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우리 새말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에듀테크’는 무엇일까?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에듀테크’는 무엇일까?

    새말모임 2조에서 6월에 올라온 새말 후보 용어는 모두 7개였다. 베케플레이션(vacaflation, vacation + inflation), 클러터코어(cluttercore), 빅테크(big tech), 메타 패션(meta fashion), 에듀테크(edu tech, education+technology),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 리테일 테라피(retail therapy)였다.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단어가 두 개나 있는 것을 보니 확실히 수십 년 만에 인플레이션 시대가 오는 게 실감이 났다. 새말모임 위원들은 그중에서 빅테크와 에듀테크를 다듬기로 했다. 후보 낱말 중에서는 그래도 제법 익숙한 말들이다. 하지만 익숙하기 때문에 우리말로 마침맞게 바꾸는 일이 쉽지 않아 보였다. 새말모임 회의를 위해 준비된 자료에 ‘에듀테크’는 ‘교육 분야에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산업’을 뜻한다고 나와 있었다. 위원들 사이에서 ‘에듀테크’가 기술을 가리키는지, 산업을 가리키는지를 두고 토론이 벌어졌다. 한 위원이 에듀테크를 핀테크와 같은 용어로 본다며 교육을 정보화 차원에서 다루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교육 정보화 기술’로 다듬자는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페일콘’보다는 ‘실패 공유 모임’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페일콘’보다는 ‘실패 공유 모임’

    영문 표기 없이 ‘페일콘’이라는 단어를 처음 ‘보았을 때’ 어떤 의미로 해석이 되는가. ‘페일’이라면 먼저 ‘pale’, 즉 색이 옅다, 흐리다는 단어가 떠오를 수 있겠다. 그럼 ‘콘’은? 제일 쉽게 연상되는 단어가 ‘corn(옥수수, 알곡)’ 혹은 ‘cone(원뿔)’이 아닐까. 그렇다면 ‘페일콘’은 ‘옅은 색 옥수수’? ‘흐린 색 원뿔’인가? 그것도 아니면 ‘레미콘(ready-mixed concrete)’ 같은 콘크리트의 일종일까? 틀렸다. 요즘 종종 언론 등에 등장하는 페일콘은 다름 아닌 ‘failcon’이다. “창업자와 투자자 등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자신의 실패 경험을 공유하고 실패 요인과 해법 등을 논의하는 자리”라는 뜻으로, 영어 낱말 ‘fail conference’의 줄임말이다. 페일콘은 해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리는 행사의 이름, 즉 일종의 고유명사다. 그것이 마치 보통명사처럼 쓰여 국내 언론에서도 “창업 실패 두렵다는 청년들 ‘페일콘’ 필요해요”(시사저널), “실패담 나눌 ‘한국판 페일콘’ 열자”(한겨레) 등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예를 든 것처럼 영문 표기를 병행하지 않는 한 그 뜻을 다양하게 오해할 수 있다. 특히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대체 가능’한 말 다듬기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대체 가능’한 말 다듬기

    드문 일이다. 여론조사 결과부터 먼저 이야기하자면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 단어를 두고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25.6%) 혹은 “외국어든 우리말이든 상관없다”(19.8%)고 답했다. 쉬운 우리말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54.6%)에 비슷한 비율로 외국어를 사용하는 것에 크게 부정적이지 않은 응답이 나타난 것이다. 한편 이 단어를 처음 들어 본다는 사람이 38.9%나 된다. 그런데 나머지 이 단어를 들어 본 적이 있고 의미를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 중에서 그 뜻이 “생각했던 것과 같은 의미”라고 답한 비율은 무려 96.3%에 달했다. 이 단어는 바로 엔에프티(NFT·non-fungible token)다. ‘엔에프티’는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받아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블록체인상의 디지털 저장물’을 뜻한다. 그러니까 실물 상품 혹은 작품을 버리거나 잃어버려도 ‘상표 등록 재산권’에 해당하는 이 엔에프티를 갖고 있으면 새로운 실물을 다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는 개념이다. 그렇지만 이 분야에 관심 있는, 그래서 이 단어를 눈여겨본 사람들은 그 뜻을 정확히 아는 듯하다. 2018년 처음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오픈 스페이스’는 ‘열린 쉼터’로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오픈 스페이스’는 ‘열린 쉼터’로

