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자를 ‘야, 다문화’로 부른다는 부끄러운 교실

[사설] 제자를 ‘야, 다문화’로 부른다는 부끄러운 교실

입력 2018-07-30 22:26
수정 2018-07-30 2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실에서 다문화 학생을 “야, 다문화”라고 부르는 어이없는 교사들이 있다고 한다. 서울신문이 7월 30일자 13면에서 보도한 ‘편견의 그물에 갇힌 우리, 안전망서 쫓겨난 다문화’라는 특집 기사는 이런 다문화 학생 차별 사례를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베트남 출신의 어머니를 둔 학생은 ‘김전일’이라는 이름이 있는데도, 이 학생을 부르는 교사의 호칭은 ‘다문화’였다. 한국말이 서툴러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책상에 엎드려 있던 이 학생은 교사가 부르자 앞으로 나갔는데, “숙제를 이렇게 해오면 어떡하느냐”고 망신까지 당했다.

외국인이나 다문화 가족의 아이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견과 무지는 부지기수다. 서울의 어느 초등학교에서는 다문화 학생이 많다는 이유로 신입생 상당수가 전학 가는 일도 있었다. 전학을 시킨 부모들은 다문화 학생이 많으면 공부할 분위기를 해치고 안전이 위협받는다는 이유를 들었다고 한다. 교육 현장에서 어처구니없는 ‘차별의 확대·재생산’이 이뤄진다는 것은 선진국을 지향한다는 대한민국의 수치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지속할 전망이다. ‘2018 청소년 통계’를 보면 다문화 학생은 전년보다 10.3% 늘어난 10만 9000명이었다. 이들이 받는 차별, 편견은 적지 않다. 다문화 예비학교 재학생의 17.4%가 국가나 피부색, 언어로 차별을 경험했다는 교육부 보고서가 있는가 하면 국가인권위원회 조사에서는 부정확한 발음으로 놀림을 당했다는 학생도 41.9%나 됐다.

외국인, 다문화 가족뿐만이 아니다. 탈북민과 중국동포 등 소수자에 대한 차별, 무시의 행태를 접하다 보면 일본 사회의 재일동포 차별을 격렬히 비난했던 우리가 부끄러울 정도다.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어엿한 구성원이자 꿈나무다. 이들이 이 땅에서 꿈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편견·차별을 없애는 대책과 함께 맞춤형 진로교육을 세밀히 설계해야 한다.

2018-07-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