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 thumbnail - 증권사 24곳 모두 “사라”더니…삼성전자 또 신저가

    증권사 24곳 모두 “사라”더니…삼성전자 또 신저가

    지난 2분기 ‘실적 쇼크’를 겪은 삼성전자가 증권시장에서 또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이날 오전 9시 30분 전 거래일 대비 600원(1.01%) 떨어진 5만 8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34% 내린 5만 9000원에 거래를 시작해 장 초반 5만 8500원까지 밀리며 52주 신저가를 다시 썼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정점론’이 부각되며 반도체 주가가 출렁이는 사이 3분기 영업이익이 9조 100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10조 8000억원)를 밑돌면서 주가 부진에 빠졌다. 지난 7월에는 8만원대를 웃돌며 ‘10만전자’, ‘11만전자’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으나, 실적 부진 속에 이달 들어 ‘5만전자’로 내려앉았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28거래일 연속 삼성전자를 팔아치우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3일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삼성전자를 매도해 순매도액에 11조 5000억원에 달한다. 그럼에도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에 대해 ‘매수’를 외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국내 증권사 24곳 모두 ‘투자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 thumbnail - ‘슈퍼 을’ ASML 실적 쇼크에 ‘5만 전자’… 반도체 겨울론 재점화

    ‘슈퍼 을’ ASML 실적 쇼크에 ‘5만 전자’… 반도체 겨울론 재점화

    외국인 삼성전자 26거래일째 매도 역대 최장… 11조원 넘게 팔아치워 SK하이닉스 2.1% 빠져 ‘18만 닉스’ AI 상승 잠재력 속 D램은 회복 주춤 최근 안팎으로 커지는 위기론 속 주가 반등이 시급한 삼성전자가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의 올 3분기 ‘어닝 쇼크’(실적 충격) 여파에 휘말리며 또다시 ‘5만 전자’로 주저앉았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슈퍼 을’로 꼽히는 핵심 장비 공급업체인 ASML이 부진한 실적 발표와 함께 내년 실적 전망치도 크게 하향하면서 업계 전반에 먹구름이 짙게 드리우고 있다. 국내 시총 1위 삼성전자는 16일 전 거래일 대비 2.46% 하락한 5만 9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4일 종가 기준 ‘6만 전자’로 복귀한 지 2거래일 만에 다시 5만원권 박스로 복귀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난달 3일부터 26거래일간 ‘팔자’ 행진을 이어 가면서 역대 최장 연속 순매도 기록을 세웠다. 이 기간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11조 1299억원 상당의 삼성전자 주식을 팔아치웠다. 주가는 7만 2500원에서 5만 9500원으로 17.93% 떨어졌고 외국인 지분율도 55.98%에서 53.14%까지 낮아졌다. 엔비
  • thumbnail - 삼성전자 엇갈린 투심… “저가매수 시점” vs “언제 오를지 몰라”

    삼성전자 엇갈린 투심… “저가매수 시점” vs “언제 오를지 몰라”

    외국인은 24거래일 연속 순매도 어닝 쇼크 이후 ‘6만전자’ 되찾아 3분기 확정실적까지 ‘깜깜이 구간’ 반도체 경기가 구원투수 될 수도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 넘게 뒷걸음질하는 어닝 쇼크 이후 ‘5만 전자’라는 소리를 들어야 했던 삼성전자가 2거래일 만에 ‘6만전자’의 자리를 되찾았다. 하지만 투심은 여전히 엇갈린다. 기업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공감대 속에서도 ‘저가매수할 시점’이란 분석과 ‘아직은 이르다’는 전망이 팽팽하게 맞서는 모습이다. 14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53% 상승한 6만 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0일 종가 기준 5만원대로 주저앉은 이후 2거래일 만에 6만원 선을 회복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940억원이 넘는 주식을 팔아치우며 24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지만 기관의 매수세가 상승을 이끌었다. 신석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에 근접했는데 과거를 돌아보면 이 정도 수준을 찍은 이후 일단은 반등한 경우가 많았다”며 “우려나 불확실성이 더 해소되는 모습이 필요하긴 하지만 일단은 단기적으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신 연구원의 분석처럼 증권가에선 삼성전자의
  • thumbnail - 삼성전자 실적 발표·힘받는 금리 인하… K증시 ‘운명의 한 주’

