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 용인의 한 아파트 단지 안에 고양이 집을 만들던 주부가 위쪽에서 떨어진 벽돌에 맞아 숨진 ‘캣맘’ 사건은 여러모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사건 용의자가 초등학교 학생으로 옥상 위에서 낙하실험을 하다 생긴 일이라는 경찰 수사 결과에 놀라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용의자인 초등학생의 ‘거짓 진술’ 의혹이 일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초등학교 과정에는 낙하실험이 없으며 중학교에 가서야 배운다는 것이다. 실제 이번 사건이 우발적 사고라 해도 소중한 목숨을 앗아 갔다는 점에서 그냥 지나치기 어렵다. 그런데 이 진술마저도 거짓이라면 더더욱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학생의 진술이 진실이든 아니든 간에 형법상 책임 능력이 없는 ‘형사 미성년자’이기에 처벌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법리적으로 이 학생이 벌을 받지 않는다고 해서 이 학생을 가르친 부모나 학교, 지역사회가 ‘도덕적 책임’까지 면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 사회는 이번 일을 자성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우선 입시경쟁 위주의 교육이 아이들을 ‘괴물’처럼 망가뜨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뒤돌아볼 필요가 있다. 가정과 학교에서 공부만 하라고 아이들을 다그쳤지 사람 됨됨이를 가르치는 일에는 소홀한 것이 사실이다. 오죽하면 세계 유례가 없는 ‘인성교육진흥법’이라는 것이 만들어졌겠는가.
정부가 인성교육을 국가의 책무로 규정한 이 법은 지난 7월 말부터 시행됐다. 하지만 그 이후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이 예전보다 더 관심 있게 다뤄진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인성교육을 앞세워 학원들이 성행하고 있다는 문제점만 지적되고 있다. 인성교육이라는 것이 법으로 강제한다고, 또 하루아침에 교육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일도 아니라는 것이 이번에 여실히 드러났다.
어린 학생들을 우리 사회의 건강한 시민으로 키우는 것보다 중요한 일은 없다. 나 혼자만의 이익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마음가짐과 행동은 어른들이 나서서 가르쳐야 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이 작업에는 가정과 학교, 종교단체, 복지단체 등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참여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제2, 제3의 벽돌이 언제든 우리 머리에 다시 떨어질 수 있다.
이 학생의 진술이 진실이든 아니든 간에 형법상 책임 능력이 없는 ‘형사 미성년자’이기에 처벌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법리적으로 이 학생이 벌을 받지 않는다고 해서 이 학생을 가르친 부모나 학교, 지역사회가 ‘도덕적 책임’까지 면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 사회는 이번 일을 자성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우선 입시경쟁 위주의 교육이 아이들을 ‘괴물’처럼 망가뜨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뒤돌아볼 필요가 있다. 가정과 학교에서 공부만 하라고 아이들을 다그쳤지 사람 됨됨이를 가르치는 일에는 소홀한 것이 사실이다. 오죽하면 세계 유례가 없는 ‘인성교육진흥법’이라는 것이 만들어졌겠는가.
정부가 인성교육을 국가의 책무로 규정한 이 법은 지난 7월 말부터 시행됐다. 하지만 그 이후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이 예전보다 더 관심 있게 다뤄진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인성교육을 앞세워 학원들이 성행하고 있다는 문제점만 지적되고 있다. 인성교육이라는 것이 법으로 강제한다고, 또 하루아침에 교육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일도 아니라는 것이 이번에 여실히 드러났다.
어린 학생들을 우리 사회의 건강한 시민으로 키우는 것보다 중요한 일은 없다. 나 혼자만의 이익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마음가짐과 행동은 어른들이 나서서 가르쳐야 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이 작업에는 가정과 학교, 종교단체, 복지단체 등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참여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제2, 제3의 벽돌이 언제든 우리 머리에 다시 떨어질 수 있다.
2015-10-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