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 thumbnail - 대폭락 하루 뒤 반등… 불안한 ‘널뛰기 증시’

    대폭락 하루 뒤 반등… 불안한 ‘널뛰기 증시’

    지난 5일 역대 최악의 하루를 맞았던 국내 증시가 일단은 반등에 성공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3%와 6% 이상 상승하면서다. 전날 유가증권시장의 8%대 급락을 마주했던 국내 증시 투자자들은 일단 한숨을 돌린 모습이다. 하지만 우려는 여전히 상존한다.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의 여파가 여전히 국내 증시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80.60포인트(3.30%) 상승한 2522.15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은 41.59포인트(6.02%) 오른 732.87을 기록하며 700선을 회복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은 거래 초반 모두 5% 이상 급등세를 보이며 매수 사이드카(프로그램매매 호가 효력정지)를 발동했다. 이날 오전 9시 6분을 기준으로 코스피는 전날 종가 대비 5.06%, 코스닥은 7.99% 급등해 1분 이상 유지한 것이 이유였다. 이날 거래 시작 전부터 증권가에선 “장초 매수 사이드카 발동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 돌았다. 마치 공이 바닥에 떨어진 이후 튀어 오르듯 상승하는 ‘기술적 반등’이 있을 것이란 기대에서였다. 5일을 제외하고 가장 최근 양대 시
  • thumbnail - 코스피 하루만에 4%대 반등 성공…삼성전자 4%↑

    코스피 하루만에 4%대 반등 성공…삼성전자 4%↑

    코스피가 9%에 가까운 폭락을 겪은 지 하루만에 4%대 오르며 반등에 성공했다. 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1.97포인트(3.76%) 오른 2533.34에 개장해 장 초반 4%대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코스피는 미국 경기 침체 공포가 글로벌 증시를 강타한 5일 8.77% 폭락하며 역대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바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76포인트(2.57%) 오른 709.04에 개장해 장 초반 5%대로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코스피·코스닥 ‘매수 사이드카’ 발동 코스피와 코스닥의 급반등에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에 나란히 프로그램매수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하기도 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6분 00초쯤 코스피200선물지수와 코스닥150선물가격, 코스닥150지수의 변동으로 5분간 프로그램매수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발동 시점 당시 코스피200선물지수는 전일 대비 16.75포인트(5.06%) 상승한 347.20이었다. 코스닥150 선물은 전일 대비 90.80포인트(7.99%), 코스닥150지수는 65.16포인트(5.64%) 상승했다. 미국 반도체주 급락의 여파를 맞았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날
  • thumbnail - 삼성전자·SK하이닉스 -10%… 조선·방산株도 ‘파란 비명’

    삼성전자·SK하이닉스 -10%… 조선·방산株도 ‘파란 비명’

    삼성전자 16년 만에 최대폭 하락 주가 7만원 초반… 시총 49조 증발 온기 살아났던 조선주도 곤두박질 LIG넥스원 등 방산업종 동반 폭락 업계 “소나기… 실적 이상 신호 아냐” 국내 증시를 이끈 대장주를 비롯해 빅테크 수혜주와 ‘슈퍼사이클’에 올라탄 조선·방산 관련주도 미국발 경기침체 우려가 불러일으킨 극단적 공포에 와르르 무너졌다. 종목, 업종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대형주가 무차별 하락세를 보인 것은 국내 증시가 미국발 악재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는 뜻으로 취약성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주요 기업의 실적과 무관하게 주가가 급락했기 때문에 시장이 흥분을 가라앉힐 때까지는 한 걸음 뒤로 물러서 관망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는 직전 거래일 대비 10.30% 하락한 7만 1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벌어진 2008년 10월 24일(-13.76%) 이후 16년 만의 최대 하락 폭이다. 이날 하루에만 시가총액 약 49조원이 허공으로 사라졌다. 2분기 10조 4439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었는데도 미국 제조업지표, 고용지표 부진 등 거시경제(매크로) 영향, 빅테크 기
  • thumbnail - 코로나·유럽재정위기보다 큰 충격파

    코로나·유럽재정위기보다 큰 충격파

    2020년 4번의 매도 사이드카 발동 금융위기 때 2거래일만 8%대 하락 일각 “국제증시 과열로 인한 여파” 국내 증시에서 2020년 3월 19일 이후 4년 5개월 만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했다.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가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오긴 했지만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여파에 증시 전체가 뿌리째 휘청였다. 증권가에선 이전에 서킷브레이커가 가동됐던 2020년의 코로나19 팬데믹, 2011년의 유럽재정 위기 때보다도 충격이 컸던 하루였다는 탄식이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은 각각 이날 오전 11시와 오후 1시 5분을 기해 매도 사이드카(프로그램 매매 호가 효력정지)를 발동했다. 하지만 5분간 거래를 막는 매도 사이드카 발동만으로는 하락세를 막을 수 없었다. 사이드카 발동 이후에도 추락을 거듭한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결국 20분간 거래를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를 소환했다. 코스피는 8.10%, 코스닥은 8.05% 떨어진 시점이었다. 시장은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다. 과거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던 시기엔 그럴 만한 글로벌 악재가 존재했다. 실제 2020년을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이나 2008
  • thumbnail - 코스피 8.77% 폭락… 시총 235조 날아갔다