    삼성전자 실적 발표·힘받는 금리 인하… K증시 ‘운명의 한 주’

    주요국 증시의 랠리 속에서도 하향 곡선을 그려 온 우리 증시가 운명의 한 주를 맞는다. 국내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발표부터 기준금리의 향방이 다시 바뀔 수 있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까지 굵직한 이벤트들이 펼쳐지면서다. 국내 시총 1위 삼성전자는 8일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다. 실적 발표 때마다 시장의 관심을 독차지해 온 삼성전자이지만 이번 발표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유독 남다르다. 국가대표 주식이라고도 불리는 삼성전자가 지난 9월 들어 성장 동력에 대한 의구심과 함께 급락세를 면치 못하면서다. 반도체 의존도가 높은 국내 증시의 특성과 삼성전자가 유가증권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이번 실적 발표는 올해 하반기 국내 증시의 상승 가능성을 판가름할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현재까지의 분위기는 기대보다 우려가 큰 모습이다. 9월 초만 해도 7만 4000원대였던 삼성전자의 주가는 7일 6만 1000원으로 한 달여간 20% 가까이 급락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주도권 경쟁에서 부침을 겪고 D램의 평균 판매단가가 내림세로 전환하면서 실적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제지표 개선과 중국 경기부양책 발표에도
  • thumbnail - 실적 발표 하루 앞두고…다시 ‘5만전자’ 털썩

    실적 발표 하루 앞두고…다시 ‘5만전자’ 털썩

    삼성전자가 3분기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둔 7일 다시 ‘5만전자’로 내려앉았다. 지난 2일에 이어 3거래일만이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66% 하락한 6만 200원에 거래를 시작해 장 초반 5만 9500원(-1.82%)까지 밀렸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2일 장중 5만 9900원까지 하락하며 1면 7개월만에 6만원선이 무너졌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달 27일부터 5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삼성전자는 8일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다.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을 13~14조원대로 예측해왔지만, 최근 10조원대로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가의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0조 7717억원으로, 최근 한달 동안 20%가량 하락했다. 김형태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예상을 밑도는 스마트폰 수요, 구형 메모리 수요 둔화, 비메모리 적자폭 확대(전 분기 대비), 경쟁사 대비 늦은 HBM 시장 진입 등 반도체 부문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37% 오른 2579.20으로 거래를 시작했지만 개장 직후 상승 폭을 줄이며 보합세를 이어가
  • thumbnail - 코스닥 종목 75% 손실… 7%는 반토막

    코스닥 종목 75% 손실… 7%는 반토막

    하루 거래대금·회전율 연중 최저 ‘좀비기업’ 소극적 퇴출도 악영향 주가 부진에 K밸류업 효과 찬물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올해 상반기 각국의 증시가 상승 곡선을 그렸지만 국내는 소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들어서만 11% 넘게 떨어진 코스닥 시장은 전쟁 중인 러시아를 제외한 주요국 증시 중 최하위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한 ‘밸류업 프로그램’에도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 종목 1673개 중 75.4%에 해당하는 1263개 종목의 주가가 지난해 말 대비 하락했다. 주가가 50% 이상 떨어져 반토막 난 종목도 115개로 6.8%에 달했다. 30%대와 20%대의 낙폭을 기록한 종목도 각각 233개와 310개나 됐다. 주요국 지수 중 올해 들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전쟁 중인 러시아의 RTS 지수(-14.6%)를 포함해 총 5개다. 코스피(-3.2%)와 코스닥(-11.2%)이 포함됐고 브라질 BOVESPA(-2.0%), 프랑스 CAC40(-0.08%) 등이 이름을 올렸다. 러시아는 전쟁 중이라는 상황을 고려하면 사실상 코스닥과 코스피가 최하위의
  • thumbnail - 삼성전자, 1년 9개월만의 ‘5만전자’

    삼성전자, 1년 9개월만의 ‘5만전자’

