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삶의 질

[사설]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삶의 질

입력 2015-10-19 17:56
수정 2015-10-20 0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 국민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 여전히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5 삶의 질’ 보고서는 우리 국민이 느끼는 상대적인 박탈감과 함께 각박해진 우리 사회의 참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5.33점, 30~49세 6.00점, 15~29세 6.32점 등으로 전 연령대가 OECD 평균(6.58점) 이하로 나타났다. 물론 삶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하는 것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전 연령층에서 OECD 평균 이하인 사실을 보면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공통의 과제로 인식하고 개선에 나서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삶의 질이 낮은 원인을 비교적 정확하게 분석, 제시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귀담아들어야 할 것이다. OECD는 물질적인 토대는 좋아졌지만 사회관계 등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불만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의 가구당 순가처분소득 증가율은 12.28%로 회원국 중 가장 높았고,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의 연평균 총소득 증가율도 7.3%로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근로자들의 남녀 소득 격차가 20%를 넘어 상대적인 박탈감이 큰 사회로 나타났다. OECD가 우리의 해결 과제로 소득 불평등을 제시한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사회연계지원 부문에서 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였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어려울 때 의지할 친구나 친척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평가로 지난해 72.37점을 기록해 OECD(88.02점)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특히 50세 이상은 67.58점으로 나이가 들수록 삶의 만족도는 급락했다. 다른 나라들이 대부분 80∼90점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각박해지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주관적인 건강 만족도 또한 2009년 44.8점에서 2013년 35.1점으로 낮아졌다니 나이가 들수록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는 사회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다 자라나는 아이들 또한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하루 48분으로 OECD 평균 151분에 크게 못 미쳤다고 하니 부끄러운 마음이 앞선다.

삶의 질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안정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때 높아진다. 하루빨리 신뢰를 회복하고 행복한 삶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를 비롯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2015-10-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