    코스피 8.77% 폭락… 시총 235조 날아갔다

    R의 공포·중동 정세 악재에 ‘패닉’ 2500선 무너져, 코스닥도 700 붕괴 4년 만에 동시 ‘서킷브레이커’ 발동 외국인 1조 5281억 ‘셀 코리아’… 日 -12%·대만 -8% 초토화 한국 증시가 역대 최악의 하루를 맞았다. 역대급 폭락장을 맞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34.64포인트 하락하며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장중 한때 2400선이 무너졌고 코스닥도 600대로 고꾸라졌다. 하루 사이 증발한 시가총액은 코스닥과 코스피를 합쳐 235조원에 달한다. 미국발 ‘R(Recession·경기 후퇴)의 공포’라는 불씨에 불안정한 중동 정세가 기름을 부으면서 한국 증시 사상 최악의 ‘블랙 먼데이’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바이 코리아’를 외치며 국내 증시의 큰손으로 자리잡았던 외국인 투자자들은 쉴 틈 없이 매도 행진을 이어 갔고 우리 자본시장은 속절없이 무너졌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34.64포인트(8.77%) 하락한 2441.55로 거래를 마쳤다. 역사상 코스피 하락폭이 200포인트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이전까지의 최대 낙폭 기록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하루 만에 133.56포인트 하락했던 2020년 3월 19
  • thumbnail - “조정 국면 길어야 한 달” vs “글로벌 침체 연말까지 계속될 것”

    “조정 국면 길어야 한 달” vs “글로벌 침체 연말까지 계속될 것”

    “올 것이 왔다” 한목소리 빅테크 쇼크·중동 전쟁 등 맞물려 ‘고점’ 美증시 조정받을 시기 온 것 “한 달” “연말” 전망은 엇갈려 “기업 실적 악화에 시장 과민 반응” “美고용 악화 등 경기 침체 현실화” 미국 증시의 폭락에서 출발한 글로벌 증시의 동시다발적 폭락 현상을 두고 5일 전문가들은 예외 없이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동안 미국 주식시장이 단기간에 급등하며 최고점을 찍은 만큼 언제든 조정 국면이 올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전망은 엇갈렸다. 이번 폭락장은 단기적 조정에 그칠 것이란 전망 속에 일각에선 글로벌 경기 침체가 현실화할 것이란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의 ‘검은 금요일’이 아시아 증시로 빠른 속도로 전이된 것은 인텔과 엔비디아 등 잘나가던 미국 빅테크 기업의 어닝 쇼크, 중동 전쟁의 전면전 위기로 인한 정세 불안의 확대, 일본의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이탈 가능성 등이 맞물린 여파로 분석된다. 특히 그동안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기술주의 가격이 급등하며 시장에서는 ‘고점’에 대한 눈치작전이 치열하던 상황에서 이 같은 악재가 일종의 트리거(기폭제)로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 thumbnail - ‘6만전자’ 눈앞…코스피 8% 하락 ‘최악의 날’

    ‘6만전자’ 눈앞…코스피 8% 하락 ‘최악의 날’

    코스피가 미국발 경기 침체 공포에 빠져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5일 8% 넘게 폭락하면서 종가 기준 역대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는 10% 넘게 하락해 ‘6만전자’를 코앞에 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34.64포인트(8.77%) 하락한 2441.55에 거래를 마쳤다. 64.89포인트(2.42%) 내린 2611.30으로 출발한 코스피는 낙폭을 키우며 2600선과 2500선을 연거푸 내줬다. 오후 2시 14분쯤 8% 넘게 하락하며 유가증권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했고, 20분간 거래가 일시 중단된 뒤 재개되자 10% 넘게 추락하며 한때 2400선마저 무너졌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8.05포인트(11.3%) 하락한 691.28에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도 이날 오후 1시 56분쯤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국내 증시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건 2020년 3월 19일 이후 5년 만이다. 앞서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와 인텔 등 ‘반도체 공룡’들이 추락하자 반도체에 대한 악화된 투심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옮겨붙었다. 삼성전자는 이날 장중 한때 11.81% 급락한 7만 200원까지 주저앉은 뒤
  • thumbnail - [속보] 코스피, 10% 넘게 내리며 2400선마저 붕괴
    속보