    삼성전자 주가가 장중 5만원대까지 내려앉았다. 삼성전자가 ‘5만전자’로 돌아간 건 지난해 1월 이후 1년 9개월여만이다.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63% 하락한 6만 500원에 거래를 시작해 장 초반 5만 9900원까지 밀렸다. 9시 10분 현재 6만 500원에서 거래 중이다. 삼성전자 주가가 장중 5만원대까지 밀린 건 지난해 1월 18일(5만 9900원) 이후 1년 9개월여만이다. 이른바 ‘반도체 정점론’에 대한 갑론을박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글로벌 증시에서 반도체를 비롯한 기술주에 대한 투매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1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3.66%, 마이크로소프트는 2.23%, 애플은 2.91% 하락하는 등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이스라엘이 레바논에 지상전을 개시하고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한 대규모 탄도 미사일 공격으로 응수하면서 전면전으로 확전할 수 있다는 공포심이 글로벌 증시를 뒤흔들고 있다. 증권가도 IT 수요 둔화를 이유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하향하며 주가 약세에 힘을 싣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예상을 하회하는 스마트폰 수요, 구형(레거시) 메모리 수요
  • thumbnail - 자사주 120억어치 사도 ‘6만전자’마저 아슬아슬

    자사주 120억어치 사도 ‘6만전자’마저 아슬아슬

    삼성전자 임원들이 자사주를 적극 매입하고 나섰지만 주가는 힘을 쓰지 못하면서 ‘6만 전자’마저 위태로운 모습이다. ‘반도체 겨울론’은 다소 누그러졌지만 3분기 실적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삼성전자에 대한 증권가의 목표주가도 내려가는 추세다. ●올 임원 48명 16만 8831주 매입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 임원 25명이 지난달 사들인 삼성전자 주식은 총 7만 7949주로 51억 1450억원어치였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은 지난달 5일 장내에서 1만주를 7만 3900원에 매입했고, 나흘 뒤 노태문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사장)도 6만 9500원에 5000주를 사들였다. 같은달 26일 최경식 북미총괄 사장도 1만주를 매수했는데,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취득단가는 6만 2800원까지 내려왔다. 올해 들어 삼성전자 임원 48명이 사들인 자사주는 총 16만 8831만주에 달한다. 매수금액은 119억원어치로 평균 취득단가는 7만원정도다. 이러한 매수세에도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달 30일 전일 대비 4.21% 하락한 6만 1500원에 거래를 마치며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주식 매수로 주가 반등 여력 알려
  • thumbnail - ‘밸류업지수’ 산출 첫날 3% 곤두박질… 코스피보다 더 빠졌다

    ‘밸류업지수’ 산출 첫날 3% 곤두박질… 코스피보다 더 빠졌다

    삼성전자 4.21% 하락 52주 신저가 SK하이닉스 5%·현대차 4.1% 빠져 4분기 기업 20곳 밸류업 공시 예고 삼성전자 시기·방법 등 놓고 고민 ‘무늬만 공시’ 우려에 준비 시간 필요 한국거래소가 최근 발표한 ‘코리아밸류업지수’(밸류업지수)가 정식 산출 첫날부터 3% 가까이 하락하며 코스피보다 더 큰 낙폭을 보였다. 선정 기준 등을 놓고 논란에 휩싸인 밸류업지수에 대한 투자자들의 실망감, 구성 종목이 바뀔 수 있다는 불안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제 4분기 기업들이 내놓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따라 밸류업 프로그램의 초반 성패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밸류업지수는 2.8% 내린 992.13에 장을 마쳤다. 양대 시장 지수인 코스피(-2.13%)와 코스닥(-1.37%)보다 낙폭이 컸다. 밸류업지수에 편입된 삼성전자 주가는 직전 거래일보다 4.21%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다시 썼다. 최근 경영진이 잇따라 자사주 매입에 나서며 책임경영 의지를 드러냈지만 주가 방어에는 역부족이었던 셈이다. SK하이닉스(-5.01%), 현대차(-4.13%), 기아(-4.68%) 등 다른 주요 종목도 일제히 하락하며 하방
  • thumbnail - K밸류업지수 ‘실망 매물’ 쏟아졌다

