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의 허심탄회한 조율 주목… 美 내부 이견 줄이고, 北 믿음 가지길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예정인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준비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비핵화 전략과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특히 두 정상은 배석자 없이 단독으로 만나 최근 북한이 미국의 비핵화 방식 등에 대해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하며 ‘북·미 정상회담 재고려’를 언급하는 배경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주고받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 회담이라는 대사를 앞두고 한·미 정상이 의견을 조율하는 자리인 만큼 공동성명 없이 “앞으로도 두 정상이 긴밀히 협의한다”는 지극히 억제된 원칙을 밝히는 선에서 그쳤다.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미국행 비행기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북·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99.9% 성사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북한의 정상회담 취소 언급으로 확산할 수 있는 불안감을 차단하려는 의도도 있겠지만, 회담 개최와 결과에 대해 중재자인 우리 정부의 자신감을 드러낸 발언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고위급회담 무기 연기와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개인 성명 직후 북·미가 상호 존중하면서 생각이 다르더라도 상대방의 처지를 이해하려는 역지사지의 자세와 태도를 강조한 바 있다. 천재일우처럼 다가온 북·미 정상회담은 반드시 개최돼 비핵화의 입구를 열어야 한다. 북한이 비록 남측 취재 요원의 입북을 거부했지만,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고 이를 공개하겠다는 약속을 예정대로 진행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
비핵화와 체제보장을 주고받는 대원칙에 북·미가 합의하고 첫 정상회담을 여는 만큼 첫술에 배부를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비핵화와 체제보장 및 제재해제 등의 시기를 비롯한 구체적인 로드맵에 양측 이견이 있는 것은 충분히 예상된 문제다. 하지만 회담 성과를 높이자고 자국 입장만 너무 강조하다 보면 소탐대실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그런 일이 없도록 북한이나 미국, 모두 경계해야 한다. 이번을 놓치면 다시는 북·미 정상이 마주 앉을 기회는 오지 않는다. 한·미 두 정상이 ‘완전한 비핵화’ 이후 밝은 미래를 북한에 제공하기 위한 방안들을 협의했다고 하는데, 그 ‘밝은 미래’가 조속히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문 대통령이 귀국하면 청와대와 노동당에 있는 남북 핫라인을 연결해 김정은 위원장과 한·미 조율 결과에 대해 솔직한 대화를 나눠야 한다. 6ㆍ12 싱가포르 정상회담까지 불과 20일이 남은 상황에서 북·미 중재자로서 문 대통령 역할에 비핵화의 앞날이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바란다면 행정부와 백악관 내 이견을 조정해 동북아에 퍼지는 비핵화 불발의 불안도 씻도록 해야 한다. 김 위원장도 비핵화라는 중대한 결심을 한 만큼 문 대통령을 믿고 국제사회로 나오는 데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
2018-05-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