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소년 최고 희망 직업이 11년째 ‘교사’인 한국

[사설] 청소년 최고 희망 직업이 11년째 ‘교사’인 한국

입력 2017-12-25 23:38
수정 2017-12-26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고교생들의 최고 희망 직업이 또 ‘교사’였다. 11년째 부동의 1위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전국 1200개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한두 해 접하는 얘기도 아니건만 새삼 씁쓸해진다.

교사와 공무원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인기 직업이다. 그런 세태가 이미 굳어질 대로 굳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해마다 교육부의 조사치가 재확인될 때마다 답답해지는 까닭은 하나다. 청소년 세대의 꿈이 교사, 공무원이어서는 미래사회 발전의 동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10대들이 교사를 희망 직업으로 선택하는 가장 주요한 이유는 직업의 안정성이다. 우리 미래 사회의 역동성은 시작도 해보기 전에 발목이 잡히고 있는 꼴이다.

청소년들의 ‘철밥통 해바라기’는 더 두고 볼 수 없는 사회문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보다 더 한심하고 딱한 일이 없다. 몇 달 전 방한한 세계적 투자자 짐 로저스는 서울 노량진 학원가를 둘러보고는 “10대들의 꿈이 빌 게이츠가 아니라 공무원인 나라는 투자 매력이 없다”고 단언했다. 투자 매력이 없다는 지적은 한국의 미래 경쟁력이 없다는 뼈아픈 진단과 다름없다.

얼마 전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생들의 취업 희망 순위도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대학생 5명 중 2명 이상이 공공 부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을 보장받고 두둑한 연금을 챙길 수 있는 직업에만 관심이 쏠린 것은 초등생에서부터 대학생까지 공통 현상이다. 2030년이면 현재의 직업 가운데 80%가 없어지거나 새로운 유형으로 교체될 거라고 유엔 미래보고서는 경고한다.

청소년 희망 직업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작업은 국가적 고민과 처방이 긴급한 중대 현안이다. 교육부는 아무 대책도 없으면서 해마다 청소년 희망 직업 조사는 무엇 때문에 하고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청소년들이 다양한 분야의 진로를 탐색하게 도와주겠다며 자유학기제를 시행한 지도 4년이나 지났다. 취지만 좋았지 실효를 거두지 못한다는 교육 현장의 지적이 따갑다.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옛말이 있다. 청소년들의 직업 선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이가 학부모다.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말로만 떠들 게 아니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꿈을 학부모들이 뒷받침하게 하려거든 당장 미래 직업 사전이라도 만들어야 한다.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고민을 하지 않으려거든 청소년 희망 직업 순위를 해마다 앵무새처럼 떠들지도 말라.
2017-12-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