    K밸류업지수 ‘실망 매물’ 쏟아졌다

    100개 종목 중 35개 주가 떨어져 일부는 차익 실현… 2600선 무너져 빠진 KB금융‧KT 등 실망감 표출 일각 “긴 호흡 프로그램, 실망 일러”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야심작 ‘코리아밸류업지수’가 베일을 벗었지만 시장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밸류업지수에 포함된 종목들은 차익 실현의 벽에 가로막혔고 편입에 실패한 종목들은 실망 매물이 속출하며 내림세를 면치 못했다. 밸류업지수 발표 이후 첫날 성적이 기대 이하를 기록한 가운데 지수에 편입된 100개 기업의 선정 기준에 대한 의문과 불만까지 이어지는 모습이다. 2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34% 하락한 2596.32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 4일 3%대 급락 이후 20여일 만에 회복한 2600선을 단 3일 만에 반납했다. 코스닥도 1.05% 내린 759.3으로 장을 마감했다. 밸류업지수에 포함된 100개 종목 중 35개의 주가는 오히려 내렸고 7개 종목의 주가가 제자리걸음을 했다. 27개 종목만이 전 거래일보다 2% 이상 주가가 상승했다. 전날 한국거래소가 밸류업지수를 공개하며 국내 증시 부양의 견인차가 되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즉각적인 성과로 이어지진 못했다. 밸류업지수 편입 가능성이 높았
  • thumbnail - 100개 기업 담은 ‘K밸류업지수’… “투자 유도” vs “효과 미미”

    100개 기업 담은 ‘K밸류업지수’… “투자 유도” vs “효과 미미”

    대표성·주주환원·시장평가 등 평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차 포함 구성 종목은 매년 6월에 정기변경 거래소“韓증시 재평가받을 기회” 증권가 “폭발적 상승 기대는 금물” 한국 증시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코리아밸류업지수’가 오는 30일 첫선을 보인다. 해당 지수에는 기업 규모와 수익성, 주주환원 노력 등을 평가해 100개의 국내 대표 기업이 담겼다. 정부는 밸류업지수가 증시 활성화의 선봉장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시장 일각에선 지수만으로 극적 반전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비관론도 만만찮다. 한국거래소는 24일 밸류업지수의 구성 종목 및 선정 기준을 발표했다. 밸류업지수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원년인 올해의 첫 거래일을 기준 삼아 1000포인트로 산정했다. 구성 종목은 매년 6월마다 성과 평가를 거쳐 변경된다. 30일부터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실시간 지수를 제공하고 11월 중에 지수선물과 상장지수펀드(ETF)도 상장할 예정이다. 거래소는 각 종목의 시장 대표성과 수익성, 주주환원, 시장평가, 자본효율성을 들여다본 이후 100개 종목을 구성했다. 특히 주주 이익과 기업가치 제고를 통해 증시를 부양한다는 밸류업의 취지에 맞춰 주가
  • thumbnail - K반도체, 모건스탠리 보고서 ‘쇼크’…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 ‘휘청’

    K반도체, 모건스탠리 보고서 ‘쇼크’…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 ‘휘청’

    삼성은 2% 하이닉스는 6% 빠져 3년 전에도 부정적 전망에 급락 3분기 실적은 역대 최고치 전망 미국발 금리 인하 소식에도 외국계 증권사의 반도체 업황에 대한 부정적 보고서가 대형 악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반도체 투톱’ 주가가 맥을 추지 못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직전 거래일 대비 2.02% 하락한 6만 3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도 장중 15만원 선이 무너졌다가 6.14% 내린 15만 2800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 에프앤가이드 기준)는 12조 1432억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398.99% 증가, SK하이닉스는 7조 1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였던 2018년 3분기(6조 4724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데도 추석 연휴가 끝나자마자 주가가 동반 급락한 것이다. 주가 하락 배경으로는 지난 15일 발간된 모건스탠리 보고서가 지목됐다. 이 증권사는 ‘겨울이 곧 닥친다’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26만원에서 12만원으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10만 5000원에서 7만 6000원으로 내려 잡았다. 3년 전인 2021년 8월 모건스탠리가 ‘메모리, 겨울이
  • thumbnail - 파월 속도조절 시사에… ‘빅컷’ 힘 못 받은 글로벌 증시