    코스피, 10% 넘게 내리며 2400선마저 붕괴

    미국의 ‘경기 침체’ 공포에 코스피가 5일 장중 10% 넘게 급락하며 2400선마저 무너졌다. 코스피는 이날 ‘서킷브레이커’ 발동이 해제된 후 오후 2시 54분쯤 289.23포인트(10.81%) 내린 2386.96까지 내려앉았다. 앞서 64.89포인트(2.42%) 내린 2611.30으로 출발한 코스피는 낙폭을 키우며 2600선을 넘어 2500선마저 내줬다. 이어 장 막판 2400선까지 뚫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동시에 8% 넘게 폭락하자 두 시장의 거래를 일시 중단시키는 ‘서킷브레이커’를 2020년 3월 19일 이후 4년 5개월 만에 발동했다.
  • thumbnail - [속보]코스닥도 매도 사이드카 발동…코스닥150 6% 하락
    속보

    코스닥도 매도 사이드카 발동…코스닥150 6% 하락

    증시가 급락한 5일 코스피에 이어 코스닥에도 프로그램매도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분 19초쯤 코스닥150선물가격과 코스닥150지수의 변동으로 5분간 프로그램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발동 시점에 코스닥150 선물은 전일 종가 대비 78.40포인트(6.01%) 하락했으며 코스닥150지수는 80.87포인트(6.23%) 하락했다. 코스닥 사이드카는 코스닥150선물 가격이 기준 가격 대비 6% 이상 하락하고 코스닥150지수가 직전 매매거래일의 최종수치 대비 3% 이상 하락해 동시에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된다. 앞서 이날 오전 11시 00분 20초쯤에는 코스피200선물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8.65포인트(5.08%) 하락하자 5분간 프로그램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 thumbnail - 삼성전자 -9%…‘역대 최대폭’ 급락한 코스피

    삼성전자 -9%…‘역대 최대폭’ 급락한 코스피

    미국발 경기 침체 공포에 국내 증시가 추풍낙엽처럼 추락하고 있다. 코스피는 장중 역대 최대폭으로 하락하며 2600선에 이어 2500선마저 내주며 4년여만에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9%대까지 낙폭을 키우며 무너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며칠간 전세계에서 벌어진 증시 폭락이 과도한 우려에 따른 반응이라고 진단하면서도, 변동성이 극대화된 장세에서 바닥을 예단하는 것은 어렵다고 분석한다. 코스피 하루새 2600선 이어 2500선 붕괴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7분 코스피는 전일 종가 대비 205.88(7.69%) 하락한 2470.31까지 밀려났다. 이날 하락폭은 2011년 8월 9일 기록한 184.77포인트를 넘은 역대 최대폭이다. 코스피는 장 초반 2600선을 내준 데 이어 오후 1시 30분을 전후해 전 거래일 대비 7%대 하락해 2500선마저 무너졌다. 이날 오후 2시를 전후해 코스닥 지수도 8%대 하락한 716대까지 내려앉았다. 앞서 미 증시에서 엔비디아, 인텔 등 ‘반도체 공룡’들의 주가가 폭락한 여파로 이날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는 장중 9.67% 하락한 7만 1900원까지 밀려났다. 지난
  • thumbnail - 코스피 5% 급락…매도 사이드카 발동

    코스피 5% 급락…매도 사이드카 발동

    코스피 지수가 5% 넘게 급락한 5일 프로그램매도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00분 20초쯤 5분간 프로그램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기준 가격 대비 5% 이상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된다. 발동 당시 코스피200선물지수는 전일 종가 대비 18.65포인트(5.08%) 하락한 348.05였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4.89포인트(2.24%) 내린 2611.30으로 출발한 뒤 낙폭을 키워 11시쯤 5%대까지 급락했다. 오전 11시 15분 현재 코스피는 2535.01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피가 장중 2600선을 밑돈 건 지난 4월 19일 이후 3개월여 만이다. 엔비디아와 인텔 등 미국 증시에서 반도체 종목들이 급락한 영향으로 삼성전자는 11시 15분 현재 6%대 하락해 7만 4800원선으로 밀려났다. SK하이닉스는 5%대 하락한 16만 4000원대다.
  • thumbnail - 증시 ‘검은 월요일’…코스피 3%대 급락

