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녹색 안료 ‘동록’ 비밀 4년 만에 풀려… 문화재 복구 청신호
경복궁, 창덕궁 등 한국 전통 건축물의 단청이나 괘불, 초상화 등에 녹색 안료로 쓰인 ‘동록’(銅綠)의 비밀이 밝혀졌다. 명맥이 끊어졌던 전통 안료를 되살리는 동시에 향후 문화재 원형 복원 작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30일 “목조건축물의 단청, 괘불, 사찰 벽화 등에 녹색 안료로 자주 사용된 인공 무기안료 동록을 전통 제법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리 문화재에는 청색을 표현하는 회청, 황색을 표현하는 밀타승, 적색을 표현하는 연단, 백색을 표현하는 연백과 녹색을 표현하는 동록이 주로 사용됐는데, 동록은 다른 안료와 달리 제조법이 단절된 데다 역사적 자료도 많지 않아 그동안 복원이 어려웠다.
동록은 구리가 산화해 만들어진 녹색 안료다. 전통적으로 구리 및 구리합금을 인공적으로 부식시켜 분말 형태로 제조해 재료로 썼다. 연잎처럼 짙은 녹색을 띠어 ‘하엽’(연꽃의 잎)으로도 불렸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이 ‘본초강목’, ‘신수본초’ 등 고문헌을 조사한 결과 동록의 제법은 동기(구리나 구리합금으로 만든 그릇이나 물건)를 초(醋)로 부식시켜 만드는 산부식법이 대부분이었다. 이 외에 동기를 가루로 만들어 광명염(할로겐 화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