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그/그녀’는 죽지 않을 수 있었다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그/그녀’는 죽지 않을 수 있었다

    저명한 문학상인 부커상 수상자이자 지난해 이호철통일로문학상 수상자인 인도 작가 아룬다티 로이의 ‘지복의 성자’에는 흥미로운 캐릭터가 등장한다. ‘그/그녀’의 이름은 안줌이다. 그/그녀는 1950년대 중반 델리에서 남성과 여성의 성기를 한 몸에 지닌 채 태어났다. 안줌은 히즈라다. 히즈라는 남성과 여성의 어느 한쪽에 속하지 않는 제3의 성을 가리킨다. 부모는 안줌을 아프타브라는 이름을 지닌 남자 아이로 키우려고 애쓴다. 그러나 비밀은 오래가지 못한다. 아이들은 안줌을 놀린다. “쟤는 여자야. 쟤는 남자나 여자가 아냐. 쟤는 남자이고 여자야. 여자ㆍ남자, 남자ㆍ여자 히히히.” 어느 하나의 성적 정체성으로 규정되지 못할 때 그/그녀는 사회에서 추방의 위협을 당한다. 안줌은 자신의 정체성을 여성으로 규정하고 가족을 떠나 히즈라들이 모여 사는 공동 거주지로 거처를 옮긴다. 그곳에서 안줌은 왜 신이 히즈라를 만들었는지에 대한 고통스러운 질문과 답을 듣는다. “일종의 실험이었어. 신은 행복할 수 없는 생물체를 만들어 보기로 결심한 거야. 그래서 우리를 만들었지.” ‘지복…’에서 안줌은 자신처럼 혼종된 성적 정체성을 지닌 사람이 “행복할 수 없는 생물체”가 아니라 당당히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시와 정치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시와 정치

    바이든 취임식에서 22세 된 어맨사 고먼이 낭독한 시가 관중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고먼은 2017년에 미국 의회도서관이 청소년 계관시인 제도를 만들면서 초대 계관시인이 됐다. 시인은 지나치게 예민한 청각 문제, 말더듬의 어려움을 겪은, “노예의 후손이고 홀어머니가 키운 깡마른 흑인 소녀”로 자신을 규정한다. 낭송된 시는 분열을 딛고 화해를 이룰 것을 요청한다. 시를 읽으며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링컨’이 떠올랐다. 영화는 노예제 폐지를 규정한 수정헌법 13조 제정을 위한 링컨의 분투를 다룬다. 링컨은 두 개의 과제를 마주했다. 하나는 노예제 폐지이고, 다른 하나는 북부연합과 남부연방으로 미국이 분열되는 걸 막는 것이었다. 남북전쟁, 정확히 말하면 내전(civil war)은 노예제도 폐지를 둘러싼 찬반 대립 때문에 일어났다고 오해하기 쉽다. 그렇지 않다. 링컨도 만약 노예제를 폐지하지 않고 국가의 통합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더 중요한 건 국가 통합의 문제였다. 노예제 존폐 문제는 부차적이었다. 길지 않은 미국 역사에서 트럼프 집권기는 미국의 분열이 더 의도적이고 극단적으로 감행된 때로 기록될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이 나라를 서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한 해의 끝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한 해의 끝

    잊기 힘든 한 해를 보낸다. 끝이라는 시간은 삶의 행로들, 특히 그 행로의 마지막인 죽음을 사유하게 만든다. 최근에 그런 작품 둘을 읽었다. 황동규 시집 ‘오늘 하루만이라도’는 노년의 시각에서 포착한 감각적 구체성의 세계를 보여 준다. 시인은 죽음의 기척을 느끼지만 삶의 생기를 아예 외면하진 못한다. “그러나 잠깐, 지금도/ 마음 홀리는 와인 한 병 잡으려/ 주머니 사정 살펴가며 마트의 와인 부스를 뒤지고/ 늦저녁 전철에서 빈자리 놔둔 채 꼭 껴안고 서 있는/ 젊은 남녀를 멍하니 바라보기도 한다./죽음이 없다면/ 세상의 모든 꽃들이 가화가 되는 건 맞다.”(‘죽음아 너 어딨어?’ 부분) 죽음을 생각해야 세상의 꽃들을 제대로 느끼게 된다. 하지만 쉽게 죽음의 시각에서 삶을 논할 수 없기도 하다. 그래서 “마지막 날이 오면 나비나 벌처럼 조그맣고 가벼운 것/이 되어/ 꽃잎들에게 바쁘면 먼저 자리 뜨게! 하고/혼자 천천히 날아갈 텐데.”라고 초탈의 꿈도 꾸지만, “삶의 짐 다 부려놓고 홀가분하게 누워 있는 꽃잎들”(‘날개 비벼 펴고’ 부분)이 되는 건 쉽지 않다. 죽음의 순간까지도 삶의 짐은 벗기 힘들다. 황정은의 단편 ‘파묘’는 삶과 죽음의 밀착된 끈을 사유한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우리 안의 트럼프주의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우리 안의 트럼프주의

