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구리합금 섞어 재현 성공
건축물 단청 등 복원 활용 전망
구리(맨 왼쪽) 및 구리합금 등을 부식시켜 만든 전통 안료 ‘동록’의 제조법이 밝혀지면서 채색 문화유산의 원형 복원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30일 “목조건축물의 단청, 괘불, 사찰 벽화 등에 녹색 안료로 자주 사용된 인공 무기안료 동록을 전통 제법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리 문화재에는 청색을 표현하는 회청, 황색을 표현하는 밀타승, 적색을 표현하는 연단, 백색을 표현하는 연백과 녹색을 표현하는 동록이 주로 사용됐는데, 동록은 다른 안료와 달리 제조법이 단절된 데다 역사적 자료도 많지 않아 그동안 복원이 어려웠다.
동록은 구리가 산화해 만들어진 녹색 안료다. 전통적으로 구리 및 구리합금을 인공적으로 부식시켜 분말 형태로 제조해 재료로 썼다. 연잎처럼 짙은 녹색을 띠어 ‘하엽’(연꽃의 잎)으로도 불렸다.
궁궐 단청의 초록은 동록으로 칠한다. 류재민 기자
지난 4년간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산부식법과 염부식법을 순차적으로 시도해 동록의 성분과 제조법 등을 연구했다. 그 결과 순수한 구리 및 4종의 구리합금(구리+주석, 구리+아연, 구리+주석+납, 구리+주석+아연+납) 분말을 원료로 염부식법으로 재현한 동록 안료가 실제 문화재에 쓴 색상과 성분이 동일하고 입자 형태도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전통 동록은 천연보다는 인공적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기술 수준이 높았음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올해 말까지 동록 안료의 제조법 재현 연구를 정리해 학계에 발표하고 제조기술 특허출원과 기술이전, 종합보고서 발간 등 단계적으로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2022-08-3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