    파월 속도조절 시사에… ‘빅컷’ 힘 못 받은 글로벌 증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라는 호재에도 글로벌 증시가 좀처럼 힘을 내지 못하고 있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선반영된 상황에 향후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통화정책 완화가 생각보다 더딜 수 있다는 우려가 더해진 탓으로 풀이된다. 1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21% 상승한 2580.80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은 0.86% 상승해 739.51로 장을 마감했다. 양대 시장 모두 소폭 상승하긴 했지만 연준의 ‘빅컷’(0.5% 포인트 인하) 호재에 비해선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뉴욕증시의 움직임은 국내 증시보다 더 불안했다. 18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3.08포인트(0.25%) 내린 4만 1503.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하락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300지수는 연준의 빅컷 소식에 장중 한때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통화정책 완화를 일시 중단할 수도 있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급격히 주저앉았다.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실망은 환율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내려가면 통화
  • thumbnail - “지갑은 울고 주가는 웃네”…‘사랑의 하츄핑’ 100만 돌파, 12년 만의 쾌거

    “지갑은 울고 주가는 웃네”…‘사랑의 하츄핑’ 100만 돌파, 12년 만의 쾌거

    어린이 관객에게 인기를 끌며 흥행 중인 애니메이션 ‘사랑의 하츄핑’이 16일 누적 관객 수 100만명을 돌파했다. 배급사 쇼박스에 따르면 ‘사랑의 하츄핑’ 누적 관객은 개봉 41일째인 이날 오전 100만명을 넘어섰다. 한국 애니메이션 누적 관객이 100만명을 돌파한 것은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2012) 이후 12년 만이다. ‘사랑의 하츄핑’은 ‘마당을 나온 암탉’(220만명)과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105만명)에 이어 누적 관객 수로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3위에 올랐다. 현재 추세라면 2위 자리도 조만간 탈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7일 개봉한 ‘사랑의 하츄핑’은 TV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 시리즈 전체의 프리퀄(오리지널 영화 이야기의 선행을 다루는 속편)로 이모션 왕국의 공주 로미와 로미의 ‘짝꿍 티니핑’이자 모든 시리즈에 등장하는 로열 티니핑인 하츄핑이 처음 만나는 과정을 담았다. 어린이와 부모는 물론 어른들까지 극장으로 불러들이면서 흥행몰이를 이어가고 있다. 개봉한 지 한 달을 훌쩍 넘긴 지금도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올라 있다. 대세 중의 대세라는 티니핑 캐릭터는 모두 107가지에 달하는데 ‘하츄핑’처럼 인기가 높은 캐
  • thumbnail - 뉴진스의 ‘최후통첩’…하이브 주가 -6% 급락

    뉴진스의 ‘최후통첩’…하이브 주가 -6% 급락

    걸그룹 뉴진스가 “오는 25일까지 회사를 원 상태로 돌려놔 달라”며 ‘최후통첩’을 한 다음날인 12일 뉴진스의 소속사 어도어의 모회사 하이브의 주가가 한때 6%까지 급락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하이브는 오전 9시 25분 기준으로 전 거래일 대비 6600원(3.80%) 하락한 16만 7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하이브는 2.53% 하락한 16만 9500원에 거래를 시작해 장 초반 한때 6.15% 급락한 16만 3200원까지 밀리기도 했다. 현재 하이브의 주가는 방탄소년단이 그룹 활동 중단을 선언하며 10만원대까지 추락한 뒤 회복했던 지난 2022년 말 수준으로 돌아갔다. 지난 1월 11일 기록한 연고점(25만 6000원) 대비로는 34.6% 하락한 상태다. 최대의 ‘캐시카우’인 방탄소년단의 공백 속에 하이브는 지난 2분기 역대 최대 매출(6405억원)을 기록했음에도 영업이익은 37% 급감했다. K팝 업계 전반이 영업 부진에 따른 주가 약세에 빠져 있지만, 하이브의 경우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와 하이브 간의 분쟁과 방탄소년단 멤버 슈가의 음주운전, 방시혁 의장의 사생활 등 각종 분쟁과 구설수가 주가를 더욱 억누르고 있다. 이날도 코스피가 1%대 상승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