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김종근 박사
지도는 의도성이 드러난 매체
日지도, 독도에 대한 욕심 표현
최근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만난 김종근 박사가 지난달 출간한 ‘지도 위의 세계사’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류 역사상 지도를 누구나 쉽게 누리게 된 것은 지극히 최근의 일이다. 제대로 된 지도를 갖기까지 인류에겐 만만치 않은 노력이 필요했다. 홀로 외롭게 수많은 고지도 속 독도와 동해를 찾아 헤맨 김 박사가 지난달 출간한 ‘지도 위의 세계사’는 지도에 얽힌 인류 문명의 역사가 담긴 책이다.
최근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만난 그는 “고지도는 상상력의 흔적을 볼 수도 있고, 장소에 대한 인식론의 변화도 보게 한다”면서 “지도는 텍스트만큼 인류 역사에 중요한 매체”라고 강조했다. 지금 보면 어이없을 정도로 왜곡된 고지도를 자세히 보다 보면 인류가 세계를 이해하고자 했던 근원적인 궁금증이 어떻게 표현됐는지를 마주하게 된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규장각 소장본). 위키피디아
김 박사는 “지도 만드는 게 보통 일이 아닌데도 만들었다는 건 나름의 목정성이 있었다는 것”이라며 “지도는 순진무구한 텍스트가 아니라 굉장히 의도성이 드러난 매체다. 그래서 현재도 목적성에 맞춰 제작,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모두가 같은 지도를 쓰는 시대에 무슨 말인가 싶지만 일본해와 다케시마로 표기하려는 일본과 동해와 독도로 표기하려는 한국을 생각하면 어떤 의미인지 쉽게 이해된다.
그에겐 밥벌이인 지도가 다른 사람들에겐 어떤 의미가 있을까. “텍스트와 표로만 봐서 한계가 있는 부분을 보완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매체로서 지도가 쓰여 왔고, 앞으로도 쓰여야만 한다고 생각한다”는 교훈을 전한 그는 “부동산이 유행이고 난리인데, 지도를 읽는 법도 모르고 땅을 사면 안 된다. 부동산으로 돈을 벌기 위해서라도 지도는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현실적인 중요성을 강조하며 웃었다.
2022-09-0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