    오픈 스페이스. 단순히 직역하면 열린 공간이다. 새말을 다듬는 새말모임 위원들이 크게 고민스러울 때가 있다. 그중의 하나는 그저 직역으로 고치는 것으로 그칠 때가 아닐까 싶다. 번역할 것이라면 다듬을 필요가 있을까 하는 고민이 생길 테니까. 멘토는 사전적으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지도하고 조언해 주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렇지만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디세우스가 자기 아들의 교육을 맡긴 지도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뜻을 제외하고 멘토라는 의미를 쉽게 살릴 수 있을까? 가스라이팅은 조지 큐커 감독, 잉그리드 버그만 주연의 영화 ‘가스등’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 말을 그저 ‘가스등’이라고 번역하면 사람들에게 와닿을 수 있을까?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계획에서 사람들에게 놀이 활동을 하게 하거나 사람들의 마음에 편안함을 줄 목적으로 마련한 공간을 뜻한다. “주변 환경에 맞춘 단지 배치와 함께 단지 내에는 대규모 오픈 스페이스와 에코 정원을 도입해 쾌적함을 극대화할 예정이다”(서울경제 2022년 4월) 같은 용도로 언론에서 사용되고 있다. 목적도 다양한 만큼 단순히 열린 공간으로 직역하면 의미가 없을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다. ‘열린 쉼터’가 제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엔데믹 블루’는 ‘일상 회복 불안’으로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엔데믹 블루’는 ‘일상 회복 불안’으로

    지난 새말모임에서 다듬을 용어 후보는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소셜 프랜차이즈(social franchise), 콘테크(contech. construction+technology), 쇼루밍(showrooming), 엔데믹 블루(endemic blue),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 자이낸스(zinance. z+finance)였다. 이 중에서 위원들이 우선 다듬을 말로 고른 것은 ‘엔데믹 블루’였다. 그간 코로나와 관련해 다듬은 말들의 반응이 좋았기 때문에 위원들은 오히려 더 조심스러워했다. ‘촌철살인’이라는 말이 있듯이 말로 무엇인가를 규정하고 권한다는 것에는 어마어마한 무게가 있다. ‘잡초’라는 규정 하나에 많은 풀이 그저 뽑혀 나가야 할 존재가 돼 버리기도 한다. 그래서 위원들은 언어로 규정해 제안하는 일의 무게감을 깊이 느끼는 것이리라. 엔데믹 블루는 ‘거리두기 완화로 일상에서의 제약이 느슨해지고,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남에 따라 코로나 사태로 익숙해졌던 그간의 일상이 급변해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라는 뜻의 신조어다. 언론에 따르면 엔데믹 블루를 호소하는 사람이 느는 추세라고 한다. 한 위원이 “제가 느끼기에는 엔데믹이라는 용어를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새롭게 힘받아 뜨는 말들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새롭게 힘받아 뜨는 말들

    다듬을 외국어 새말 후보를 훑어보던 새말모임 위원들 중 몇 사람이 고개를 갸웃했다. 디제라티(digerati)? 이게 무슨 뜻이지? 풀이를 보니 디지털(digital)과 지식인을 뜻하는 ‘리터라티’(literati)를 붙인 합성어다.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가는 새로운 지식 계층을 뜻한다고 한다. 다시 한번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평소 우리말 순화에 관심을 두고 불필요한 외국어 표현이 새로 등장하는 현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새말모임 위원들에게조차 낯선 단어가 아닌가. 그렇다면 일반 국민에게는 더더구나 낯설 법한 단어를 서둘러 다듬어야만 할까? 위원들은 잠시 고민을 했다. 결론은 이러했다. 이미 많이 쓰고 있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 작업은 물론 시급하지만, 아직은 낯선 단어를 한 발짝 빨리 새말로 바꾸는 작업 역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외국어 신조어가 우리 사회에 안착하기 전에 우리말이 먼저 단단히 자리를 다져 놓으면 외국어가 불필요하게 끼어들 여지가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디제라티’는 특히나 쓰임새가 더 넓어지리라 예측되는 단어다. 지금은 주로 사회학이나 언론정보학 등 학술 분야에서만 주로 쓰이고 있지만, 정보화 속도가 갈수록 빨라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핏’이 몰고 오는 신조어들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핏’이 몰고 오는 신조어들

