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5자 구도 속에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후보들의 이념적 스펙트럼 또한 과거의 어느 대선보다 고른 분포를 보였다. 흔히 민주주의는 보수와 진보의 양 날개를 조화롭게 펼쳐야 제대로 날 수 있다고들 한다. 우리는 보수정당과 진보정당이 번갈아 집권하고 이념과 정책의 균형을 이루며 발전해 가는 민주주의 선진국들을 오랫동안 부러워했다. 하지만 이번 대선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역시 다르지 않은 양상에 접어들었음을 보여 주었다. 진보 진영의 2대 집권과 보수 진영의 2대 집권에 이은 진보 진영의 재집권은 어느 틈엔가 본격적인 선순환 구조에 편입됐다는 증거로 해석해도 좋을 것이다.
각 후보 진영이 어떤 기대를 가졌든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것은 선거의 숙명이다, 이번 선거운동에서도 각 후보는 왜 자신이 대통령이 돼야 하는지 최선을 다해 유권자를 설득했다. 그 과정에서 상대 후보에 대한 거친 언사 역시 적지 않았음을 유권자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렇게 선거운동 과정에서는 상대에게 날 선 비판을 가했더라도 개표 결과는 흔쾌히 수용하는 것이 민주주의다. 초등학교 반장 선거에서조차 승자에게 따뜻한 박수를 보내지 않는 패자는 따돌림을 당할 만큼 우리 사회는 크게 성숙했다.
문제는 안팎의 상황이 그저 승리를 즐기고, 패배를 인정하는 데 머물러도 좋을 만큼 녹록지 않다는 데 있다. 안보와 외교 위기 극복은 물론 청년 일자리를 비롯한 서민 경제의 활력 회복은 지체할 수 없는 과제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가 하루라도 빨리 새 내각을 출범시키지 못하면 문제 해결은커녕 기초적인 국정 운영조차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럴수록 패배의 아픔을 협력으로 극복하는 보수 진영의 노력이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박근혜 정부 시절 야당의 비협조로 민생법안의 재·개정이 원천 봉쇄됐던 고통을 되갚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법안 통과에 사사건건 제동을 걸었던 더불어민주당도 겸허한 자세로 협력을 구해야 한다.
새 정부에는 정책 의지를 구현할 수 있는 기회가 반드시 주어져야 마땅하다. 최소한의 ‘밀월’ 기간마저 허용치 않겠다는 정치적 각박함이 재현돼서는 안 된다. 자신이 지지하지 않은 대통령이라고 집권 기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기를 바라는 국민은 아무도 없다. 오히려 보수 진영이 대선 패배의 아픔을 아량과 관용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을 보여 주길 원한다. 그 상생의 정신은 5년 뒤 다시 국민의 지지를 받는 출발점이 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믿는다.
각 후보 진영이 어떤 기대를 가졌든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것은 선거의 숙명이다, 이번 선거운동에서도 각 후보는 왜 자신이 대통령이 돼야 하는지 최선을 다해 유권자를 설득했다. 그 과정에서 상대 후보에 대한 거친 언사 역시 적지 않았음을 유권자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렇게 선거운동 과정에서는 상대에게 날 선 비판을 가했더라도 개표 결과는 흔쾌히 수용하는 것이 민주주의다. 초등학교 반장 선거에서조차 승자에게 따뜻한 박수를 보내지 않는 패자는 따돌림을 당할 만큼 우리 사회는 크게 성숙했다.
문제는 안팎의 상황이 그저 승리를 즐기고, 패배를 인정하는 데 머물러도 좋을 만큼 녹록지 않다는 데 있다. 안보와 외교 위기 극복은 물론 청년 일자리를 비롯한 서민 경제의 활력 회복은 지체할 수 없는 과제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가 하루라도 빨리 새 내각을 출범시키지 못하면 문제 해결은커녕 기초적인 국정 운영조차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럴수록 패배의 아픔을 협력으로 극복하는 보수 진영의 노력이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박근혜 정부 시절 야당의 비협조로 민생법안의 재·개정이 원천 봉쇄됐던 고통을 되갚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법안 통과에 사사건건 제동을 걸었던 더불어민주당도 겸허한 자세로 협력을 구해야 한다.
새 정부에는 정책 의지를 구현할 수 있는 기회가 반드시 주어져야 마땅하다. 최소한의 ‘밀월’ 기간마저 허용치 않겠다는 정치적 각박함이 재현돼서는 안 된다. 자신이 지지하지 않은 대통령이라고 집권 기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기를 바라는 국민은 아무도 없다. 오히려 보수 진영이 대선 패배의 아픔을 아량과 관용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을 보여 주길 원한다. 그 상생의 정신은 5년 뒤 다시 국민의 지지를 받는 출발점이 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믿는다.
2017-05-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