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광 당국이 북한과 중국의 접경 지역인 랴오닝성 단둥 지역에 있는 관광업체들에 8일자로 북한 관광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한국과 일본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맞춰 유엔 결의와는 별도로 독자적인 대북 제재를 시행하기로 한 것과 맥을 같이하는 조치로 풀이된다. 우리 정부는 지난 6일을 기해 북한 금융기관 대표 18명에 대한 금융 제재에 들어갔고, 일본 정부도 35개 기관과 개인의 금융자산을 동결했다.
단둥 당국은 어제 관광업체를 불러 북한으로 가는 중국인 여행지는 신의주로 한정하고, 체류는 당일만 허용한다고 통보했다. 평양을 비롯한 북한 내 다른 지역 관광은 별도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전면 금지했다. 단둥 한 곳에서 집계한 비공식 자료를 보면 2016년 상반기 중국인 58만명이 단둥을 거쳐 북한에 갔다. 지난해에만 100만명 이상이 단둥 경유로 북한에 갔다고 추정할 수 있다.
중국인의 북한 관광 80%가 단둥을 거치고 그 대부분이 신의주 당일치기여서 중국 조치는 김정은에게 심대한 타격이라고 할 수 없다. 하지만 핵·미사일 발사로 내려진 유엔 제재로 무역, 금융, 해외 근로자 파견이 어려워지자 관광에 힘을 쏟고 있는 북한이다. 매년 10월 28일의 평양마라톤을 올해부터 2회로 늘리고,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북한 주민들에게 여행증을 발급해 주는 등 외화벌이에 혈안이 된 상태다. 그런 차에 미국이 9월부터 자국민의 북한 여행을 금지하고, ‘최대 고객’ 중국의 여행 금지 조치까지 겹쳐 뼈아플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미국을 의식한 중국의 대북 제재가 다른 분야에서도 압박해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심리적 타격은 적지 않을 것이다.
중국 당국의 북한 여행 제한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알 수 없다. 그제 단둥 관광 당국에 불려갔다는 여행업체 관계자는 “당국자가 11월 말까지만 북한 여행 금지 조치를 참고 있으라”라고 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방문을 끝내고 대북 여행 제한 조치가 잊혀질 만하면 원상회복될 수 있다는 뜻이다. 대북 원유도 북한이 경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공급하고 있는 중국이다.
오늘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여전히 영향력을 지닌 중국 역할을 강조할 것이다. 중국은 전쟁 없는 북핵의 평화적 해결과 북·미 대화를 촉구해 왔다. 최대한의 국제 공조와 압박이 북한의 비핵화 대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보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어떤 접점을 찾을지 관심이 쏠린다.
단둥 당국은 어제 관광업체를 불러 북한으로 가는 중국인 여행지는 신의주로 한정하고, 체류는 당일만 허용한다고 통보했다. 평양을 비롯한 북한 내 다른 지역 관광은 별도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전면 금지했다. 단둥 한 곳에서 집계한 비공식 자료를 보면 2016년 상반기 중국인 58만명이 단둥을 거쳐 북한에 갔다. 지난해에만 100만명 이상이 단둥 경유로 북한에 갔다고 추정할 수 있다.
중국인의 북한 관광 80%가 단둥을 거치고 그 대부분이 신의주 당일치기여서 중국 조치는 김정은에게 심대한 타격이라고 할 수 없다. 하지만 핵·미사일 발사로 내려진 유엔 제재로 무역, 금융, 해외 근로자 파견이 어려워지자 관광에 힘을 쏟고 있는 북한이다. 매년 10월 28일의 평양마라톤을 올해부터 2회로 늘리고,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북한 주민들에게 여행증을 발급해 주는 등 외화벌이에 혈안이 된 상태다. 그런 차에 미국이 9월부터 자국민의 북한 여행을 금지하고, ‘최대 고객’ 중국의 여행 금지 조치까지 겹쳐 뼈아플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미국을 의식한 중국의 대북 제재가 다른 분야에서도 압박해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심리적 타격은 적지 않을 것이다.
중국 당국의 북한 여행 제한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알 수 없다. 그제 단둥 관광 당국에 불려갔다는 여행업체 관계자는 “당국자가 11월 말까지만 북한 여행 금지 조치를 참고 있으라”라고 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방문을 끝내고 대북 여행 제한 조치가 잊혀질 만하면 원상회복될 수 있다는 뜻이다. 대북 원유도 북한이 경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공급하고 있는 중국이다.
오늘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여전히 영향력을 지닌 중국 역할을 강조할 것이다. 중국은 전쟁 없는 북핵의 평화적 해결과 북·미 대화를 촉구해 왔다. 최대한의 국제 공조와 압박이 북한의 비핵화 대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보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어떤 접점을 찾을지 관심이 쏠린다.
2017-11-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