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승호 / 인터뷰 작가·한글문화연대 기획위원
지승호
새말모임 회의를 위해 준비된 자료에 ‘에듀테크’는 ‘교육 분야에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산업’을 뜻한다고 나와 있었다. 위원들 사이에서 ‘에듀테크’가 기술을 가리키는지, 산업을 가리키는지를 두고 토론이 벌어졌다.
한 위원이 에듀테크를 핀테크와 같은 용어로 본다며 교육을 정보화 차원에서 다루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교육 정보화 기술’로 다듬자는 제안을 했다. 곧 최근에는 교육 정보 기술을 이용한 산업이라는 의미로 많이 쓰인다는 반론이 나왔다. 그러나 기술을 이용해 산업이 형성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그것이 특별히 산업으로 규정해야 할 이유가 없지 않으냐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산업을 가리키는 말과 기술을 가리키는 말은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에듀테크 기업’이라고 할 때는 교육 정보화 기술을 다루는 기업, ‘에듀테크 시장’이라고 할 때는 그런 기술로 형성된 산업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고, ‘에듀테크’ 뒤에 산업이 생략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반론이 이어졌다.
기술을 가리키냐, 산업을 가리키냐 하는 논의 중에 ‘에듀테크’의 뜻풀이에 대해 다시 돌아보게 됐다. “단어의 구성은 교육과 기술의 합성어이기는 한데, 교육 시장에서 당면한 어떤 문제를 정보기술(IT)로 풀어 보려고 하는 사업들 전반을 다 가리켜서 에듀테크로 부른다는 해석도 있다.” “단순히 교육에 활용하는 정보기술을 일컫는 것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닌 것 같다. 최근 쓰임을 보면 정보기술을 활용한 산업체가 새롭게 생성되기도 하고 많이 발달하다 보니 언론에서 산업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한 것 같다.” 새말모임의 위원들의 고심은 더 깊어졌다.
기술의 변화에 따라 ‘에듀테크’라는 말의 사용법도 바뀌어 왔지만, 잘 생각해 보면 컴퓨터만 사용하던 시절이나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는 지금이나 본질은 같다고 한 위원이 역설했다. 우리는 결국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곧 더 발전한 기술이므로 ‘첨단 기술’이나 ‘혁신 기술’이 어떠냐는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너무 많은 것을 가리키는 폭넓은 의미의 용어이고, 언어의 인플레이션이 우려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설왕설래하던 의견들은 결국 ‘교육 정보 기술’로 모아졌다. 하나의 후보만 채택된 것이다. 여론조사업체에서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에듀테크를 우리말로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으로 답한 사람은 65.9%였고, 단일 후보였던 ‘교육 정보 기술’에는 87.2%가 적절하다고 응답해 최종 다듬은 말로 채택됐다.
※ 새말모임은 어려운 외래 새말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 여러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