    최근 국내 한 대기업이 신입사원 채용에 ‘컬처 핏(culture-fit) 인터뷰’를 실시한다고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 회사가 덧붙인 설명에 따르면 컬처 핏 인터뷰는 ‘쌍방향 소통 방식의 대화형 면접 제도’. 회사의 기존 조직원들이 지원자들과 대화하면서 얼마나 서로 문화적으로 어울리고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지 가늠해 보고 신규 인력을 뽑겠다는 것이다. 이렇듯 ‘컬처 핏’은 기업의 조직 문화 또는 그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채용 대상자의 적합성을 가리키는 말이다. 기업에서 지원자를 채용할 때 단순히 실력만 정량 평가하지 않고, 조직 구성원과의 교감, 소통, 조직과의 융화 등을 고려한다는 맥락에서 주로 쓰인다. 단어 자체만 보면 ‘문화’(culture)와 ‘적합함’(fit)을 결합한 말이니 그대로 풀어 쓰면 ‘문화 적합성’이다. 하지만 더 정확한 표현이라 할 수 있는 ‘컬처럴 핏’(cultural fit)을 ‘컬처 핏’과 함께 사용하는 영미권에서도 넓은 의미의 문화를 두루 아우른다기보다 주로 조직이나 기업 문화와 연관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새말모임의 위원들은 다듬은 말 후보 일순위로 어휘 풀이에 충실한 ‘문화 적합성’을, 보편적으로 쓰이는 ‘조직문화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안테나 숍’은 ‘탐색 매장’으로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안테나 숍’은 ‘탐색 매장’으로

    안테나 숍? 안테나를 파는 상점인가? 안테나는 브라운관, 미사일, 로켓, 로봇, 컴퓨터, 스마트폰처럼 아예 우리말로 토착화한 말이 아닌가? 이걸 어떻게 고치지? 그러나 이런 말이 사실상 우리말로 더 굳어지기 전에 우리말 용어를 만들어서 제안하고 바꿔 쓰게 노력하는 것이 새말 모임 위원들의 일이니 다듬어 보기로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안테나 숍’은 “제조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파악하거나 타사 제품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유통망을 이르는 말. 판매가 최우선의 목표인 일반 유통망과는 달리 제품 기획과 생산에 필요한 정보 입수를 우선 과제로 삼기 때문에 마치 공중의 전파를 잡아내는 안테나와 같은 기능을 하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라고 돼 있다.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전에 소비자의 선호나 반응을 파악해 반영하기 위해 운영하는 점포라는 뜻이다. ‘견본 주택’과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이번에도 열띤 토론이 있었는데, 위원들은 간혹 황희 정승이 되기도 한다. 싸우는 두 하인들에게 모두 ‘네 말이 맞다’고 했던. 이 위원의 말을 들어 보면 이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저 위원의 말을 들어 보면 저 말이 맞는 것 같기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에이지리스’는 ‘나이 무관’으로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에이지리스’는 ‘나이 무관’으로

    그동안 새말모임 위원들의 활약과 노고에 중점을 둔 기사를 쓰면서 걸리는 부분이 있었다. 다듬을 말 후보들을 선정하고, 그 후보군이 언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용례와 뜻풀이는 어떻게 되는지 등등 기초 자료를 꼼꼼히 조사해서 위원들에게 전해 주는 국립국어원의 노고가 빠져 있어서였다. 그뿐만 아니라 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사전 또는 사후 조율을 통해서 국민수용도 조사를 한다. 이후 조사 결과를 참고해 다듬은 말을 선정한 뒤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발표하고 있다. 4월 새말모임에서 다루고자 제안한 용어는 스터디 투어(study tour),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헝거 마케팅(hunger marketing), 에이지리스(ageless), 안테나 숍(antenna shop), 리추얼 라이프(ritual life), 캠테리어(camterior)였다. 뜻을 짐작할 만한 용어도 있었지만, 역시 생소한 용어들이었다. 이 중에서 새말모임의 위원들이 다듬고자 고른 용어는 무엇이었을까? 위원들도 어떤 때는 다듬기 쉬운 말을 고르고 싶은 유혹에 빠진다. 한 위원은 다듬기 쉬울 것 같다는 이유로 ‘스터디 투어’를 다루자고 제안했지만, 상황은 그리 뜻대로 펼쳐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