)보살을 배치했다. 금물로 그려 화려하고 격조가 느껴진다. 주존불과 보살 사이에 엄격한 위계를 둔 고려불화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갸름한 신체와 작은 이목구비 등 조선전기 왕실 불화의 특징도 반영되어 있다. 당시 막강한 권력을 소유했던 문정왕후가 지원한 회암사는 승려 보우가 활동할 시기에 최대 규모
  • 러시아 연해주에서 서울 풍납토성처럼 축조한 옛 발해 성터 발견

    러시아 연해주에서 서울 풍납토성처럼 축조한 옛 발해 성터 발견

    러시아 연해주 남서부에 자리한 옛 발해 토성이 한성백제의 도성인 서울 풍납토성과 같은 방식으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와 함께 지난 8~9월 연해주 남서부 라즈돌나야 강가에 자리한 스타로레첸스코예 발해 평지성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스타로레첸스코예 유적은 발해의 지방행정구역 15부 중 솔빈부(率濱府)의 옛 땅에 있는 평지성으로, 서쪽과 북쪽, 동쪽으로 라즈돌나야 강(옛 이름 솔빈강)이 흘러 해자(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밖을 둘러 파서 못으로 만든 곳) 역할을 하고 있으며 150m 길이의 남벽과 30m 길이의 짧은 서벽이 남아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스타로레첸스코예 유적 성벽의 전체 규모와 축조 방식을 확인했다. 성벽은 강자갈과 점토로 기초를 다진 후 중심부를 사다리꼴 모양으로 판축기법을 사용해 쌓고 다시 흙으로 덧쌓아 축조됐다. 중심부는 점토층과 모래층을 번갈아 가며 20겹 정도를 쌓았고, 판축한 점토층의 윗면에서는 목봉(木棒) 등으로 다진 흔적을 확인했다. 판축은 판자를 양쪽에 대고 그 사이에 흙을 단단하게 다져 쌓는 건축방식으로, 서울
  • 조선 군주 세조의 ‘얼굴’을 만나다… 국립고궁박물관 ‘세조 어진 초본’ 첫 공개

    조선 군주 세조의 ‘얼굴’을 만나다… 국립고궁박물관 ‘세조 어진 초본’ 첫 공개

    화가 이당(以堂) 김은호(1892~1979)가 1935년에 그린 세조 어진(御眞·왕의 초상화) 초본이 처음 공개된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세조 어진 초본과 더불어 세조 관련 유물 및 사진·영상 자료 30여점을 선보이는 테마전 ‘세조’를 22일부터 내년 1월 13일까지 궁중서화실에서 연다고 18일 밝혔다. 2016년 국내 경매에 출품된 세조 어진 초본을 구매한 고궁박물관이 2년 만에 일반에 처음 공개하는 자리다. 세조 어진 초본은 1935년 화가 김은호가 1735년 제작한 세존의 또 다른 어진을 모사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그린 밑그림이다. 어진 초본의 크기는 가로 131.8㎝, 세로 186.5㎝로 우측 하단에 김은호의 인장이 찍혀 있다. 한국전쟁을 피해 부산국악원 창고로 옮겨 보관되었던 조선시대 어진 대다수가 1954년 11월 용두산 화재로 소실된 상황에서 이 초본은 세조의 모습을 알려주는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전시에는 세조 어진 초본 외에도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형인 문종의 지시로 육지에서 벌이는 전투의 진을 짜는 방법을 모아 편찬한 책 진법(陳法), 세조 10년(1464)에 불교 서적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을 번역해 펴낸 ‘선종영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