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美 특사 큰 틀 조율 가능성…남북 종전 논의, 트럼프 힘 실어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복심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내정자가 3월 31일, 4월 1일 평양을 극비리에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가졌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앙정보국(CIA) 국장으로 발탁한 데 이어 국무장관으로 지명한 측근 중의 측근을 ‘적진’ 깊숙이 보내고 김 위원장이 폼페이오 특사를 받아들인 의미는 적지 않다. 비핵화와 평화체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서로의 의중을 확인하는 정상회담 전 간접대화를 한 것이다. 비핵화라는 역사적이고 세기적 대타결의 전망을 밝게 하고 북·미의 적극적인 의사가 읽히는 뜻밖의 장면이다.올브라이트 장관의 2000년 공개 방북은 빌 클린턴 정권 말기에 이뤄졌다. 그때는 대북 정책을 조지 W 부시 정권에 넘길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녔다면 폼페이오 특사의 비공개 방북은 과거 정권 25년의 실패한 대북 정책을 답습하지 않고 성공시켜 정권의 치적으로 삼겠다는 임기 3년을 남겨 둔 트럼프 대통령의 야심이 엿보인다. 김 위원장은 폼페이오 특사와 만나 비핵화의 구체적 방안과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에 관해 큰 틀의 조율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비핵화 방식에서 리비아식 일괄타결을 원하는 미국과 행동 대 행동의 단계적 타결을 원하는 북한 의도가 어느 정도 좁혀졌는지가 관건이다.
폼페이오 내정자가 지난 12일 미 상원 청문회에서 한 발언이 새삼 주목받는다. 그는 “미국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가 대화를 가질 수 있다고 낙관하며 세계가 간절히 필요로 했던 외교적 결과를 얻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 초강경론자의 이런 유화적 발언을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평양 극비 방문의 성과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북한도 마찬가지다. 지난 9일 김 위원장이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 북·미 대화 전망을 언급하고 관영매체가 공개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었다.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대화 의지를 폼페이오 특사를 통해 확인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방문 중인 아베 신조 총리에게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미국을 제외한 5곳을 생각하고 있다는 뜻을 밝혔다. 회담 날짜도 6월 초 이전이 될 가능성이 있다.
4·27 남북 정상회담까지 8일 남았다. 두 정상의 첫 대면 장면을 생중계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내일쯤 남북 정상 간 첫 통화가 이뤄진다. 두 번 오기 힘든 천재일우의 남북, 북·미 정상회담이다. 비핵화 프로세스는 북·미는 물론 남한의 적극적 개입이 필수다. 비핵화에 연동된 것이 정전협정 체제의 종식, 즉 평화협정 전환이다. 종전 문제는 남북은 물론 북·미 정상회담에서 핵심 의제가 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의 종전 논의를 “정말로 축복한다”고 했다. 성공을 예측할 수 없는 두 정상회담이다. 낙관적인 결론을 내기 위한 남북과 미국의 담대함이 요구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평양을 방문한다고 한다. 한반도의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2018-04-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