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적 비용에 민간은 속수무책
軍, 2012년부터 방호 체계 구축일각 “北도 피해 커 가능성 낮아”
북한은 지난 3일 6차 핵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핵무기연구소 시찰 소식을 전하면서 수소탄을 이용한 초강력 전자기파(EMP) 공격 가능성을 거론했다. 수소탄을 고공에서 폭발시켜 광대한 지역에 대한 EMP 공격까지 할 수 있다고 위협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 군 및 민간의 EMP 공격 대응체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EMP 공격은 핵탄두를 지상이 아닌 수십㎞ 고공에서 폭발시켰을 때 발생하는 고강도 전자기파를 이용해 지상의 각종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1962년 태평양 고공에서 미군이 핵폭탄을 폭파시켰는데 1000㎞ 이상 떨어진 곳의 각종 전자장비들이 고장을 일으킨 현상이 보고돼 EMP의 위력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EMP 공격과 EMP 방호 기술이 본격 연구됐다. 북한이 EMP 공격 위협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서울 상공에서 EMP 공격이 감행되면 수초 이내에 수백㎞ 반경의 각종 전자장비들에 엄청난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회로가 모두 망가진다. 전자회로가 없는 기기들이 없는 만큼 사실상 도시 기능이 마비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군의 지휘통제나 무기체계도 같은 위험에 직면한다.
국내 민간의 경우 EMP 방호 시설 구축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드는 데다 특별한 강제 규정도 없어 북한의 위협에 무방비 상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다만 우리 군의 경우 2012년 국방·군사시설 기준을 개정, 각종 군사시설을 새로 건설할 때 전자기파 방호시설 설계기준을 적용해 대비하고 있다. 주요 지휘장비 등도 모두 두꺼운 콘크리트로 차폐시킨 지하벙커에 옮겨져 있는 상태다. 군은 EMP 방호기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차폐시설 등이 마련되지 않은 부대의 운용장비를 대상으로 ‘EMP 피해 최소화 및 긴급복구 가능 방안’을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우리 측을 상대로 EMP 공격을 감행할 경우 북한 역시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어 가능성을 낮게 보기도 하지만 북한이 EMP 공격 위협에 나선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 본격적인 대비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2017-09-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