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견 형식 개선됐으나 내용은 미흡…편중인사 등 비판에 더 귀 기울여야
어제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은 우선 각본 없는 대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전 대통령들의 회견과 달리 사전에 청와대와 출입기자단이 질문 주제만 협의해 정했을 뿐 구체적 질문 내용은 일절 조율하지 않은 것이다. 권위주의적 잔재 청산이라는 점에서 새 정부의 달라진 모습의 하나로 평가할 대목이다.그러나 이런 형식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아쉬움 또한 적지 않다. 우선 각본 없는 대화의 취지를 살리지 못했다. 취임 100일을 맞은 대통령의 소회와 국정 인식을 국민들이 소상히 파악할 기회가 돼야 했으나 회견 내용은 이를 충족시키기엔 크게 미흡했다. 1시간 남짓한 시간 제약 속에서 북핵에서부터 증세·노동 현안에 이르기까지 국정의 제반 분야를 망라하다 보니 무엇 하나 깊이 있는 질문과 답변이 이뤄지지 못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도 대개 그동안의 본인 언급이나 정부 소관 부처의 발표 등을 통해 제시된 범주에 머물렀다. 답변의 구체성 면에선 오히려 일정 부분 사전에 조율된 과거 정부의 문답 때보다 후퇴한 인상마저 지우기 어려웠다.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개헌 의지를 거듭 표명한 것이나 북한이 밟지 말아야 할 ‘레드라인’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핵탄두를 탑재하는 시점으로 규정한 점, 그리고 미국의 한반도 밖 군사행동도 남북 간 긴장을 높일 경우 한국과 협의해야 한다고 밝힌 정도가 옳고 그름을 떠나 그나마 진전된 내용이라고 할 것이다. 시간을 크게 늘리고 보충 질문을 허용하는 형태였더라면 훨씬 내실 있는 회견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더 큰 아쉬움은 몇 가지 국정 현안, 특히 인사와 관련한 문 대통령의 인식이다. 문 대통령은 “국민께서 역대 정권을 통틀어 가장 균형인사, 탕평인사, 그리고 통합적인 인사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해주고 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새 정부 인사들의 면면을 뜯어보면 과연 탕평과 통합을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본지 분석 결과 청와대와 중앙행정기관, 군, 그리고 검찰 등 4대 권력기관의 핵심 요직 175명 가운데 호남 태생이 4명 중 1명, 부산·경남 출신이 5명 중 1명꼴인 것으로 파악됐다. 문 대통령의 정치 기반인 지역 출신들이 새 정부 요직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과거 정부를 향해 지역편중 인사라고 비판했던 잣대를 들이댄다면 무슨 답변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인사청문 과정에서 숱한 자질 논란을 부른 이른바 코드 인사 역시 통합이나 탕평과는 거리가 멀다. ‘유·시·민’(유명 대학·시민단체 출신·민주당 보은) 인사라는 비아냥을 그저 야당의 정치 공세로 치부할 수만은 없는 현실이다.
‘쇼통’이라 비판받는 홍보성 소통보다 국민 비판에 귀를 여는 데 더 힘을 쏟기 바란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단골로 지적되는 선심행정, 편 가르기, 협치 무시 등의 비판에 좀더 겸허해져야 한다. 지금의 지지율 고공 행진을 임기 중·후반까지 이어 갈 동력이 바로 거기에 있다.
2017-08-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