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인류세’(Anthropocene)의 닭들에게 바침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인류세’(Anthropocene)의 닭들에게 바침

    어느 날 하늘에 여러 개의 해가 동시에 떠올랐다. 강물은 말라 버리고 숲은 불탔으며, 사람들은 더이상 견딜 수가 없었다. 그때 마을에서 활을 가장 잘 쏘는 영웅인 ‘메르겐’이 나선다. 그는 마을 사람들의 소망을 어깨에 짊어지고 뜨거운 해들을 향해 화살을 날린다. 백발백중의 명사수이니 화살은 모두 해에 명중하고, 사람들은 고통에서 해방된다. 이것은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전승되고 있는 활쏘기 영웅 신화의 개략적 내용이다. 이 이야기는 어쩌면 ‘환일’(幻日?parhelion)이라는 광학현상에 대한 고대인의 해석일 수도 있다. 지금이야 그것이 ‘환일’이라는 것을 알지만, 고대사회에서 여러 개의 해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은 두려운 현상이었을 것이니, 샤먼의 직능을 가진 메르겐이 해를 향해 제의적 활쏘기를 행했을 것이다. 중국 서남부 소수민족 지역에도 이러한 신화들이 보인다. 영웅은 여러 개의 해를 쏘아 떨어뜨려 마을을 재앙에서 구해 낸다. 그런데 영웅이 순서대로 해를 쏘아 떨어뜨릴 때, 마지막 남은 해가 숨어 버리는 일이 일어난다. 다른 해들이 떨어지는 것을 보며 공포에 떨던 마지막 해가 깊은 동굴 속으로 몸을 숨겨 버린 것이다. 졸지에 세상은 암흑천지가 됐다. 사람들
  •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그토록 사랑스러운 고양이라니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그토록 사랑스러운 고양이라니

    환한 햇살 쏟아지는 윈난성 리장(麗江), 중국의 서남부에 있는 나시족의 땅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도시이니만큼 오래된 골목길엔 언제나 사람이 가득하다. 그 길을 걷다 보면 유난히 귀여운 고양이들이 자주 눈에 띈다. 생각해 보면 리장에서는 나른한 표정으로 졸고 있는 고양이 사진을 자주 찍었던 것 같다. 나시족 창세신화에 등장하는 천신에게는 아끼는 딸이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딸이 인간 세상에 내려갔다가 인간 청년을 데리고 돌아왔다. ‘이런 고약한 일이 있나. 어디 감히 인간 따위가 내 딸과 혼인을 해?’ 천신은 심사가 뒤틀렸다. 그래서 그때부터 사윗감에 대한 검증을 시작했다. 천신은 아흔아홉 군데 산의 나무를 하룻밤 사이에 다 베라고 했고, 그 산에 씨앗을 뿌리라고 했으며, 다시 하룻밤 사이에 그 곡식을 다 베라고 했다. 어려운 숙제였지만 청년은 사랑하는 여인의 도움으로 그걸 다 해냈다. 어쩔 도리가 없어진 천신은 마지못해 딸을 청년에게 보내기로 했다. 그래도 아끼던 딸인지라 인간 세상으로 내려가는데 빈손으로 보낼 수는 없어 오곡의 종자와 가축들을 딸려 보냈다. 그러나 그렇게 귀여운 딸에게도 절대 내어 줄 수 없는 것이 두 가지 있었다. 하나는
  •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사람의 눈이 큰 까닭은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사람의 눈이 큰 까닭은