    미국 대선이 끝났다. 한동안 여진이 있겠지만, 트럼프 시대는 끝났다. 그러나 ‘트럼프주의’(Trumpism)는 오래갈 것이다. 트럼프주의가 남긴 해악은 파당에 따른 판단과 사실의 부정이다. 트럼프 시대를 날카롭게 비판한 책 ‘진실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는 주목할 만하다. ‘뉴욕타임스’의 문학 담당 기자였고 퓰리처상(비평) 수상자인 미치코 가쿠타니가 썼다. 이 책은 다양한 각도로 트럼프주의를 분석한다. 트럼프주의의 뿌리는 “자기 영역을 지키려는 원초적 본능이 있기 때문이며 우리가 이의 제기에 대해 지성보다는 감정으로 반응하고 증거를 신중히 검토하기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라며 확증편향의 시대에 ‘나와 우리’는 옳고 다른 사람들은 거짓을 외친다고 믿는다. 사실의 진실성 여부는 더는 중요하지 않다. 수많은 의견이 자유롭게 표출되는 다중 매체 시대에는 이런 당파주의의 경향이 더 강해진다. 이제 진실은 ‘죽은 개’ 취급을 당한다. 옳아서 사실을 믿는 게 아니라 ‘우리’가 믿으니 옳은 것이 된다. 아니, 돼야 한다. 그래서 무조건 우긴다. 그렇게 해도 상당한 지지를 얻는다. 트럼프주의가 보여 준 정치공학이다. 한국 사회에서도 발견되는 모습이다. 민주주의의 위기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명문대학과 학벌대학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명문대학과 학벌대학

    예전 같지 않다는 말도 있지만 한국 사회는 여전히 학벌(學閥)사회다. ‘벌’은 지위와 위세를 뜻한다. 학벌구조의 정점에 소위 ‘명문대학’이 있다. 하지만 내 판단으로는 이곳에 명문대학(名門大學)은 없다. 글귀대로 풀이하면 명문대학은 “이름이 널리 알려진 대학”이다. 한마디로 남들이 알아주는 대학. 요즘 어떤 직종 종사자들이 입에 올려 화제가 된, 10대 시절 ‘전교 1등’같이 시험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입학하는 대학, 그 대학 출신들이 힘 있는 자리에 많이 진출한 대학, 그래서 출세에 유리한 대학. 좀더 학술적인 기준으로 보자면 연구비를 많이 따오는 대학, 국내외 대학평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대학 등. 나는 이런 기준들의 타당성을 전부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는 명문대학을 판단하는 다른 기준을 상기시키고 싶다. 권력과 연결된 이름이 알려지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그 대학이 어떤 모습을 지니고 어떤 역할을 하는가라는 기준. 왜냐하면 한국 사회에서는 재벌이 그렇듯이 학벌도 부러움의 대상은 되지만 존경의 대상은 못 되기 때문이다. 존경은 이름이 널리 알려진다고 해서 따라오는 부산물이 아니다. 사람들이 존경할 만한 무엇이 있어야 한다. 지금 이곳의 학벌대학은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종교와 이성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종교와 이성

    “종교의 자유는 목숨과 바꿀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 이 주장의 사회적 근거로 헌법의 종교 자유를 언급한다. 하지만 이 발언이 놓치고 있는 것이 있다. 종교의 자유는 곧 종교를 갖지 않을 비종교의 자유를 동시에 보장한다는 사실이다. 민주공화국에서 각 시민은 어떤 종교든 가질 자유를 지니지만 동시에 어떤 종교도 갖지 않을 자유도 있다. 누군가에게 종교의 자유가 그렇게 소중하다면 다른 이들에게는 비종교의 자유도 그만큼 소중할 것이다. 그것이 근대사회에서 종교와 세속의 분리에 기반한 민주공화국의 정신이다. 한국은 특정 종교를 국교로 삼지 않는다. 어느 시민이 종교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치길 원하면 그럴 수 있다. 역시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의 권리다. 강하게 말해 민주공화국은 자신을 파괴할 권리까지도 인정한다. 다만 자신을 파괴할 자유도 다른 이들의 자유를 침범해서는 안 된다는 전제에서만 용인된다. 자유의 한계 지점이다. 하물며 다른 이들의 목숨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 민주공화국에서는 종교인의 정체성보다 시민의 자리가 먼저다. 그것을 인정하기 싫다면 사회를 떠나면 된다. 지금 어느 종교가 강하게 비판받는 이유가 여기 있다. 당신들이 목숨처럼 주장하는 종교의 자
  •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윤리의 출발점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윤리의 출발점

    단호한 말들이 폭포처럼 쏟아진다. 발언의 권리는 누가 정하는가? 주관적 경험과 사태의 진실 사이 낙차는 무엇인가? 두 편의 영화를 보면서 생각했던 질문이다. 영화 ‘1917’은 1917년 4월 6일 하루 동안의 전투를 다룬다. 사병 스코필드와 블레이크가 겪는 경험의 생동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원 컨티뉴어스 숏(one continuous shot) 기법을 많이 주목한다. ‘나누어 찍은 장면들을 이어 붙여 하나의 장면으로 보이게 하는 기법’(‘씨네21’)이다. 인물들의 행보를 좇는 카메라의 운동은 관객에게 전투를 직접 체험한 것처럼 감각적 쾌감을 준다. 이런 질문을 하고 싶다. 그 감각적 실감은 두 사병이 참전해 죽거나 살아남는 참혹한 당일의 전투 혹은 더 나아가 1차 세계대전의 진실을 얼마나 오롯이 전달하는가? 개인의 체험은 얼마나 사태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가? 이런 말들을 듣곤 한다. “나는 전쟁에 참여했다. 그래서 전쟁의 진실을 잘 안다.” 더 쉽게 말하면 “내가 해봐서 아는데”다. 언뜻 수긍할 만한 주장이지만 착각이다. 직접적 경험이 사태의 진실을 가리는 경우도 많다. ‘1917’처럼 전쟁터에서 바로 옆에서 죽어 가는 동료의 죽음을 목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