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중성에서 처음으로 방어시설이 발견됐다. 사진은 조사지역 전경.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고려는 1231년 몽골의 1차 침입 이후 2차 침입 직전인 1232년에 개경에서 강화로 도읍을 옮겼다. 몽골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내성, 외성과 함께 강화 중성을 겹겹이 축조했다. 내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흙을 다져 만든 중성은 총길이만 8.1㎞에 달한다. 이 강화중성이 만들어진 당시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방어시설이 이번에 처음으로 확인됐다.
한백문화재연구원은 6일 강화 옥림리 주택신축부지에서 발굴조사를 한 결과 성벽 외곽의 돌출된 능선부에 쌓은 방어시설인 치(雉)와 성벽 바깥에 만든 물없는 도랑인 외황(外隍) 유적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치에서는 목책 구덩이 9기가 발견됐는데 능선을 따라 한 줄을 이룬 형태다. 목책에 사용된 나무기둥을 뽑아내기 위해 인위적으로 기둥자리를 파내고 흙을 다시 메운 상태였다.
‘고려사절요’ 기록(권17 고종 46년 6월)에 따르면 몽골은 고려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강화협정을 맺으면서 강화도성을 허물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협정 이후 실제로 몽골 관리가 성벽을 허무는 과정까지 감시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연구원 측은 이번 조사를 통해 “강화 중성의 일부인 목책을 인위적으로 허물고 다시 메운 흔적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치와 함께 외황과 초소의 흔적도 확인됐다. 외황은 치를 두 겹으로 둘러싼 형태다. 풍화암반층을 L자형과 U자형으로 파내고 흙을 성벽처럼 다져 올려 도랑을 만들었다. 또 신라 토기를 버린 폐기장도 확인됐는데 신라시대부터 군사 목적의 방어시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은 추정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