    사람의 눈은 원래 개미처럼 작았다. 그래서 멀리 볼 수 없었다. ‘개미 눈’ 사람들의 시대가 지나간 후 메뚜기처럼 작고 긴 ‘세로 눈’을 가진 인간이 탄생했다. 그러나 그들도 사라지고, 마침내 길쭉하고 큰 가로 형태의 눈을 가진 오늘날의 인간이 태어났다. 중국의 서남부 쓰촨성과 윈난성에 거주하는 이족의 신화에 나오는 내용이다. 비슷한 신화는 또 있다. 사람의 눈은 원래 한 개였다. 말도 할 줄 모르고 농사도 지을 줄 몰랐다. 그런데 여신이 물로 잘 씻겼더니 세로 형태의 눈이 두 개 달린 인간으로 변했다. 두 개의 세로 눈을 가진 인간은 나뭇잎을 이용해 지붕을 만들 줄 알았다. 후에 세로 눈을 가진 인간들이 변화해 마침내 가로 눈을 가진 오늘날과 같은 인간들이 됐다. 그들은 도구를 사용했고, 농사를 지을 줄 알았다. 이렇게 눈과 관련된 독특한 신화들을 전승하는 이족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그들은 무엇보다 지혜와 지식을 중요하게 여겨서 지식의 경전을 따로 전승할 정도다. 그런 그들에게 이렇게 눈과 관련된 신화가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신화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인간의 발전 과정을 눈의 변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눈이 하나였을 때에
  •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세상에서 가장 밝으면서 가장 어두운 것은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세상에서 가장 밝으면서 가장 어두운 것은

    “세상에서 가장 밝으면서 동시에 가장 어두운 것은 무엇일까요?” 여신이 묻는다. 자신과 혼인하고 싶다는 남자에게 여신이 이런 알쏭달쏭한 수수께끼를 낸 것이다. 어두우면서 동시에 밝은 것이라니, 도대체 그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어려운 문제였지만 여신과 혼인하겠다는 일념으로 오랜 세월 동안 답을 찾아다닌 남자가 마침내 대답했다. “그것은 사람의 마음이오.” 참으로 지혜로운 대답이다. 사람의 마음속에는 그렇게 빛과 어둠이 공존한다. 그래서 모든 종교의 경전에는 일찍부터 빛과 어둠의 대립에 관한 이야기가 등장했다. 기독교나 이슬람, 불교보다 더 오래된 종교인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아베스타’와 ‘분다히슨’을 보면 그 바탕에는 빛과 어둠의 대립 구도가 깔려 있다. 빛의 신 아후라 마즈다와 어둠의 신 아흐리만은 끊임없이 대립한다. 생각해 보면 기독교나 이슬람, 불교도 빛의 종교다. 신은 언제나 밝은 빛과 함께 등장한다.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도, 인도 신화의 인드라도 빛의 신이다. 중국 윈난성 나시족의 신화에서도 빛의 신은 어둠의 신과 전쟁을 하며, 만주족 신화에서도 빛의 여신은 세상을 지키기 위해 어둠의 신과 길고 긴 싸움을 한다. 이처럼 유라시아 대륙의 거의 모든 곳에
  •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그들이 꿈꾸었던 ‘지도자’는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그들이 꿈꾸었던 ‘지도자’는

    어느 날 몽골 초원의 하늘에 일곱 개의 해가 떴다. 모든 것이 타올랐고, 사람들은 열기 때문에 견딜 수가 없었다. 그때 활 잘 쏘는 용사가 나섰다. 그는 에르히 메르겐이라 불렸다. ‘에르히’는 ‘엄지’라는 뜻이고, ‘메르겐’은 만주나 몽골 지역의 민족들이 활 잘 쏘는 자를 지칭하는 말이다. 에르히 메르겐은 용사였다. 일곱 개의 해를 쏘아 떨어뜨리지 못하면 자신의 엄지를 자르겠다고 맹세했다. 활 쏘는 용사가 엄지를 자른다는 것은 자신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을 내놓겠다는 뜻이다. 명사수의 화살이 빗나가는 일은 있을 수 없었다. 여섯 개의 해를 모두 떨어뜨리고 마지막 하나를 향해 화살을 날리는 순간 공교롭게도 제비 한 마리가 지나갔고, 그 꼬리에 화살이 맞으면서 해 하나를 맞히지 못했다. 제비 꼬리가 갈라져 있는 것이 바로 그 때문이라고 하는데, 자기 잘못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에르히 메르겐은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면서 자신의 엄지를 잘랐고, 동굴 속으로 들어가 몽골 사람들의 먹을거리인 타르바가(마모트)로 변했다. 만주와 몽골 신화의 메르겐들은 활을 잘 쏠 뿐 아니라 마을에 닥친 재앙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희생한다. 다우르족의 메르겐은 마을 사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