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정자 잦은 교체… 靑비서관 인선도 잡음

내정자 잦은 교체… 靑비서관 인선도 잡음

입력 2013-03-07 00:00
수정 2013-03-07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朴정부 출범 열흘 지났어도 진용 못 갖추고 혼선

제 살을 깎아 먹는 박근혜 정부의 ‘인사 미스터리’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청와대는 국정 공백의 원인이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미처리에 있다고 야당을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지만 청와대의 ‘인선 잡음’도 국정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준비 안 된’ 청와대에 적잖은 책임이 있다는 얘기다. 새 정부 출범 10일째를 맞은 6일까지도 청와대는 비서관 인선을 마무리짓지 못했다. 전임 이명박 정부가 출범 사흘 전인 2008년 2월 22일 비서관 인선을 발표한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인수위 시절 최대석 외교·국방·통일분과 인수위원의 ‘돌연 사퇴’로 촉발된 ‘인사 미스터리’는 김종훈 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로 이어졌고 청와대 비서관 인선에서 최고조에 이르렀다. 형식에서는 역대 정부의 비서관 일괄 발표와 달리 지난달 24일부터 일부 언론에 찔끔찔끔 흘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비서관 인선이 이렇게 관심을 가질 만한 사항인지 모르겠다”고 반문했다.

내용은 더 의아스럽다. 비서관 내정자 가운데 일부는 출근했다가 그만두거나, 그만뒀다가 다시 출근하고, 하루 출근한 뒤 연락이 두절되는 등 보통의 중소기업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인사 난맥상’이 청와대에서 벌어지고 있다. 김원종 전 보건복지비서관 내정자는 뚜렷한 이유 없이 선임행정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그 자리엔 대선 캠프(국민행복추진위원회) 출신인 장옥주 전 한국노인인력개발원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방식의 교체는 매우 드물다는 것이 관가의 평이다. 장 내정자는 ‘행정고시 여성 2호’ 출신이다.

또 ‘현역 검사의 청와대 파견 금지’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약속 때문에 중도하차했던 것으로 알려진 이중희 민정비서관은 권력싸움 논란으로 전선이 확대되자 ‘내정 취소’가 없던 일이 됐다.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의 공약은 흐지부지됐다.

또 새 정부 출범 첫날 출근한 뒤 ‘잠적’한 이종원 전 홍보기획비서관 내정자는 사실상 ‘아웃’됐고, 사회안전비서관에는 김귀찬 치안감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막판에 강신명 경북경찰청장으로 교체됐다.

그렇다 보니 권력암투설을 비롯해 인사불만설 등 구구한 입소문이 쏟아지고 있지만 청와대는 이와 관련해 ‘확인된 것이 없다’며 사실상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래서 청와대 비서관 인선을 공개하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인사 원칙과 신뢰가 무너졌다. 청와대가 연일 안보 위기론과 경제 위기론을 앞세우며 야당을 몰아붙이고 있지만 야권의 ‘내부 단속부터 먼저 하라’는 지적에 할 말이 없을 듯하다.

이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에서도 드러난다.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취임 첫 주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54.8%였다. 국정 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3.3%로 조사됐다. 대선 득표율(51.6%)을 감안하면 부진한 출발로 볼 수 있다. 불통과 ‘깜깜이 인선’이 상당 부문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3-03-07 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