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강 대사, ‘코리아 패싱’ 없도록 만전 기해야

[사설] 3강 대사, ‘코리아 패싱’ 없도록 만전 기해야

입력 2017-08-30 22:28
수정 2017-08-30 22: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과 중국, 일본 등 한반도 주변 3강 대사를 내정했다. 위중한 안보 위기 속에서 뒤늦게나마 외교의 핵심적 가교들을 선임했다는 점에서 일단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내정자들의 면면을 보면 결코 손뼉만 칠 일은 아닌 듯하다. 무엇보다 이들 모두가 전문성과는 거리가 먼 비외교관 출신이라는 점이 우려를 낳는다.

주미 대사에 내정된 조윤제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 초빙교수만 해도 미 스탠퍼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경제학자다. 지난 대선 때 문재인 후보의 싱크탱크인 ‘정책공간 국민성장’의 소장을 맡으며 ‘문재인 경제브레인 3인방’으로 꼽혔던 인물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잠시 일했고 노무현 정부 시절 경제비서관을 거쳐 주영 대사를 맡기도 했으나 정통 외교와는 거리가 멀다. 최근까지도 한국은행 총재 후보로 거론됐던 인물이니 인선의 파격성을 가늠하기에 충분하다. 주일 대사로 내정된 이수훈 경남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또한 정치학자이긴 하나 전문 외교관 경력은 전무하다. 노무현 정부 때 대통령 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지난 대선 때 문 후보 캠프에 몸담아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외교안보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한 것이 전부다. 노영민 주중 대사 내정자는 어떤가. 경영학을 전공하고 시민단체 활동을 하다 17대 국회부터 3선 의원을 지낸 인물로, 중국사에 밝다는 것 말고 경력 어디에도 중국은커녕 외교와 관련한 흔적을 찾기 어렵다. 세 명 모두 문 대통령과는 각별할지언정 미국이나 중국, 일본과는 한참 동떨어진 인물들인 것이다. 코드인사·보은인사라는 비판을 받아도 할 말이 없을 듯하다.

대사, 특히 주요국 대사는 정권의 외교안보 철학을 공유하는 차원을 넘어 주재국 사정에 밝고 핵심 외교안보 라인과 긴밀하게 소통하며 우리의 외교 이익을 극대화할 전문적 실무 역량을 갖춰야 한다. 이 때문에 역대 정부들도 대부분 주요국 대사들만은 풍부한 외교 경험을 갖춘 인물이나 대통령과 직통할 수 있는 중량급 정치인들로 채웠다. 통상외교가 전공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유엔 다자외교만 경험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 이어 이들 3강 대사마저 모두 비전문가들로 꾸리고서 어떻게 북핵이 몰고 올 동북아의 험난한 파도를 헤쳐 갈지 걱정스럽다. 그렇지 않아도 북의 도발 앞에서 미·일 정상이 9차례 통화하며 공조를 과시한 반면 한·미 정상은 두 차례 통화하는 데 그치면서 ‘코리아 패싱’ 우려가 설득력을 더해 가는 상황이다. 외교 최전선에 설 이들 세 내정자의 어깨가 무겁다.
2017-08-3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