    증시 ‘검은 월요일’…코스피 3%대 급락

    코스피가 5일 미국 경기 침체 공포와 중동 지정학적 불안 등에 흔들리며 장 초반 3%대 급락하고 있다. 美 ‘R의 공포’에 코스피 추풍낙엽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2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4.03포인트(3.54%) 하락한 2581.36이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4.89포인트(2.24%) 내린 2611.30으로 출발한 뒤 낙폭을 키웠다. 코스피가 장중 2600선을 밑돈 건 지난 4월 19일 이후 3개월여 만이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68포인트(3.42%) 하락한 752.69를 나타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4%대 하락하며 7만 6000원까지 밀려났으며 하이닉스는 장 초반 3.81% 하락한 16만 6600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주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가 급락하고 실업률이 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경기 침체 공포가 확산되자 국내 증시에도 충격파가 번졌다. 지난 2일 SK하이닉스 주가가 10.4% 급락하며 코스피도 3.65% 하락한 데 이어, 같은 날 나스닥이 2.43% 후퇴하자 주말이 지난 이날에도 국내 증시에 여파가 이어졌다. 정부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 thumbnail - 美 오를 땐 ‘찔끔’ 경기침체 우려엔 ‘급락’…코스피 장중 2700선 붕괴

    美 오를 땐 ‘찔끔’ 경기침체 우려엔 ‘급락’…코스피 장중 2700선 붕괴

    미국 경기침체 우려와 이에 따른 뉴욕 증시 약세 영향으로 코스피가 2일 장 초반 2% 넘게 하락해 장중 2700선이 무너졌다. 이날 오전 10시 38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78.14포인트(2.81%) 내린 2699.54를 나타냈다. 코스피 지수가 장중 2,700선 아래로 내려온 것은 지난 6월 10일(2,689.19) 이후 53일 만이다. 장중 낙폭이 80포인트 이상인 것은 지난 2022년 6월 13일 이후 781일 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3674억원, 기관은 3818억원을 순매도 중이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에서 장 초반임에도 1조 6910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며 하방 압력을 높이고 있다. 개인이 7499억원을 매수하고 있지만 하방 압력을 막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2원 오른 1,372.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날 코스피는 간밤 뉴욕증시 급락세로 인한 공포감과 함께 출발했다. 전날(1일) 발표된 미국 제조업·고용 지표 부진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 이전에 경기침체가 먼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크게 내렸기 때문이다.
  • thumbnail - 신통찮은 클라우드, MS 주가 시간 외 3% 뚝… M7이 흔들린다

    신통찮은 클라우드, MS 주가 시간 외 3% 뚝… M7이 흔들린다

    매출 15% 늘었지만 AI 힘 못 써 실적 좋은 알파벳은 투자비 논란 ‘로보택시 연기’ 테슬라 불신 자초 28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 분수령 올 증시 상승을 견인했던 미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7’(M7)이 흔들리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2분기 호실적을 발표했지만 M7 상승의 배경이었던 인공지능(AI) 부문에서의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AI 산업에 대한 회의론을 씻어 내지 못했다. 30일(현지시간) MS는 지난 2분기(회계연도 4분기) 647억 달러(89조 5771억원)의 매출과 2.95달러(4084원)의 주당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 증가해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643억 9000만 달러)를 상회했으며 주당순이익도 예상치(2.93달러)에 부합했다. 문제는 AI 부문에서의 성장률이다. MS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285억 2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컨센서스(286억 8000만 달러) 대비 낮았고 애저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기 매출 성장률은 29%로 예상치(31%)를 밑돌았다. MS에 따르면 클라우드
  • thumbnail - 美증시 ‘검은 수요일’… 코스닥은 800선 붕괴

    美증시 ‘검은 수요일’… 코스닥은 800선 붕괴

    잘나가던 뉴욕증시가 믿었던 대형 기술주의 폭락에 발등을 찍혔다. 나스닥과 S&P500이 2년여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한 뉴욕증시 ‘검은 수요일’의 여파는 한국 증시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기록적인 2분기 실적 발표에도 이날 SK하이닉스 주가는 8% 이상 급락하는 등 반도체 업종을 비롯한 대형 종목들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불과 2주 전 2900선 돌파를 노렸던 코스피는 2700선도 위협받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美 최악 하루… 2년여 만의 최대 낙폭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4% 폭락한 1만 7342.41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 역시 전 거래일 대비 2.31% 급락해 5247.13을 기록했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25% 떨어진 3만 9853.87로 거래를 마쳤다. 특히 나스닥과 S&P500은 2022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나스닥은 지난 2022년 10월 7일 이후, S&P500은 같은 해 12월 15일 이후 최대 하락폭을 찍었다. 테슬라를 비롯한 대형 기술주들의 하락세가 전체 지수의 급락으로 이어졌다. 테슬라는 23일(현지시간) 장 마감 이후 발표한 2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