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의 면적은 216만 6086㎢로 한반도 전체의 9.68배에 이른다.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 희토류, 우라늄, 알루미늄 등의 지하자원이 무궁무진하다. 주민은 북극에 널리 분포하는 몽골계 이누이트족이다. 이누이트가 그린란드에서 1000년 이상 정체성을 지키며 종족을 유지한 것은 고고학적으로도 증명된다.
그린란드는 1721년 덴마크의 식민지가 됐고, 1953년에는 아예 덴마크왕국의 한 지역으로 통합된다. 덴마크는 이후 ‘그린란드의 덴마크화’를 가속화했다. 덴마크는 그린란드의 현대화와 경제 발전을 명분으로 곳곳에 분산돼 있던 정착지를 한데 모아 도시화를 추진했다. 하지만 수렵과 어로로 살아가던 사람들이 갑자기 도시민이 되면서 알코올중독과 자살률은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게 된다.
문화가 완전히 다른 그린란드 이누이트를 덴마크 국민으로 만들려는 구상은 부작용만 낳았다. ‘부모역량평가’를 거쳐 ‘일정 수준’에 미달하면 덴마크 가정으로 보내는 프로그램도 그렇다. 입양아 대부분은 정신건강 문제를 겪으며 약물에 의존하는 신세로 그린란드에 돌아갔다. 덴마크는 그린란드 언어를 탄압하는가 하면 인구가 늘어날 조짐을 보이자 그린란드 여성에 대한 강제 피임 정책을 펼친다.
그린란드는 2009년 덴마크의 자치정부법 개정에 따라 지역민 의사가 모아지면 독립국가가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덴마크의 ‘문화 학살과 강제 동화’에 대한 이누이트의 저항이 전 세계적 인권운동과 맞물리면서 이루어진 변화라는 평가가 많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우리는 국제 안보를 위해 그린란드가 필요하다”고 발언한 것은 이런 덴마크 국민과 그린란드 주민 사이 틈새를 노린다. 하지만 그린란드의 무테 에게데 총리는 엊그제 “우리는 미국인이 되고 싶지 않고, 덴마크인이 되고 싶지도 않다”고 일갈했다. 이래저래 그린란드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높아진 듯하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5-01-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