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더 나은 삶의 지수 2017’을 엊그제 발표했다. OECD는 35개 회원국에 몇 나라를 더 해 매년 이 지수를 발표하고 있는데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 중 5.9점으로 통계가 잡힌 31개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친구나 친척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 비율도 41개국 가운데 가장 낮다. 여러 지표를 종합한 순위는 2012년 24위에서 매년 한 단계씩 떨어져 작년엔 28위를 기록해 역시 최하위권이었다.
최하위인 삶의 만족도는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면 스스로 이해하게 된다. 태어나자마자 아이들은 경쟁 사회로 내몰린다. 어린아이 때부터 남에게 뒤지지 않으려고 쉴 틈도 없이 하루에 몇 개나 되는 학원에 다니며 대학에 들어가려면 더욱더 많은 시간을 사교육에 투자한다. 다른 조사에서 한국 학생의 삶의 만족도가 역시 최하위로 나타나는 것은 이상하지도 않다.
어른이 돼서는 어떤가. 젊은이들의 취업은 갈수록 힘들어지고 연애와 결혼마저 포기하고 마는 신세로 몰리고 있다. 노인 빈곤은 이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다.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것은 사회의 개인주의화, 핵가족화의 결과다. 개인주의화는 마찬가지로 경쟁이 격화된 결과이며 핵가족화는 가족이나 가정이 중심이 되는 사회가 무너지고 있다는 뜻이다.
단지 소득이 높아진다고 삶의 지수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삶의 지수는 사회 정의와 연관돼 있다. 열심히 일해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계층 사다리가 사라진 사회에서 희망을 찾을 수 없고 실망감만 팽배해지며 그 결과 삶은 피폐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는 장기적인 국가 정책으로 해결해야 한다.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로 다시 되돌려야 하며 세계 최악의 양극화 해소는 어느 정부든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
열심히 일하면 10년 정도 후에는 내 집 장만을 할 수 있는 세상이 돼야 하고 빈곤으로 자살하는 사람들이 없도록 사회안전망도 더 촘촘히 짜야 할 것이다. 일자리를 늘리고 젊은이들의 ‘열정 페이’를 강요하는 현상도 사라져야 한다. 어른들의 과욕과 비리로 어린 학생들이 수백 명씩 수장되는 일은 앞으로 다시는 없어야 한다. 그래서 이 정부는 물론이고 위정자들이 할 일은 많다.
최하위인 삶의 만족도는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면 스스로 이해하게 된다. 태어나자마자 아이들은 경쟁 사회로 내몰린다. 어린아이 때부터 남에게 뒤지지 않으려고 쉴 틈도 없이 하루에 몇 개나 되는 학원에 다니며 대학에 들어가려면 더욱더 많은 시간을 사교육에 투자한다. 다른 조사에서 한국 학생의 삶의 만족도가 역시 최하위로 나타나는 것은 이상하지도 않다.
어른이 돼서는 어떤가. 젊은이들의 취업은 갈수록 힘들어지고 연애와 결혼마저 포기하고 마는 신세로 몰리고 있다. 노인 빈곤은 이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다.
어려울 때 기댈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것은 사회의 개인주의화, 핵가족화의 결과다. 개인주의화는 마찬가지로 경쟁이 격화된 결과이며 핵가족화는 가족이나 가정이 중심이 되는 사회가 무너지고 있다는 뜻이다.
단지 소득이 높아진다고 삶의 지수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삶의 지수는 사회 정의와 연관돼 있다. 열심히 일해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계층 사다리가 사라진 사회에서 희망을 찾을 수 없고 실망감만 팽배해지며 그 결과 삶은 피폐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는 장기적인 국가 정책으로 해결해야 한다.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로 다시 되돌려야 하며 세계 최악의 양극화 해소는 어느 정부든 최우선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
열심히 일하면 10년 정도 후에는 내 집 장만을 할 수 있는 세상이 돼야 하고 빈곤으로 자살하는 사람들이 없도록 사회안전망도 더 촘촘히 짜야 할 것이다. 일자리를 늘리고 젊은이들의 ‘열정 페이’를 강요하는 현상도 사라져야 한다. 어른들의 과욕과 비리로 어린 학생들이 수백 명씩 수장되는 일은 앞으로 다시는 없어야 한다. 그래서 이 정부는 물론이고 위정자들이 할 일은 많다.
2017-11-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