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치러진 2017학년도 초등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의 약 12%는 현직 교사였다. 어제 전국 시·도 교육청이 발표한 이 집계는 더이상 흘려 넘길 사안이 아니다. 합격자 4854명 가운데 556명이 현직 교원이었다면, 실제 응시자 수는 그보다 훨씬 더 많았다는 얘기다. 교원 임용고시의 벽이 해마다 높아지는 현실이다. 현직에서 ‘반수’를 감행해 높은 관문을 또 뚫었으니 수업의 질은 어땠을까 그런 걱정부터 앞선다. 마음이 콩밭에 가 있는 교사가 학사 업무에 전념하기는 힘든 노릇이다.
교사들이 현직에 적을 걸고 임용고시에 재도전하는 것은 대부분 수도권 진입을 위해서다. 생활·근무 여건이 좋은 서울이나 수도권이 지방 교대 졸업생들에게도 압도적인 인기다. 거기에 현직 교사들까지 가세했으니 교사 수급 현실은 갈수록 빈익빈 부익부인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은 자리가 없어서 아우성이고, 강원·충북·전남 등 지방에서는 초등 교사가 모자라서 난리다.
학령 인구의 급격한 감소 추세로 학생수는 해마다 크게 줄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 수는 중·고교보다 더욱 두드러지게 줄어든다. 임용고시에 합격하고도 학교에 자리가 없어 발령을 못 받은 예비 교사가 올해만도 3000명을 넘었다. 이런 현실이니 정부는 내년도 초등 교사 선발 인원을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의 교사 수급 정책 실패로 날벼락을 맞은 임용고시 준비생들은 연일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냉정한 시각에서 보자면 집단 이기주의라는 비판을 피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지난해 강원·충북·전남·경북·경남 지역은 임용고시 경쟁률이 아예 미달이었다. 청년 취업난이 극심한데, 너도나도 대도시로만 몰리면서 자리가 없다고 푸념하는 교대생들의 태도가 볼썽사납다는 비판이 적지 않은 이유다.
언제까지 수수방관할 일이 아니다. 당장 현직 교사들의 ‘반수’ 현상부터 막아야 한다. 직업 안정성과 처우에서 교사는 이 시대 최고의 선망 직업이다. 그런 마당에 더 나은 근무지를 찾겠다는 교사들 때문에 가뜩이나 열악한 농어촌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훼손돼서야 말이 안 된다.
개선 의지가 확고하다면 현실적 대안들이 없지 않다. 지역 교대 졸업생이 해당 지역 임용고시를 보면 가산점을 주는 방식, 지역 의무 발령제 등을 도입할 수도 있다. 정부는 왜 팔짱만 끼고 앉았나.
교사들이 현직에 적을 걸고 임용고시에 재도전하는 것은 대부분 수도권 진입을 위해서다. 생활·근무 여건이 좋은 서울이나 수도권이 지방 교대 졸업생들에게도 압도적인 인기다. 거기에 현직 교사들까지 가세했으니 교사 수급 현실은 갈수록 빈익빈 부익부인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은 자리가 없어서 아우성이고, 강원·충북·전남 등 지방에서는 초등 교사가 모자라서 난리다.
학령 인구의 급격한 감소 추세로 학생수는 해마다 크게 줄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 수는 중·고교보다 더욱 두드러지게 줄어든다. 임용고시에 합격하고도 학교에 자리가 없어 발령을 못 받은 예비 교사가 올해만도 3000명을 넘었다. 이런 현실이니 정부는 내년도 초등 교사 선발 인원을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의 교사 수급 정책 실패로 날벼락을 맞은 임용고시 준비생들은 연일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냉정한 시각에서 보자면 집단 이기주의라는 비판을 피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지난해 강원·충북·전남·경북·경남 지역은 임용고시 경쟁률이 아예 미달이었다. 청년 취업난이 극심한데, 너도나도 대도시로만 몰리면서 자리가 없다고 푸념하는 교대생들의 태도가 볼썽사납다는 비판이 적지 않은 이유다.
언제까지 수수방관할 일이 아니다. 당장 현직 교사들의 ‘반수’ 현상부터 막아야 한다. 직업 안정성과 처우에서 교사는 이 시대 최고의 선망 직업이다. 그런 마당에 더 나은 근무지를 찾겠다는 교사들 때문에 가뜩이나 열악한 농어촌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훼손돼서야 말이 안 된다.
개선 의지가 확고하다면 현실적 대안들이 없지 않다. 지역 교대 졸업생이 해당 지역 임용고시를 보면 가산점을 주는 방식, 지역 의무 발령제 등을 도입할 수도 있다. 정부는 왜 팔짱만 끼고 앉았나.
2017-08-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