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시와 정치
바이든 취임식에서 22세 된 어맨사 고먼이 낭독한 시가 관중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고먼은 2017년에 미국 의회도서관이 청소년 계관시인 제도를 만들면서 초대 계관시인이 됐다. 시인은 지나치게 예민한 청각 문제, 말더듬의 어려움을 겪은, “노예의 후손이고 홀어머니가 키운 깡마른 흑인 소녀”로 자신을 규정한다. 낭송된 시는 분열을 딛고 화해를 이룰 것을 요청한다. 시를 읽으며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링컨’이 떠올랐다. 영화는 노예제 폐지를 규정한 수정헌법 13조 제정을 위한 링컨의 분투를 다룬다. 링컨은 두 개의 과제를 마주했다. 하나는 노예제 폐지이고, 다른 하나는 북부연합과 남부연방으로 미국이 분열되는 걸 막는 것이었다. 남북전쟁, 정확히 말하면 내전(civil war)은 노예제도 폐지를 둘러싼 찬반 대립 때문에 일어났다고 오해하기 쉽다. 그렇지 않다. 링컨도 만약 노예제를 폐지하지 않고 국가의 통합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더 중요한 건 국가 통합의 문제였다. 노예제 존폐 문제는 부차적이었다.
길지 않은 미국 역사에서 트럼프 집권기는 미국의 분열이 더 의도적이고 극단적으로 감행된 때로 기록될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이 나라를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