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자도 앞바다의 낚싯배 사고로 또다시 아까운 생명들이 희생됐다. 사고 발생 하루가 지나도록 도대체 배에 몇 사람이나 타고 있었으며, 누가 타고 있었는지 제대로 파악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세월호 참사를 겪은 지 1년이 훨씬 넘었지만 안전 의식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데 허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그제 오후 7시 40분쯤 제주 추자도 인근에서 발생한 9.7t급 낚싯배 돌고래호의 전복사고는 소형 어선의 관리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출항 당시 돌고래호는 승선 인원을 22명으로 신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4명은 처음부터 배를 타지 않았고, 생존자 1명은 승선명단에 아예 없었다. 그 결과 어제 오후까지 사망자 10명과 생존자 3명만 확인한 채 실종자 수는 혼선을 거듭하다 뒤늦게 8명으로 정정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승선자 확인에 혼란을 겪은 장면을 연상케 한다.
돌고래호 사고는 세월호 참사 이후 여객선에 대한 안전관리는 그나마 강화됐다지만 소형어선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은 낚싯배도 출입항신고서와 승선명부를 출입항 신고 기관장에게 제출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항의 경우 어촌계장이 이를 대신하는가 하면 낚시꾼은 확인 의무사항도 아니라고 한다. 이처럼 허술한 안전관리는 승선자들의 안전 불감증을 불러오는 데 안성맞춤의 조건이 됐다. 생존자들은 기상조건이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승선자 대부분이 구명조끼조차 입지 않은 상태였다고 증언했다. 구명조끼가 빗물에 젖어 벗어 놓고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비바람이 몰아치는 야간에 출항을 고집한 선장의 판단부터가 안전 불감증의 극치를 보여준다.
여전히 부실한 구조체계도 문제다.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제대로 된 구조체계를 갖추기 위해 국가안전처를 신설하고 해경 조직도 개편하는 등 많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했다. 그럼에도 추자도 사고 생존자들은 사고 이후 10시간 넘게 바다 위에 떠 있었음에도 결국 어선에 의해 구조됐다. 사고 현장에 접근한 해안경비안전서 구조함은 이들을 발견하지 못한 채 지나쳤다는 것이다. 추자안전센터에 신고가 이루어지고 20분이나 지나서야 제주해경상황센터에 접수된 것도 되짚어 봐야 한다. 안전한 대한민국은 언제쯤이나 가능한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그제 오후 7시 40분쯤 제주 추자도 인근에서 발생한 9.7t급 낚싯배 돌고래호의 전복사고는 소형 어선의 관리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출항 당시 돌고래호는 승선 인원을 22명으로 신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4명은 처음부터 배를 타지 않았고, 생존자 1명은 승선명단에 아예 없었다. 그 결과 어제 오후까지 사망자 10명과 생존자 3명만 확인한 채 실종자 수는 혼선을 거듭하다 뒤늦게 8명으로 정정했다.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승선자 확인에 혼란을 겪은 장면을 연상케 한다.
돌고래호 사고는 세월호 참사 이후 여객선에 대한 안전관리는 그나마 강화됐다지만 소형어선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은 낚싯배도 출입항신고서와 승선명부를 출입항 신고 기관장에게 제출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항의 경우 어촌계장이 이를 대신하는가 하면 낚시꾼은 확인 의무사항도 아니라고 한다. 이처럼 허술한 안전관리는 승선자들의 안전 불감증을 불러오는 데 안성맞춤의 조건이 됐다. 생존자들은 기상조건이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승선자 대부분이 구명조끼조차 입지 않은 상태였다고 증언했다. 구명조끼가 빗물에 젖어 벗어 놓고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비바람이 몰아치는 야간에 출항을 고집한 선장의 판단부터가 안전 불감증의 극치를 보여준다.
여전히 부실한 구조체계도 문제다.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제대로 된 구조체계를 갖추기 위해 국가안전처를 신설하고 해경 조직도 개편하는 등 많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했다. 그럼에도 추자도 사고 생존자들은 사고 이후 10시간 넘게 바다 위에 떠 있었음에도 결국 어선에 의해 구조됐다. 사고 현장에 접근한 해안경비안전서 구조함은 이들을 발견하지 못한 채 지나쳤다는 것이다. 추자안전센터에 신고가 이루어지고 20분이나 지나서야 제주해경상황센터에 접수된 것도 되짚어 봐야 한다. 안전한 대한민국은 언제쯤이나 가능한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2015-09-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